환율 전망이 1,500원까지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우리나라에 어떤 악재가 있는지 알려주세요.
환율 전망이 1,500원이면 리먼브라더스나 그런 경제적 큰 위기여야할 것 같은데 지금은 어떤 위기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고용 부진 우려로 위험회피 심리가 커진 가운데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투자자의 이탈이 5일째 이어지며 원화 약세 흐름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인사들이 12월 금리 인하 가능성에 회의적인 발언을 던지며 연내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화돼 강달러를 부추기고, 또 뉴욕 증시에서 'AI 거품론'이 터져 나오며 증시에서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고, 외환시장에서 원화를 달러로 바꾸는 환전 수요도 커진 것으로 분석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환율 상승은 미국 달러의 강세가 지속되면서 환율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 셧다운이 지속되고 고용시장 불안정, AI거품론, 미중 갈등 등 글로벌 정세가 불확실해지면서 투자심리가 악화되었습니다.
이는 외국인들의 국내 증시 순매도가 확대되면서 자금 유출이 일어났고 이는 환율의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환율 전망이 1,500원까지 나오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이런 환율 전망이 나오는 것은
현재 원화 가치가 빠르게 빠지고 있고
원화에 연동이 되는 엔화와 위안화 역시도 가치가 빠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내수문제가 가장 큽니다.
내부에서 경제가 돌고 성장해야 그만큼 사회적비용이 주는 반면 벌어들이는 돈이 커지고 원화가치가 올라 환율이 내려가는데요.
지금은 경제력이 매우 약해진상태에서 세금으로만 너무 쓰고 생산성은 떨어지니 점차 원화가치가 낮아지는 것입니다.
그나마 미국이 금리인하를 좀 더 해서 어느정도 맞출 수 있겠지만 미국도 금리인하가 계속 더뎌지고 있는 가운데 내수경제가 활성화가 안되면 결국 환율은 계속 조금씩 오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