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어떻게 제작되나요?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쉽게 말해서 기름으로도 가고 전기로도 가는 차예요. 우리가 흔히 아는 일반 자동차는 기름만 쓰지만, 하이브리드는 거기에 전기모터랑 배터리도 같이 들어 있어요.처음 시동 걸 때나 천천히 움직일 땐 보통 전기모터로 움직이고, 속도가 붙거나 언덕을 올라갈 때는 엔진이 같이 도와줘요. 그러다 브레이크를 밟으면 그때 나오는 에너지를 다시 배터리에 저장하기도 해요.하이브리드차를 만들려면 그냥 엔진만 달아놓는 게 아니라, 배터리랑 모터도 달아야 하고, 그걸 다 연결해서 상황에 따라 전기랑 기름을 알아서 바꿔 쓰게 해주어야해요만들기 어렵지만 그만큼 기름도 덜 먹고, 소음도 적고, 배출가스도 줄일 수 있어서 요즘은 많은 사람들이 선택하는 차가 되었어요.
학문 /
전기·전자
25.04.06
0
0
Lfp배터리는 어떻게 제조되나요?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요즘 전기차 배터리 얘기할 때 자주 등장하는 LFP 배터리는, 기존 삼원계 배터리보다 조금 덜 유명했지만 최근 들어 다시 주목받고 있어요.이 배터리는 ‘리튬 인산 철’이라는 재료를 주로 사용해요. 다른 배터리들이 니켈이나 코발트 같은 값비싼 금속을 사용하는 반면, LFP는 상대적으로 흔하고 안전한 재료를 쓰는 게 특징이에요.LFP 배터리는 에너지 양은 조금 적지만 오래 쓰고, 잘 폭발하지 않아서 전기차에는 오히려 더 좋은 선택이 되는 경우가 많아요. 특히 값비싼 코발트 같은 걸 안 써도 되니까, 가격도 더 싸고 만들기도 쉬워요.
학문 /
전기·전자
25.04.06
0
0
전기 안전사고 대비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무엇보다도 가장 기본은 정기적인 점검과 올바른 사용 습관입니다. 전기 제품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제품 설명서를 따르고, 플러그나 전선이 손상되었을 땐 바로 사용을 중지해야 해요. 또 콘센트에 여러 개의 기기를 동시에 꽂는 멀티탭 사용도 과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고요. 특히 물과 전기는 절대 함께해서는 안 되기 때문에, 습기 많은 곳에서는 누전차단기 설치가 필수적이에요
학문 /
전기·전자
25.04.05
0
0
지하철은 에너지를 어떻게 공급받나???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우리가 집에서 쓰는 전자기기는 전기 콘센트에 꽂아서 고정된 상태로 사용하는데, 전동차는 움직이면서도 전기를 계속 공급받아야 하잖아요. 그래서 지하철에는 특별한 방식이 있어요.주로 전동차 위에 달린 팬터그래프라는 장치가 공중에 설치된 전차선에서 전기를 받아오거나, 아니면 제3궤조라고 해서 선로 옆에 따로 설치된 전기 레일에서 전기를 공급받기도 해요. 차가 달리면서도 전기와 계속 닿아 있기 때문에 끊김 없이 에너지를 쓸 수 있는 거죠.
학문 /
전기·전자
25.04.05
0
0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도 휴대폰배터리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전기차 배터리도 결국 시간이 지나면 성능이 조금씩 떨어지긴 해요. 우리 휴대폰도 오래 쓰면 충전이 잘 안 되는 것처럼요. 하지만 전기차는 아무래도 훨씬 큰 금액이 들고 안전과도 직결되니까,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꽤 정교하게 설계되어 있어서 쉽게 문제가 생기진 않아요. 그래도 만약 성능이 많이 저하되면, 교체가 필요할 수도 있죠. 비용은 차량 종류나 제조사에 따라 차이가 크지만, 전체를 다 바꾼다면 생각보다 꽤 큰돈이 들어갈 수 있어요. 다행히 대부분 보증 기간이 길고, 일부만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방식도 있어서 막막하게 느끼진 않으셔도 될 거예요. 다만 그정도 성능저하가 될때쯤이면 차가 아주 오래되어 교체를 생각하지 않을까 싶어요
학문 /
전기·전자
25.04.05
0
0
벽-공유기와 공유기-컴퓨터의 이더넷 케이블 카테고리 종류가 달라도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케이블의 카테고리 5와 공유기의 카테고리 7은 다르더라도 이미 기가비트 까지 사용하는 일반적인 가정환경에서는 크게 의미가 없어요. 산업현장에서 데이터 손실이 걱정되는 경우라면 카테고리 7으로 맞추는것이 좋겠지만요
학문 /
전기·전자
25.04.04
5.0
2명 평가
0
0
핸드폰 충전기(어댑터)에서의 와트(W)는 어떤 의미이죠?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충전기에 숫자들이 각 각 적혀있어서 헷갈리셨을것 같아요. 핸드폰 충전시 사용하게 되는 모드는 하나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고, 핸드폰의 상황에 따라 혹은 케이블 상태, 화면을 보고 있는 상태 등의 핸드폰의 조건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는거예요. 핸드폰이 9v로 충전하는게 좋을것 같아요 라고 응답한다면 9v로 충전되는 식인 거죠.
학문 /
전기·전자
25.04.04
5.0
2명 평가
1
0
마음에 쏙!
100
커패시터나 인덕터에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나타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커패시터나 인덕터에서 전압과 전류 사이에 위상차가 생기는 건, 이 두 소자가 단순히 전류를 흘리는 통로가 아니라 ‘에너지를 저장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에요.커패시터는 전하를 저장하는 장치인데요, 전류는 전하가 움직이는 속도, 즉 얼마나 빠르게 전하가 쌓이는지를 말해요. 그래서 전류는 이미 움직이기 시작했는데, 전압은 그에 따라 천천히 변하게 돼요. 마치 물이 빠르게 흘러가면서 그릇에 채워지듯이요. 그래서 커패시터에서는 전류가 전압보다 먼저 반응하게 되고, 전류가 앞선 위상을 갖는 거죠.반대로 인덕터는 자기장을 통해 에너지를 저장해요. 전류가 변하면 자기장이 바뀌는데, 이 자기장의 변화가 다시 전압을 만들어내요. 즉, 전류가 바뀌려 하면 인덕터가 미리 전압을 걸어 저항하려고 해요. 그러다 보니 인덕터에서는 전압이 먼저 생기고, 전류가 나중에 따라가게 돼요.
학문 /
전기·전자
25.04.03
5.0
1명 평가
0
0
화재 경보시설 설치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실내에서 전기를 사용하는 공간이라면 화재에 대한 걱정을 안 할 수가 없잖아요. 그래서 법적으로도 일정 조건이 되면 화재경보설비를 꼭 설치하게 되어 있어요. 모든 전기 사용하는 공간이 다 해당되는 건 아니고, 면적이 넓거나 사람들이 많이 드나드는 곳, 예를 들어 학원이나 공장, 숙소 같은 곳은 자동 화재감지기나 수신기 같은 걸 의무적으로 달아야 해요. 간단히 말하면, ‘사람이 오래 머무는 공간일수록 더 철저하게’가 원칙이에요.작은 주택이나 잠깐 쓰는 공간은 예외가 있기도 하지만, 전열기나 전동기 같은 걸 많이 쓰는 곳이라면 전기설비 때문에라도 화재감지기나 누전차단기를 따로 달아야 해요. 전기안전공사에서 정기적으로 점검도 오기 때문에, 기준에 안 맞으면 꼭 보완하라고 해요.만약 이런 경보설비를 아예 설치하지 않거나 기준보다 못하게 설치해두면, 그냥 과태료만 내고 끝나는 게 아니라 시정명령도 받고, 상황에 따라 영업정지나 형사처벌까지 받을 수 있어요. 특히 사람이 다치는 사고로 이어지면 관리 책임자에게 정말 큰 책임이 돌아올 수도 있거든요. 그래서 공간을 새로 만들거나 리모델링할 땐, 꼭 소방 관련 기준을 먼저 체크해보는 게 좋아요.
학문 /
전기·전자
25.04.03
0
0
마이크로소프트는 지금 어느정도 기술력이있나요 ??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요즘 마이크로소프트 진짜 무섭게 성장하고 있어요. 예전엔 윈도우랑 오피스 회사라는 이미지가 강했는데, 지금은 완전 기술기업 느낌이에요. AI나 클라우드 쪽은 말할 것도 없고, 얼마 전엔 자체적으로 칩까지 만들었다는 뉴스가 나왔죠. 이름도 '마이아 백'이라고 하던데, 이게 그냥 서버용이 아니라 GPT 같은 AI 돌릴 수 있게 만든 칩이래요. 그리고 ARM 기반으로 만든 서버 CPU도 따로 있어서, 아예 자기들 데이터센터에 맞춰서 설계한 거예요.기술력으로 보면, 이제는 단순히 소프트웨어 잘 만드는 회사가 아니라, 하드웨어까지 직접 만들 수 있는 수준이에요. 인텔이나 엔비디아처럼 반도체에 오래된 노하우는 없겠지만, 그걸 바로 따라잡겠다는 의지가 확실히 보이고, 실제로도 성과를 내고 있는 게 놀라워요. 지금 마이크로소프트는 AI, 클라우드, 보안, 반도체까지 손 안 뻗은 곳이 없다고 보면 될 것 같아요.
학문 /
전기·전자
25.04.03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