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전기·전자

길이빛나
길이빛나

지하철은 에너지를 어떻게 공급받나???

안녕하세요!!

보통 우리가 전기에너지를 사용할때는 전기 콘센트에 플러그 꽂아서 고정시켜놓은채로 전자기기들을 사용하는데,,

전동차는 어떻게 전기나 연료를 공급받아서 움직이는 것인가요??

답변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지하철은 주로 전기를 통해 에너지를 공급받습니다. 전기 공급 방식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팬터그래프 방식으로 지하철 차량의 지붕에 설치된 팬터그래프가 전차선과 접촉하여 전기를 받아옵니다. 두 번째는 제3궤조 방식으로 선로 옆에 설치된 전기 레일에서 직접 전력을 공급받습니다. 이 두 가지 방식 덕분에 지하철은 이동 중에도 끊임없이 전기를 공급받아 원활하게 운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지하철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지하철은 100% 전기에너지를 사용합니다. 구체적으로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지하철은 열차를 움직이는 동력, 역사 조명, 냉난방 등 모든 설비에 전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버스나 자동차처럼 가솔린이나 디젤을 사용하지 않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지하철은 전기 공급 두 가지 방식을 전달 받습니다.

    팬터 그래프 방식

    지하철 차랑의 지붕에 설치된 팬터 그래프라는 장치가 선로위에 설치된 전차선과 접촉합니다.

    전차선은 변전소에서 공급된 고압 전력을 전달하며 팬터그래프를 통해 차량 내부의 전동기로 전력을 전달하여

    바퀴를 회전 시킵니다. 이방식은 주로 지하철과 고속 철도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제3궤조 방식

    선로 옆이나 아래에 설치된 제3의 레일에서 직접 전력을 공급받는 방식입니다.

    이는 차량의 집전기가 제3궤조와 접촉하여 전기를 받아 운행합니다.

    이 방식은 안정성이 높고 경전철 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집에서 쓰는 전자기기는 전기 콘센트에 꽂아서 고정된 상태로 사용하는데, 전동차는 움직이면서도 전기를 계속 공급받아야 하잖아요. 그래서 지하철에는 특별한 방식이 있어요.

    주로 전동차 위에 달린 팬터그래프라는 장치가 공중에 설치된 전차선에서 전기를 받아오거나, 아니면 제3궤조라고 해서 선로 옆에 따로 설치된 전기 레일에서 전기를 공급받기도 해요. 차가 달리면서도 전기와 계속 닿아 있기 때문에 끊김 없이 에너지를 쓸 수 있는 거죠.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지하철은 주로 가공 전차선이나 제3궤조 시스템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습니다. 가공 전차선은 지하철 위에 설치된 전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입니다. 지하철 전차는 팬터그래프라는 장치를 통해 이 전차선과 접촉하여 전력을 얻습니다. 제3궤조 시스템은 지하철 선로 옆에 놓인 전기를 공급하는 궤조에서 전력을 받습니다. 지하철이 이 궤조와 접촉하는 장치를 통해 전기가 흐르게 됩니다. 두 시스템 모두 전기를 통해 지하철의 전동기를 작동시켜 운행합니다. 이는 플러그를 꽂는 대신 지속적으로 이동하며 전력을 받을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지하철은 고압의 전기를 공급받는데 보통 전차선이나 레일 옆에 추가적인 레일을 설치해 전리를 공급받습니다.

    레일에 전력이 흐르고 있어 이를 통해 달리는 중에도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것이지요.

    보통 22.9kV의 교류 전기를 이용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지하철 전동차는 주로 가선이나 제3궤조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움직입니다. 팬터그래프나 집전슈를 통해 전력을 받아 모터를 구동하며 일부 시스템은 배터리나 하이브리드 방식도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