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자격증
돈의 가치가 미래에 이어진다고 보시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돈의 가치는 물가와 생산성 변화에 따라 시간이 갈수록 떨어지는 성향이 있습니다. 특히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면 현재 가진 화폐의 구매력은 미래에 약해지죠. 한편 노동력 수요는 자동화AI 확산으로 줄어들 수 있지만, 인간 고유의 창의판단관계 능력은 여전히 필요합니다. 그래서 완전히 일을 안 하고 살 방법을 찾기보다, 자산을 보전하고 불확실한 시대에 맞는 소득원을 다변화하는 게 현실적인 대응입니다. 노동 대신 투자나 배당, 임대소득 등 ‘자산이 일하게 하는 구조를 고민하는 게 더 현실적입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9.23
5.0
1명 평가
0
0
롯데카드 해킹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걱정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롯데카드 해킹이면 바로 정지 신고하시고 비밀번호공인인증앱 로그인도 전부 바꾸세요, 최근 거래 내역 즉시 조회해 이상거래는 카드사에 이의제기 접수하시고 경찰 사이버수사대인터넷진흥원 신고해 증빙 남기세요. 신용정보원 거래 알림 신청신용조회로 이상 징후 보고, 자동이체 계좌 변경 내역 확인하고 의심 문자나 링크는 절대 누르지 마시길 권합니다.
경제 /
대출
25.09.23
0
0
증권사마다 배당금 입금일이 다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배당금은 회사가 정한 지급일에 한국예탁결제원(KSD)을 거쳐 증권사로 들어오는데, 여기까지는 모두 동일합니다. 그런데 각 증권사마다 내부 정산시스템 반영 속도가 달라서 실제 고객 계좌에 입금되는 시점에 차이가 납니다. 큰 증권사는 전산 인력이 많아 당일 바로 입금하는 경우가 많고, 비교적 작은 증권사나 신규 플랫폼은 내부 검증 절차 때문에 하루 이틀 늦어질 수 있습니다. 결국 배당 지급일은 같지만 증권사별 처리 속도 차이가 체감되는 이유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9.23
0
0
미국 주식과 암호화폐 돈의 흐름이 어디로 가는지알 수 있는 방법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 주식과 암호화폐 시장의 자금 흐름을 정확히 동시에 추적하는 건 쉽지 않지만 참고할 수 있는 지표들은 있습니다. 미국 주식은 S&P500, 나스닥 지수와 함께 ETF 자금 유입유출 통계, VIX 지수, 국채금리 등을 보면 위험자산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고, 암호화폐는 온체인 데이터(거래소 입출금,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 비트코인 도미넌스, 펀딩비율을 보면 돈이 들어오고 빠져나가는 흐름이 드러납니다. 완벽히 “주식코인 이동을 계량화하긴 어렵지만, 위험자산 전체로 유입되는 자금 성격을 비교하면서 상대적 강세장을 읽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9.23
0
0
기업의 과거 매출액과 현재 매출액을 비교하는게 의미가 클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기업 매출액을 과거와 현재 단순 비교하는 건 의미가 있지만, 말씀하신 것처럼 화폐 가치나 물가 수준이 달라졌다는 점을 고려해야 정확합니다. 예를 들어 10년 전 매출 1조와 지금 매출 1조는 실제 가치가 같지 않고, 물가 상승률이나 환율 변화를 반영해 실질 성장률을 보는 게 맞습니다. 그래서 단순 금액보다는 매출 성장률, 영업이익률, 시장 점유율 같이 상대적 지표를 함께 보는 게 투자 판단에 더 도움이 됩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9.23
0
0
대통령실에서 특활비, 업무추진비 사용 내역을 공개 했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대통령실에서 최근 특활비와 업무추진비 사용 내역을 공개했는데, 이전 정부들에 비하면 투명성을 강화한 조치로 평가됩니다. 다만 세부 집행 장소나 구체적인 사용처는 기밀을 이유로 일부 비공개 처리돼서 완벽한 공개라 하기는 어렵습니다. 국민 입장에서는 어디에 얼마를 썼는지 큰 틀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실제 감시 기능까지 충분히 작동하려면 더 구체적인 정보가 필요하다는 얘기도 나옵니다.
경제 /
경제정책
25.09.23
0
0
원산지증명서 발급일 근무일 계산할 때 토요일 포함되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원산지증명서 발급 관련해서 말하는 근무일은 세관이나 상공회의소 같은 발급기관의 근무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우리나라 기준으로는 토요일은 법정 공휴일은 아니지만, 발급기관이 실제로는 근무하지 않기 때문에 월~금만 계산하는 게 맞습니다. 즉 선적 후 소급발급 기간(예: 1년 이내)이나 제출 기한을 따질 때 토요일은 근무일에서 제외하고 계산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경제 /
무역
25.09.23
5.0
1명 평가
0
0
수출세번이랑 상대국 수입세번이 다르면 원산지증명서 발급 어떻게 처리하세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원산지증명서에 기재하는 HS코드는 수출국의 세번을 기준으로 작성하는 게 원칙입니다. 협정문상도 ‘수출국의 품목분류 기준에 따라 기재하도록 되어 있어서, 우리나라에서 발급하는 C/O라면 한국 세번을 쓰는 게 맞습니다. 다만 상대국 세관과 해석 차이로 분쟁이 생길 수 있으니, 인보이스나 패킹리스트에 상대국이 통상 사용하는 세번을 병기하거나, 필요하면 사전에 상대국 세관에 품목분류 사전심사(BTI)를 신청해 두는 게 안전합니다. 결국 발급은 한국 기준 세번으로 하되, 실무적으로는 이중 관리가 필요합니다.
경제 /
무역
25.09.23
5.0
1명 평가
0
0
스크랩이나 폐기물도 완전생산 입증자료가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스크랩이나 폐기물도 FTA 원산지 기준에서 완전생산기준(Wholly Obtained)을 적용받으려면 입증자료가 필요합니다. 일반 상품처럼 복잡한 공정 증빙은 아니지만, 발생지수집지처리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국내 발생 사실을 보여주는 폐기물 인계서, 재활용업 허가증, 수거처리 내역서, 거래계약서 등이 대표적입니다. 결국 해당 스크랩이 전량 국내에서 발생했음을 명확히 소명할 수 있으면 완전생산 충족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경제 /
무역
25.09.23
4.0
1명 평가
0
0
제조 일정에 따라 3국에서 보관하고 있다가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FTA의 직접운송 원칙은 수출국에서 수입국으로 물품이 도중에 가공이나 사용 없이 운송돼야 한다는 조건입니다. 제3국에서 단순히 보관만 하고 상품의 성질을 바꾸지 않았다면, 보세창고나 자유무역지역에서 일시적으로 머문 것은 원칙 위반으로 보지 않습니다. 다만 세관이 요구할 경우 보관 기간장소처리 내역을 증빙해야 하고, 단순 보관을 넘어 포장 갈이, 라벨 교체 등 상품 가치에 영향을 주는 행위가 있으면 직접운송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경제 /
무역
25.09.23
4.0
1명 평가
0
0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