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해수면 온도가 올라 갈수록 더 강한 태풍이 발생하게 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해수 온도가 높은 적도 부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온난화로 해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적도 이상의 아열대, 온대 지역에서도 태풍 발생이 많아지게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8.12
0
0
태풍의 긍정적인 면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의 긍정적인 면은 우선 위기의식을 갖게 한다는 점 입니다. 태풍에 대한 대비 및 피해가 더 크게 나지 않도록 개인별, 지역별, 국가별 위기 의식이 커진 다는 것입니다. 두번째 미세먼지, 더위 및 가뭄이 사라진다는 것 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8.12
0
0
벽걸이 전신 거울보다 약간 기울어지면 날씬해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의 반사 각도가 달라지면서 비스듬히 보이는 것이구요. 사진을 찍을때 아래에서 위로 찍으면 날씬하거나 다리가 길어 보이는 효과와 비슷한 상황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8.11
0
0
바닷속에도 계절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다 속에도 계절적 차이는 있습니다.바다 속에 살고 있는 생물들은 수온의 영향을 크게 받는데 여름철과 겨울철에 기온차가 남해안의 경우 20도 정도 차이가 나고 있습니다.이러한 수온의 영향은 서식하고 있는 생물들의 종류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계절에 따라 볼 수 있는 생물이 달라지게 됩니다.예를 들어 해조류의 경우, 겨울철에는 미역, 다시마 등을 볼 수 있지만여름철에는 모자반, 청각 등 완전히 다른 종들이 성장하게 되어 바다속에서 볼 수가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8.11
0
0
금이 납 수은 보다 더 희귀한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금은 금속 중에서 늘어나는 성질인 연성도 가장 크죠.그래서 1g의 적은 양의 금을 3km까지 늘릴 수도 있습니다.금은 이렇게 전성과 연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녹는 점도 낮아 가공이 쉽답니다.금은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된 물질이라 다른 물질과 화학 반응을 거의 하지 않아요.그래서 부식되지 않고 녹슬지도 않으며 원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죠.또한 금은 산과 염기에도 녹지 않습니다. 금속 중에서 은 다음으로 전기 전도성도 뛰어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8.11
0
0
파리지옥과 끈끈이 주걱은 광합성을 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식충식물도 식물이기 때문에 엽록체를 가지고 있고 광합성을 해야만 생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 식물들 처럼 잎의 모양이 광합성에 적합하지 않고 식충활동을 할 수 있도록 변형되어 있습니다. 식충활동 자체가 광합성을 하기위한 활동이기 때문에, 광합성을 제대로 할 수 없는 환경에서는 식충활동을 중단하기도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8.11
0
0
어떻게 전자기기들은 멀리 떨어져 있는 다른 기기와 통신하거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소리를 무선 신호로 변환해서 신호가 이동하고, 이동된 신호가 단말기에서 다시 소리로 변환되는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8.11
0
0
바닷속에도 폭포가 있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SBS ‘정글의 법칙 in 인도양’의 촬영지인 모리셔스 수중폭포가 온라인 상에서 화제다.29일 방송된 ‘정글의 법칙 in 인도양’에서는 병만족의 마지막 모험의 땅, 모리셔스 수중폭포로 유명한 모리셔스에서의 새로운 생존기가 공개됐다.병만족의 마지막 생존지로 선택된 곳은 인도양 남서부에 위치한 화산섬 모리셔스다. 환상적인 일곱 빛깔 모래를 품은 모래 언덕 ‘샤마렐’의 세븐 컬러드 어스(Seven Colored Earth)와 바다 수심 깊은 곳으로 물이 떨어지는 듯한 모리셔스 ‘수중 폭포’는 대표적인 볼거리로 꼽힌다.모리셔스 수중폭포는 바다 속에서 심해로 빨려들어가는 듯한 인상적인 광경이 눈길을 끄는곳이다.모리셔스 수중폭포는 일반인들에게는 낯설 것으로 보이지만 이미 많은 일반인들이 다녀간 천혜의 관광지다.뿐만 아니라, 모리셔스는 코리끼 거북, 큰 박쥐, 게코 도마뱀, 핑크 비둘기 등 다양한 희귀 동식물들이 서식하는 태고의 자연을 간직하고 있다. 소설 ‘톰소여의 모험’의 작가 마크 트웨인이 “신은 모리셔스를 창조하고 난 뒤 천국을 만들었다”며 극찬할 정도로 아름다운 지상 최고의 섬나라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8.11
0
0
조선시대에 설치했던 측우기는 정확했을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주척은 약 20.8 cm. 조선에서는 주척, 황종척, 영조척, 포백척 등등 여러 가지 척을 사용했고 각각의 길이는 서로 다르다. 그래서 문화재 복원시에도 기록된 척이 무엇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우리가 아는 30.3 cm짜리 척은 일제시대에 일본에서 쓰이는 곡척(30.3 cm)을 받아들인 것으로 우리네 전통이 아니다. 다만 일본의 곡척이 조선에서 주척과 함께 자주 쓰인 영조척(약 30.8 cm)과 길이가 거의 같아 일제강점기 조선인들이 쉽게 받아들였던 점도 있다. 근대에는 서양의 도량형에 근접하는 도량형을 쓰려고 했다. 단적으로 고종이 1902년 발표한 1척은 30.303 cm였는데, 이는 미터법을 전근대 도량형에 맞게 도입하면서 1미터를 3.3척으로 삼았기 때문이었다. 30.303에 3.3을 곱하면 99.999가 나온다. 일본은 을사늑약 직전인 1909년에 강제로 조선의 도량형을 일본 도량형과 통일시키면서 무효화했다. 고종의 도량형은 일본과 별개로 형성되었는데도 30 cm에 근접했는데, 영국식 야드파운드법의 1피트가 30.48 cm인 것과도 관계가 있을지도 모른다.
학문 /
토목공학
23.08.10
0
0
뜨거운 얼음도 만들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의 과학 상식으로는 어렵다고 판단됩니다. 하지만 상식이 변해서 뜨겁다는 기준이 영하도 포함 된다면 가능하리라 생각됩니다.
학문 /
화학
23.08.10
0
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