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08.10

뜨거운 얼음도 만들수 있나요?

갑자기 궁금한 생각이 드는데 뜨거운 얼음도 만들수가 있나요? 보통 얼음은 영하의 날씨가 되어야 어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가능한 일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뜨거운 얼음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뜨거운 얼음은 아세트산 나트륨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사실 매우 간단해서 가정에서도 만들 수 있습니다.

    준비물은 아세트산나트륨, 비커, 물, 핫플레이트, 저울, 막대, 약수저정도이며 식초와 베이킹 소다를 이용하면 아세트산 나트륨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것들을 잘 섞어주기만 하면 되는데, 만들어보면 우리하 흔히 알고 있는 똑딱이가 들어 있는 액체 핫팩의 형태가 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얼음의 의도가 우리가 알고 있는 물이 언 상태라면 이론적으로는 엄청난 고압에서만 가능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높은 온도에서 고체가되는 것이라면 물이 아닌 다른 화학물질에 의해서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어는점 이하로 떨어져야 얼음이 되는것인데. 뜨거운 얼음은 과학적으로 만들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뜨거운얼음은 실제로 얼음이 뜨거운것은아니고 화공약품으로 얼음모양이 되게 한것이


    얼음처럼 변하면서 뜨거워지는 것입니다. 현재 손난로라고 해서 비닐속에 똑딱이를 넣어서


    뜨거운 물에 넣어 녹인 팩을 식힌후에 똑딱이를 건들이면 팩이 뜨거워지는것인데 이것을


    말합니다. 현재 두가지 원료를 사용하는데 아세트산나트륨의 진한용액 CH3COONa. 3H2O


    와 하이포 (티오황산나트륨 Na2S2O3. 5H2O) 의 진한 용액 아마도 결정수가 있는것을 그대로


    물기가 있는 그릇에 너고 가열해서 녹여서 사용할수 있습니다. 녹인후에 증발이 안일어나게


    비닐같은것으로 위를 막고 가만히 냉장고에 넣어 액체상태로 식힙니다. 보통온도정도로


    식은 다음 꺼내서 흔들거나 손으로 만지는등 자극을주면 얼음처럼 고체로 변하는데 액체를


    부으면서 고체로 변하기 때문에 어떤 모양을 만들기도 할수 있어서 아주 재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뜨거운 얼음은 물리적으로 고압환경에서는 가능합니다. 온도란 입자, 분자의 진동과 운동에너지에 의해 결정되는 물리량입니다. 즉 온도가 높다는 것은 입자의 진동운동과 병진운동이 활발하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얼음 결정은 전기적 인력으로 인해 특정한 규칙으로(6각구조) 배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온도가 높아버리면 불규칙적인 운동과 활발성으로 전기적인력을 이겨내고 움직이게됩니다. 그래서 뜨거운 얼음은 불가능하죠. 하지만, 고압의 환경은 다릅니다. 활발한 운동을 잡아주기 때문에 전기적인 인력으로 어느정도 붙잡힐 수 있고 얼음 결정이 될 수 있죠. 물론 가능한 한계온도와 압력의 조건이 존재할 수 있으며 특정온도 이상으로 뜨겁게는 만들지 못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두가지가 상충되는 개념이라 불가능할듯 합니다

    얼음은 영하의 온도이고 뜨겁다는 영상이상의 온도입니다.

    물론 너무 차가우면 화상을 입기도 하기 때문에 개념상으론 뜨거운 얼음이지만 물로는 불가능할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뜨거운 얼음은 물리적으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얼음은 물이 영하 온도에서 응고하여 고체가 되는 것을 말하는데, 뜨거운 물은 영상 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 뜨거운 얼음은 상식적으로는 모순적으로 들릴 수 있지만, 실제로는 뜨거운 상태에서 얼음을 만들어낼 수 있는 현상이 있습니다. 이 현상을 "농결정화"라고 합니다.

    농결정화는 어떤 물질의 농축된 용액을 빠르게 냉각하면 그 물질의 결정이 형성되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일반적으로 얼음은 물의 결정 형태를 가리키지만, 다른 물질의 농축된 용액에서도 농결정화를 통해 "뜨거운 얼음"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가장 잘 알려진 예시는 "불 얼음" 또는 "뜨거운 얼음"인데, 이는 물과 소다(탄산나트륨)가 혼합된 용액을 빠르게 냉각하면 만들어집니다. 이 과정에서 물 분자와 소다 결정이 결합하여 특이한 물질인 수화탄산나트륨이 형성되는데, 이 물질이 얼음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뜨거운 얼음은 냉각 후에도 온도가 낮아지면서 고체로 유지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특정한 조건에서만 발생하며, 대부분의 물질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농결정화를 통해 뜨거운 얼음이 만들어질 수 있는 물질들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며, 특수한 실험실 환경에서 관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의 과학 상식으로는 어렵다고 판단됩니다. 하지만 상식이 변해서 뜨겁다는 기준이 영하도 포함 된다면 가능하리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