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산뜻한코끼리228
산뜻한코끼리22823.08.11

바닷속에도 폭포가 있을 수 있나요??

항공사진인데 바닷속으로 바닷물이 흘러들어가는 이미지를 보았는데요 해저 깊은곳으로 해류? 가 흘러들어가는 느낌이었습니다. 바닷속 폭포라고 하는데 실제로 바닷속에 폭포가 있을 수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 속에서는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중력이 작용하는 폭포는 존재할 수 없는 환경입니다.

    다만 해류의 흐름에 따라 폭포와 유사하게 물의 흐름이 지형에 따라 존재할 수는 있겠습니다.


  • 바닷속에 폭포가 있는 것은 지리학적으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폭포는 지형의 높이 차이로 인해 물이 수직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육지에서 주로 발생하며, 지형의 차이에 의해 물이 하강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바닷속에서도 물의 움직임과 유동은 발생하지만, 폭포처럼 수직으로 떨어지는 지형적인 변화가 없는 한 폭포는 형성되지 않습니다. 바닷속에서는 해류, 유랑류, 해파리와 같은 다양한 해양 생물들이 물의 움직임을 만들어내기는 하지만, 지형의 차이에 의한 폭포 현상은 일반적으로 발생하지 않습니다.

    다만, 바다에서 폭포와 유사한 현상을 관측할 수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바닷속의 돌출체나 절벽에서 물이 떨어지는 것을 지칭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바닷속의 지형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지리학적인 의미에서의 폭포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속에 폭포가 있습니다. 바닷속 폭포는 해저의 지형이 급격하게 바뀌면서 물이 흘러내리는 현상입니다. 바닷속 폭포는 주로 해저의 암석이 침식되거나, 해저가 융기하면서 형성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속에 폭포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바닷속 폭포라고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바다에서 폭포처럼 떨어지는 물이 아니라, 해류나 바다의 지형 변동으로 인해 물이 강하게 흘러들어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바닷속 폭포는 주로 해류나 난류의 결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류는 바다의 물이 지구 상에서 다양한 이유로 움직이는 현상을 말하며, 바닷속에서도 강한 흐름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해류가 바다의 지형 변동과 만나게 되면, 물이 폭포처럼 흘러들어가는 듯한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실제 바닷속 폭포는 자연적인 현상으로서 몇 군데에서 관찰되었습니다. 예를 들면, 멕시코의 야쿠멜 폭포나 모리셔스 섬의 바닷속 폭포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바닷속 폭포는 특정한 조건과 지형 변동에 의해 발생하는 특이한 현상으로, 일반적으로는 쉽게 관찰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SBS ‘정글의 법칙 in 인도양’의 촬영지인 모리셔스 수중폭포가 온라인 상에서 화제다.

    29일 방송된 ‘정글의 법칙 in 인도양’에서는 병만족의 마지막 모험의 땅, 모리셔스 수중폭포로 유명한 모리셔스에서의 새로운 생존기가 공개됐다.

    병만족의 마지막 생존지로 선택된 곳은 인도양 남서부에 위치한 화산섬 모리셔스다. 환상적인 일곱 빛깔 모래를 품은 모래 언덕 ‘샤마렐’의 세븐 컬러드 어스(Seven Colored Earth)와 바다 수심 깊은 곳으로 물이 떨어지는 듯한 모리셔스 ‘수중 폭포’는 대표적인 볼거리로 꼽힌다.

    모리셔스 수중폭포는 바다 속에서 심해로 빨려들어가는 듯한 인상적인 광경이 눈길을 끄는곳이다.

    모리셔스 수중폭포는 일반인들에게는 낯설 것으로 보이지만 이미 많은 일반인들이 다녀간 천혜의 관광지다.

    뿐만 아니라, 모리셔스는 코리끼 거북, 큰 박쥐, 게코 도마뱀, 핑크 비둘기 등 다양한 희귀 동식물들이 서식하는 태고의 자연을 간직하고 있다. 소설 ‘톰소여의 모험’의 작가 마크 트웨인이 “신은 모리셔스를 창조하고 난 뒤 천국을 만들었다”며 극찬할 정도로 아름다운 지상 최고의 섬나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