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기온이 높아지면 시력이 나빠지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더운 지역에 사는 사람이 시력 더 파괴연구팀의 조사 결과 평균 기온이 섭씨 10∼12.7도인 지역에 사는 주민은 10도 이하인 지역의 주민보다 시력이 크게 부서질 위험이 14%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날씨와 시력과는 도대체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일까요. 참 재밌는 연구가 아닐 수 없습니다.연구결과를 보면 연평균 기온이 섭씨 12.8∼15.5도인 지역의 주민은 심각한 시력 자체가 부서지지는 위험이 24%, 섭씨 15.6도 이상인 지역 주민은 44% 각각 높았다고 합니다.65~79세, 남성, 백인이 더 강하게 나타나연구팀은 이 같은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조사를 했다고 합니다. 그랬더니 80세 이상 노인들보다 65∼79세 노인에서, 여성보다 남성에서, 흑인보다 백인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고 해요.왜 날씨가 높으면 시력 파괴가 올까연구팀은 높은 기온이 시력 파괴와과 연관이 있는 이유는 기온이 올라갈수록 눈에 해로운 태양 자외선이에 그대로 꾈 수 있다고 합니다. 대기오염, 감염, 엽산 분해 위험도 커진다고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3
0
0
비냄새는 어떤 성분때문에 나는 무슨 냄새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비속에는 하늘에 있는 먼지, 분진 및 기타 물질들이 섞여서 떨어지게 됩니다. 론합물질들의 성분 및 냄세에 따라 비의 냄새가 결정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23
0
0
빛의 삼원색을 합치면 왜 흰색이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의 삼원색 : 빨강, 초록, 파랑 빛의 삼원색을 모두 합치면 흰색이 되고, 빛이 없으면 검은색이 된다. 즉 색상을 더하면 더할수록 흰색에 가 까운 색이 되는데, 이를 가산혼합이라 한다.감산혼합은 물감색을 조합하는 것으로, 가산혼합과 반 대되는 결과를 나타낸다. 마젠타(Magenta), 시안(Cya7), 옐로(yellow)를 섞으면 검정이 된다.RGB와 CMY는 서로 보색관계에 있다.
학문 /
화학
23.07.23
0
0
현재 과학기술로 인공 태양이라는 것을 만들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꿈의 에너지로 불리는 핵융합 에너지 개발을 위한 핵융합 실험로가 완성되었다. 이번에 완성된 핵융합 실험로는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연료로 사용해 초고온의 플라스마를 생성하여 자기장을 활용해 가두는 장치로, 태양처럼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환경을 재현하게 된다. 앞으로 핵융합 실험로가 성과를 거두면 인공 태양이 지구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전망된다.인공 태양은 핵융합을 하여 바닷물 1리터로 휘발유 300리터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핵융합이 실용화된다고 해서 공짜로 쓸 수 있는 전기 에너지가 무한정 생기는 것은 아니다. 플라스마를 생성하는 데 적지 않은 에너지가 소모되기 때문이다. 또한 지속적으로 높은 효율을 유지하는 핵융합로를 운용해야 하는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토카막 핵융합 방식에서 한국은 선두주자다. 핵융합을 장작을 때는 것에 비유하자면, 미 LLNL의 성과는 불을 붙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핵융합연은 연료인 장작을 모아두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즉 중수소와 삼중수소로 만든 플라스마를 장시간 유지 제어하는 기술이다. 핵융합연은 2018년 핵융합 플라스마 이온 온도 1억도 도달에 성공한 이후 매년 유지 시간을 늘려왔다. 2020년 20초 연속 운전에 성공한 데 이어 지난해 유지 시간 30초를 돌파했다. 세계 최고 기록이다. 물리학계에서는 플라스마를 100초 정도 유지하면 계속 운전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김웅채 핵융합연 고성능플라스마연구부장은 “2026년 1억도 초고온 플라스마 유지 300초를 달성하는 것이 목표다”라고 말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23
0
0
지렁이는 왜 밖으로 나오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비가오면 땅속에 물이 차기 때문에 숨을 쉬기 위해서 땅 밖으로 나오게 됩니다. 그러다가 비가 그치면 다시 땅 속으로 들어가지만, 시멘트나 아스팔트로 나온 지렁이는 다시 돌아가지 못하고 말라 죽게 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23
0
0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차이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디지털 시계의 경우 한 시간, 일 분, 일 초 단위로 시간이 나눠져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읽을 수 있죠. 물론, 더 작은 단위로 나눈다면 더 작은 시간으로 읽을 수 있겠죠.즉, 아날로그는 연속된 값을 가지고, 디지털은 끊어져 있는 비연속적인 값을 가집니다.즉, 23초와 24초 사이의 값을 표현한다고 할 때, 아날로그 시계는 표현이 가능하지만 디지털 시계는 표현할 수 없죠.
학문 /
전기·전자
23.07.23
0
0
미세먼지 , 초미세먼지 측정은 어떤기준으로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각 지역 거점. 사람이나 차량이 많은 지역에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설치해서 미세먼지를 측정하게 됩니다. 미세먼지를 포집해서 먼지의 농도와 종류 크기를 분석해서 내용을 표출하게 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7.22
0
0
왜 금성은 다른 행성들과 다른 방향으로 자전 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금성은 대부분의 행성들과는 반대로 자전을 한다. 즉, 지구의 북극에서 바라볼 때 시계방향으로 자전을 하는 것이다. 금성의 자전축은 적도 면에 대략 3° 기울어진 177°이다. 3°가 아닌 177°를 사용하는 것은 금성의 역회전을 포함하는 수치다. 금성 이외 대부분의 행성에서는 태양이 동에서 떠서 서로 지지만, 금성에서는 서에서 떠서 동으로 진다. 금성의 자전이 왜 역방향인지는 알 수 없으나, 태양과 다른 행성들의 중력 섭동이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태양과 행성들로부터 섭동을 받은 금성은 자전축이 크게 변하게 된다. 그리고 두꺼운 대기 또한 조석력에 의해 금성의 자전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를 시뮬레이션에 대입하면 현재와 같이 금성의 자전 속도는 느려지고 역회전을 하게 된다. 이런 최종적인 결과의 과정은 두 가지로 추측된다. 한 가지는 자전축이 180°로 뒤집혀 역회전을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기울기의 변화 없이 자전 속도가 느려지고 결국 조석에 의하여 느린 역회전을 하게 된 것이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2
0
0
에어컨의 작동 원리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그렇다면 에어컨의 동작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위에서 살펴본 냉동사이클 과정을 기억하면서 에어컨은 동작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공기 순환 : 에어컨의 블로워 팬은 따뜻한 실내 공기를 리턴 에어 덕트를 통해 흡입하여 증발기 코일 위로 전달합니다. 증발기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공기를 식힙니다.2) 열 흡수 : 실내 공기가 차가운 증발기 코일을 통과하면 코일 내부의 냉매가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합니다. 이 열 전달로 인해 냉매가 증발하여 저압 가스로 변합니다.3) 수분 제거 : 냉각 외에도 증발기 코일은 공기의 제습에도 도움이 됩니다. 따뜻한 공기가 차가운 증발기 코일에 닿으면 공기 중의 수분이 코일에 응결되어 배출 팬에 모여 습도를 효과적으로 낮춥니다.4) 열 제거 : 이제 냉매는 기체 상태가 되어 컴프레서로 다시 흐릅니다. 컴프레서는 가스를 가압하여 온도를 높입니다. 그런 다음 고온의 고압 가스가 응축기로 들어가서 외부 환경으로 열을 방출합니다. 콘덴서 팬은 열을 신속하게 방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5) 재순환 : 그런 다음 냉각된 공기는 에어컨의 블로워 팬에 의해 급기 덕트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다시 밀려 들어갑니다. 이 프로세스는 원하는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되며, 이때 서모스탯이 에어컨을 껐다 켜라고 신호를 보냅니다.6) 반복 주기 : 냉동 사이클은 원하는 실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반복되는 연속적인 프로세스입니다. 컴프레서는 서모스탯의 온도 설정에 따라 계속 켜지거나 꺼집니다. 냉매를 압축하여 콘덴서 및 팽창 밸브를 통해 순환시키고 증발기에서 증발시켜 실내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22
0
0
거울에 비누칠을 하면 김서림이 방지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거울에 비누칠을 바르면 거울 표면에 얇은 유리 막이 형성되어 거울 표면의 수증기가 흡착되지 않습니다. 비누칠은 거울 표면에 기름짐을 남기고, 이 기름짐이 거울 표면을 덮어 수증기가 흡착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학문 /
화학
23.07.22
0
0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