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사람이 살기위해 숨쉬는 산소는 어떻게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식물들이 광합성 작용을 하면서 산소를 만들어 냅니다. 해조류나 해조 식물, 플랑크톤도 산소발생에 도움이 됩니다.
학문 /
화학
23.07.21
0
0
오리너구리의 독은 왜 존재하고 그 역할과 강도는 어느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오리너구리 역시 전기수용을 통하여 먹이의 동작을 포착한다. 포유류 가운데서는 매우 드물게도 독성 물질을 지니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신경독을 보유하고 있고, 수컷 오리너구리의 뒷발 며느리발톱과 연결된 독샘을 통해서 분출되며, 인간이 여기에 베일 경우 찌르는 듯한 극심한 고통을 수반한다. 알에서 태어나지만 어미의 젖도 먹는다.
학문 /
생물·생명
23.07.21
0
0
지구처럼 안정적인 대기권을 가진 행성은 없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화성이 가징 가까우면서 물이 있을 가능성과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많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1
0
0
자동차가 달릴때 타이어휠이 꺼꾸로 돌게보이는게왜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착시현상입니다. 바퀴가 너무 빠르게돌고 우리가 감지할 수 있는 프레임의 주기와 맞춰 바퀴가돌면 바퀴가 멈춘듯이, 인지영역주기보다 약간 느리게돈다면 바퀴가 뒤로가는것처럼 보입니다. 선풍기 날개도 동일한 현상입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7.21
0
0
지구과학 용어 중에 대륙사면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대륙붕 끝에서 외해쪽을 향해서 대륙대(continental rise) 또는 대양저(ocean floor)로 내려가는 사면을 말한다. 대륙사면은 상대적으로 경사가 급해지는 구역으로 수심 약 2,500m까지이며, 상대적으로 폭이 좁고 평균 경사는 4 정도이고, 해저협곡(submarine canyon)이 발달하여 있다. 대륙사면은 일반적으로 가벼운 대륙지각(continental crust)과 무거운 해양지각(oceanic crust) 사이의 경계를 표시한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1
0
0
원자,분자의 차이를 설명해주실분??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물체는 물질로 만들어지며, 이 물질은 두 개 이상의 원자가 함께 결합 된 분자 로 구성됩니다. 즉, 간단히 말해서, 원자들은 함께 그룹화되어 우리 주변의 대상을 구현하는 분자를 형성합니다. 전체 우주는 원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소의 작은 입자이므로 맨눈으로 또는 현미경으로 볼 수는 없지만 각 물체에 존재하며 우리의 영향을받습니다.
학문 /
화학
23.07.21
0
0
닭의 유전자를 바꾸어서 치키노사우르스라는 공룡을 만들고 있다고 하는데 얼마나 진행됐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그 정체는 바로 닭인데요. 잭 호너는 지금의 기술로 닭을 공룡으로 만드는 건 사실 절반은 완성된 것이나 다름없다고 밝혔어요. 닭으로 만든 공룡의 이름은 치키노사우르스(Chickenosaurus). 우리는 일반적으로 닭을 작고 약한 존재로, 공룡을 크고 강한 존재로 보는데 이 둘의 유전자가 닮았다니! 정말 신기하지 않나요?실제로 2015년 5월, 하버드대와 예일대 연구팀은 닭의 부리를 공룡의 코처럼 만드는데 성공하기도 했어요.
학문 /
생물·생명
23.07.21
0
0
에어컨은 무슨 원리인가요? 어떻해 시원해지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에어컨의 기본적인 원리는 한마디로기화열에 의한 냉각이에요!액체가 기체로 기화할 때는 열을 흡수하고기체가 액체로 응축할 때는 열을 방출하는데,에어컨은 압축기로 압력을 크게 변화시켜기체 상태였던 냉각제를 액체로 응축한 후압력을 낮춰서 증발기 안에서 액체 상태의냉각제가 다시 증기로 기화할 때열을 빼앗아 주위의 온도를 낮춥니다.그래서 에어컨 내의 냉매가 떨어지게 되면충전을 해야하는 것도 그 이유이죠!
학문 /
화학
23.07.21
0
0
여름에 시원한 음식을 먹으면 정말 몸의 온도도 내려가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시원한 것을 먹게 되면 몸의 온도가 약간 내려가게 됩니다. 하지만 바로 체온을 유지히기 위해서 몸에 열을 내게 됩니다. 인체는 항상성을 유지 하려고 합니다.
학문 /
화학
23.07.21
0
0
농게의 수컷은 한쪽 집게발이 큰데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농게 수컷의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인 커다란 한쪽 집게는 번식철에 암컷에게 신호를 보내거나 영역 내 경쟁자와 싸우는 데 사용한다. 암컷은 자기 앞에서 집게를 더 높이 들고 빠르게 움직이는 수컷을 짝짓기 상대로 선호하는데, 상대를 정하면 알을 품는 동안 짝의 굴에서 생활한다. 한 서식지에 여러 종이 함께 살기도 하는데 색상과 과시행위가 다른 덕에 암컷이 상대를 헷갈릴 일은 없다고.
학문 /
생물·생명
23.07.21
0
0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