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깊은 물속으로 계속 들어가게되면?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10m이상 내려가게 되면 기압차를 느끼게 됩니다. 귀가 멍멍해지고, 물의 압력도 느껴집니다. 그 이싱 내려가게 되면 흔히 말하는 잠수병이 나타나게 됩니다.
학문 /
화학
23.07.07
0
0
물과 얼음의 부피가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물질은 온도가 내려가면 부피가 줄어듭니다. 그러나 물은 섭씨 4도일 때의 부피가 가장 작고, 그보다 수온이 낮아지면 오히려 부피가 늘어납니다. 얼음이 되면 10분의 1쯤 부피가 더 커집니다. 무게가 그대로인 체 부피만 늘어나므로 그만큼 가벼워지고 늘어난 부피만큼 물에 뜹니다. 이것이 빙산이 바다에 10분의 1만 모습을 내보이고 떠다니는 이유입니다.
학문 /
화학
23.07.07
0
0
스트레스를 받거나 기분이 좋지 않을때 단음식을 먹으면 기분이 좋아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스트레스를 받으면 실제로 단 음식이나 정크푸드가 먹고 싶어진다는 사실이 국제 학술지 ‘식이행동(Eating Behaviors)’에 발표됐다.호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대학교 스포츠운동과학 쉬나 리어 교수팀은 성인 1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스스로 스트레스를 인지하는 그 날의 긴장감 수준, 특정 음식을 먹고 싶은 마음, 실제로 섭취했는지에 대한 내용이었다. 참가자들은 7일 동안 매일 설문에 답하도록 했다.분석 결과, 참가자들은 긴장감이 높은 날에 탄수화물과 단 음식, 패스트푸드와 같은 식품을 더 먹고 싶어했으며 실제로도 정크푸드를 더 많이 먹었다고 답했다. 또 전체적으로 더 많은 양의 음식을 먹기도 했다.연구진은 “긴장감, 불안, 스트레스가 식습관과 관련된 행동을 바꿀 수 있다”며 “스트레스는 어떤 음식을 먹는가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스트레스를 받은 사람이나 나쁜 감정을 피하려고 감정적으로 음식을 먹는 사람은 보통 설탕, 포화지방, 트랜스지방 함량이 높은 고열량 음식이나 음료를 찾았다.
학문 /
화학
23.07.07
0
0
술 마신 후에 땀을 흘리는게 술을 깨는데 도움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체내에 흡수된 알코올의 약 10%가 호흡과 땀을 통해 배출되는데요. 그러므로, 적당히 땀을 흘리는 것은 숙취에서 벗어나는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술을 많이 마신 사람은 이미 수분이 부족하기 때문에 목욕이나 사우나에 들어가기 전에 적절한 음료를 마셔 수분을 충분히 보충하는 것이 좋겠죠?마찬가지로 가벼운 운동도 좋습니다. 운동을 하면서 땀을 흘려도 알코올 방출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술 마신 다음 날 두통을 겪는경우도 많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근육통을 경험하기도 하죠. 그러나 진통제를 함부로 복용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아스피린이 그렇지 않아도 알코올로 예민해진 위를 자극해 출혈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타이레놀, 게보린, 펜잘, 사리돈의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은 알코올과 함께 흡수될 때 특히 간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게다가 알코올을 해독하기 위해 간이 이미 무리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굳이 약을 먹지 않아도 간을 더 피곤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충분한 수분과 전해질이 보충되고 알코올 분해가 끝나면 대부분의 고통은 곧 사라지게 된다고 합니다.
학문 /
화학
23.07.07
0
0
우주에서 어떻게 사람이 죽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는 산소가 없고, 방사능물질이 많으며, 영하 100도 이하의 추운 곳입니다. 우선 우주로 나가게 되면 급속으로 얼게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7
0
0
화학 용어 중에 열융합이 무엇을 뜻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가벼운 원자핵이 고온ㆍ고압에서 결합하여 무거운 원자핵으로 되는 핵반응. 질량 결손에 해당하는 에너지가 방출되는 융합반응 입니다.
학문 /
화학
23.07.07
0
0
세계 각 지역의 해수 염도가 각각 차이가 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세계 각지의 바다에서 영분의 함량이 다른 이유는 우선 주변에 염분이 많아서 물이 바다로 흘러 오면서 많은 염분을 함유해서 오기 때문입니다. 두번째로 각 지역 바다 마다 증발되는 물의 양이 다릅니다. 내려오는 양보다 증발양이 많으면 염도가 높아 집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7
0
0
지구의 70%가 바다라고 하지만..언제까지 짠물일 수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민물이 흘러오면서 바위, 자갈, 흙속의 염분을 포함해서 바다로 가는 것입니다. 그리고 바닷물은 다시 증발이 되고 그 속의 염분은 계속 남아 있게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7
0
0
자전거를 타는 원리가 넘어지는 반대 방향으로 핸들을 돌려서 중심을 잡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자전거는 우선 넘어지는 용기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중심을 잡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핸들 방향을 계속 변경하면서 중심을 잡아 주는 것이 좋습니다.
학문 /
물리
23.07.07
0
0
목성 사진들을 보면 '대적반`으로 불리는 붉은색 큰 점이 있던데 이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대적반(Great Red Spot:혹은 대적점)은 목성의 소용돌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대적반은 타원 모습이며, 크기는 지구 보다 훨씬 크다. 그리고 대적반 주위의 대기는 반시계방향으로 순환한다. 남반부에 있는 이 대적반은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두 개의 대기 띠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대적반 내의 풍속은 100m/s에 가까우며 매우 역동적이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7
0
0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