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에어컨 1대의 시원함은 선풍기 몇 대와 유사한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선풍기의 소비전력은 45W 에어컨의 소비전력은 2000W이다. 45배 차이이다. 선풍기 45대를 강풍으로 틀어놓으면 에어컨1대의 소비전력이 된다. 이때의 에어컨은 냉매와 실외기가 최대치로 돌고 있을 때일 것이다. 만약 인버터 에어컨이라면 어떨까? 인버터 에어컨의 최소 소비전력은 320W 이다. 이럴때는 선풍기를 7대 틀어놓은 정도의 전기 밖에 먹지 않는다. 하지만 인버터 에어컨이 작동하기까지 온도를 낮추는 과정 중에는 당연히 전격 소비전력을 소모한다. 따라서 인버터에어컨의 최소 소비전력으로만 비교한다면 오류가 있다 .
학문 /
전기·전자
23.06.19
0
0
뻥튀기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어떻게 해서 부피가 그렇게 늘어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쌀 등의 곡물에 압력을 가한 후 단번에 개방하여 부풀린 식품과 과자의 일종이다. 곡물팽창기라는 제조기계를 사용하는데, 회전원통형 압력솥에 생쌀 등을 넣고 뚜껑을 밀폐하여, 압력솥 자체를 회전시키면서 가열한다. 압력솥이 충분히 가압(10기압 정도)되면 압력솥의 밸브를 망치로 두드려 단번에 감압한다.이때 재료 내부의 수분이 급격히 팽창하여 심한 폭팔음을 수반하면서 가마솥에서 내용물이 기세좋게 튀어나온다. 따라서 공장 이외에서는 기계에 그물바구니를 설치한 후 개방할 필요가 있다.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폭팔음이 '뻥튀기'라는 명칭의 기원이다. 이 팽화(膨化)라는 과정으로 쌀의 경우, 원래 크기의 10배 정도까지 부피가 팽창하여 바삭하고 가벼운 식감의 과자가 된다. 모양은 원료를 그대로 확대한 형태로 맛과 식감은 시리얼과 유사하다. 일반적으로 이에 끓인 설탕이나 꿀을 코팅하거나 가루설탕 등을 묻히는 등 단맛을 첨가하여 먹는다. 미리 쌀에 식용색소를 입혀 다양한 색상의 뻥튀기를 만들 수도 있다.
학문 /
화학
23.06.19
0
0
우리나라 울릉도도 분화가능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동해의 아름다운 섬 울릉도는 지금은 화산 폭발을 멈춘 사(死)화산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울릉도가 최근까지 화산 활동을 했던 ‘젊은 화산’이라는 주장이 새롭게 제기됐다. 더구나 지열이 다른 곳보다 뜨거워 앞으로 폭발할 가능성도 남아 있는 것으로 예측됐다.손영관 경상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와 김기범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연구원은 울릉도 중심에 있는 나리분지에서 60m 두께의 화산재 층을 분석해 그 결과를 과학동아 5월호에 단독 공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울릉도는 1만9000년 전 이후 다섯 번의 크고 작은 화산 폭발을 겪었다. 울릉도에서 최근 2만년 동안의 화산 기록을 정확하게 밝혀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1만9000년은 수억, 수천만 년을 따지는 지질학에서는 ‘찰나’와도 같은 짧은 시간으로, 화산 활동이 극히 최근까지 활발하게 이뤄졌다는 증거다. 마지막 화산 폭발은 약 5000년 전에 일어나, 한반도에 사람이 살던 시기에도 폭발이 있었음이 처음 밝혀졌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19
0
0
음식에 소금을 추가할때 단맛이 증폭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흔히 달콤한 과일을 더 달게 먹거나 토마토와 같이 단맛이 없는 과일을 먹을 땐 설탕을 찍어먹는 경우가 많다. 얼핏 듣기에는 ‘수박과 토마토에 소금을 찍어 먹으면 더 달다’는 이야기는 말도 안되는 것처럼 들릴 수도 있다. 하지만 원리를 살펴보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짠맛을 내는 소금은 설탕 등 단맛을 내는 재료와 만나면 단맛을 더 달게하는 효과가 있다. 서로 다른 종류의 맛이라도 두 가지 양념을 섞으면 맛의 상승효과가 일어나기 때문.짠맛이 맛에 비해 뇌에 전달되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수박에 소금을 뿌려 먹으면 먼저 소금의 맛이 전해지고 그 다음에 수박의 단맛이 전해진다. 이때 짠맛은 다음에 오는 단맛을 한층 강화시키는 특성이 있다. 수박에 소금을 살짝 뿌려 먹으면 더 달게 느껴지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마찬가지로 토마토와 같은 과일에 소금을 뿌려 먹으면 단맛이 강해져서 더 맛있게 먹을 수 있다. 토마토의 경우는 소금의 나트륨과 토마토의 칼륨 성분이 합쳐져 단맛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밖에 같은 원리로 팥죽을 먹거나 옥수수를 삶을 때 약간의 소금을 넣으면 더욱 깔끔한 단맛을 느낄 수 있게 된다.
학문 /
화학
23.06.19
0
0
왜 매운걸 먹으면 설사가 날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나치게 매운 음식을 과도하게 많이 드시게 된다면 소화기관이 손상될 수 있는데요 매운 음식을 먹은 뒤 설사를 하는 이유는 바로 캡사이신 때문입니다 과도한 캡사이신은 장이 수분흡수를 못하게 막습니다과도한 캡사이신은 위장과 소화기관에 무리를 주고, 장이 제대로 수분을 흡수하지 못하게 막습니다 그래서 설사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설사 이외에도 복부팽창, 복통 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심한 경우에는 과다산증, 소화성궤양, 위불쾌감 위식도 역류질환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6.19
0
0
벼룩은 어떻게 높이 뛰어오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다리가 매우 길며 그 중 도약하는데 적합한 뒷다리가 가장 길다. 덕분에 곤충 중에서 가장 높이 뛸 수 있는 동물로 기록되고 있다.[1] 벼룩이 높은 도약이 가능한 이유는 두 다리 사이에 생체 톱니바퀴(!)가 있어서 다리들이 정확하게 접혔다가 동시에 정확하게 펼쳐지는 원리로 정확하고 높고 빠른 점프가 가능한 것이다. 게다가 다른 곤충들과 달리 무릎이나 전절(허벅지)이 아닌 경절(정강이) 부절(발목)을 이용하여 도약한다. 또, 도약할 때 근육의 힘 대신 레실린이라는 단백질로 저장된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한다. 가장 높게는 18cm, 가장 멀리로는 33cm로 꽤나 도약력이 상당하다.[2] 사람으로 치자면 키가 170인 사람이 15층 이상의 빌딩을 한번에 뛰어오르는 셈이다.
학문 /
생물·생명
23.06.18
0
0
하늘에 떠 있는 구름의 모양은 왜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가 상승하면서 부피가 커지고 온도가 떨어집니다. 때문에 공기중 수증기가 물이되면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구름이 형성될 때 지형, 기압, 수증기량, 수증기량의 분포도 등 아주 다양한 변수에 의해 모양이 결정되기 때문에 각기 다른 모양의 구름이 형성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18
0
0
사막에는 비가 전혀 내리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사막은 강수량이 매우 적은 지역이지만, 전혀 비가 내리지 않는 것은 아니고, 일년에 몇 번 또는 몇 년에 한 번정도 비가 내리는곳이 많습니다. 며칠에 걸쳐 비가 내리는 것이 아니라 한번에 많은 양의 비가 내리고 강우의 간격은 불규칙하며 양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해마다 강수량의 변동이 심한 편입니다. 사하라 사막 같은 극건조 지역의 경우 24 시간 동안의 강수량이 연간 평균 강수량을 초과하게 된느 경우도 드물지 않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18
0
0
바다에 파도가 생기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일 반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파도는 '풍파(파)☆) 라 하여 바람에 의해 바다 표면에 만들어지는 파도를 의미하죠. 지구 중력에 의해 멀리 퍼지기 때문에 중 력파라고도 하는데요. 강한 바람에 의해 만들어져 넓은 지역에 걸쳐 빠르게 퍼지는 파도는 너울 이라 고 합니다. 또 바닷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생기는 아 주 작은 규모의 잔물결은 '표면장력파'라 하고, 이외 에 바닷물의 밀도 차이에 의해서도 발생하는 내부 파'나 지구자전효과에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거대 한 규모의 '행성파' 등도 있답니다.이 파도(풍파)는 어떻게 해서 부서지고 또 밀려오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일까요?바다의 깊이에 따라 파도가 부서지는 원인은 조금 씩 다릅니다. 수심이 비교적 깊은 바다의 경우, 수 층 사이에 마찰력(마찰용력)이 가해지며 물살이 계 속 부서진다고 해요. 물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마찰 력이 계속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18
0
0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과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소화의 원리는 음식물을 신체에 의해 흡수될 수 있는 더 간단한 분자로 분해하기 위해 함께 일하는 몇 가지 요소들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기계적 소화, 화학적 소화, 그리고 흡수를 포함합니다.기계적 소화는 음식물을 더 작은 조각으로 물리적으로 분해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이것은 씹는 것을 통해 입에서 그리고 근육 수축을 통해 위에서 발생합니다.화학적 소화는 음식물을 더 작은 분자로 분해하기 위해 소화 효소와 산의 사용을 포함합니다. 이것은 침의 작용을 통해 입에서, 산과 효소의 분비를 통해 위에서, 그리고 췌장 효소의 작용을 통해 소장에서 발생합니다.흡수는 소장에서 혈류로 영양분을 전달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이것은 흡수 가능한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빌리와 마이크로빌리라고 불리는 손가락 모양의 돌출부로 늘어선 소장의 벽을 통해 발생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6.18
0
0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