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대찬밀잠자리170
대찬밀잠자리170

우리나라 울릉도도 분화가능성이 있나요?

일본이나 이탈리아나 섬이 많은 나라들을 보면 아직도 분화를하는 섬들에 사람들이 살고있던데 우리나라의 울릉도도 분화를 할 가능성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신기한친칠라145
      신기한친칠라145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동해의 아름다운 섬 울릉도는 지금은 화산 폭발을 멈춘 사(死)화산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울릉도가 최근까지 화산 활동을 했던 ‘젊은 화산’이라는 주장이 새롭게 제기됐다. 더구나 지열이 다른 곳보다 뜨거워 앞으로 폭발할 가능성도 남아 있는 것으로 예측됐다.


      손영관 경상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와 김기범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연구원은 울릉도 중심에 있는 나리분지에서 60m 두께의 화산재 층을 분석해 그 결과를 과학동아 5월호에 단독 공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울릉도는 1만9000년 전 이후 다섯 번의 크고 작은 화산 폭발을 겪었다. 울릉도에서 최근 2만년 동안의 화산 기록을 정확하게 밝혀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1만9000년은 수억, 수천만 년을 따지는 지질학에서는 ‘찰나’와도 같은 짧은 시간으로, 화산 활동이 극히 최근까지 활발하게 이뤄졌다는 증거다. 마지막 화산 폭발은 약 5000년 전에 일어나, 한반도에 사람이 살던 시기에도 폭발이 있었음이 처음 밝혀졌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울릉도는 분화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됩니다. 분화는 화산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화산이 있는 지역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울릉도는 대부분이 완화암이나 고생대로 이루어진 섬으로서, 현재는 활성화된 화산이 없거나 큰 화산 활동이 없는 안정된 지역입니다.

      일본이나 이탈리아와 같은 분화가 이루어진 섬들은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들은 지진대나 화산활동에 대한 준비와 대응체계를 구축하여 안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울릉도의 경우, 화산 활동이 없거나 매우 희박하다고 평가되기 때문에 분화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진 활동의 가능성은 있을 수 있으므로, 지진 대비 및 안전 대책은 필요한 사항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울릉도 역시 해저화산으로부터 터져나와 만들어진 섬이므로, 해저바닥의 마그마방이 터져나온다면 언제든지 분화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한반도는 지열 활동이 활발한 지역이며, 역사적으로도 지진과 화산 폭발 등 지질적인 활동이 잦았습니다. 그리고 울릉도도 화산 활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울릉도는 3만 6천 년 전부터 2,000년 전까지 화산 폭발 및 분화가 일어났으며, 현재도 화산체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울릉도에서 큰 화산 폭발이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울릉도에서 분화가 일어날 가능성은 있지만, 정확한 시기나 규모 등을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연구와 학회지에 따르면, 울릉도는 분화 가능성이 있습니다. 울릉도는 활화산으로 분류되며, 마지막 분화는 약 5,000년 전에 일어났습니다. 울릉도에는 마그마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언제든지 분화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실제로 일어날 확률은 낮으므로.

      절대적으로 단정지을수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5000년 전 일어난 마지막 분화를 끝으로 울릉도에서의 화산활동은 감지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분화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울릉도는 화산폭발을 멈춘 사화산으로 분류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울릉도가 젊은 화산이며 사화산이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습니다.


      지질학에서는 1만년 이내에 화산 활동 기록이 있으면 사화산이 아니라 생화산인 것으로 구분하는데, 울릉도는 5000년 정도 전에 나리분지 북쪽의 알봉을 형성하는 분화를 일으킨 적이 있으며, 약 2만년 동안 최소 5회 이상의 분화를 발생시켰습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울릉도는 사화산으로 단정적으로 분류하기에는 난점이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