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23.12.03

우리나라 한라산, 백두산, 울릉도 이외에 화산이 더 있나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화산은 백두산, 한라산, 울릉도 등이 있는데요. 그 이외에 화산이 더 있나요? 있다면 분화 가능성은 얼마나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는 백두산, 한라산, 울릉도 외에도 화산이 더 있습니다. 대표적인 화산으로는 독도, 마라도, 장산도, 소청도 등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우리나라에는 약 200여 개의 화산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대부분 화산은 오랜 시간 동안 분화 활동이 없었기 때문에, 분화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우리나라에는 한라산, 백두산, 울릉도 외에도 추가령 화산이 있습니다.

    이 화산들은 모두 홀로세 이후에 분화 기록이 남아있습니다.

    참고로 추가령 화산은 북한과의 경계에 위치해 있으며, 만일 사화산 또는 화산의 흔적이라면 여러 곳에 남아있긴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는 백두산 한라산 울릉도 외에도 여러 화산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주도에는 성산일출봉과 용머리해안 등의 화산이 있고 경상도에는 금강산과 대불산 등의 화산이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주변에는 일본의 후쿠시마나 일본해 연안에도 화산이 있습니다.

    화산의 분화 가능성은 화산의 종류와 활동성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활동성이 높은 화산일수록 분화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백두산은 최근 500년 이내에 3번의 분화를 경험한 활동성이 높은 화산으로 분류됩니다. 반면에 한라산은 최근 500년 이내에 분화를 경험하지 않은 활동성이 낮은 화산으로 분류됩니다.

    하지만 화산의 활동성은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항상 주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울릉도의 울릉산은 최근 500년 이내에 분화를 경험하지 않았지만 최근 100년 이내에 활동성이 높아지는 신호를 보이고 있습니다.

    화산의 분화 가능성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지진 지열 가스 등 다양한 지질학적 데이터를 분석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화산지형의 흔적:



    한반도는 지각이 비교적 안정되어 화산 활동이 활발하지는 않다. 한반도의 화산 활동은 주로 홍적세에 이루어졌는데,



    백두산은 대규모 폭발과 분출물로 일본 북부까지 영향을 주었고, 넓은 개마고원을 형성했다. 역시 홍적세에 형성된 제주도와 울릉도는 화산섬으로 다양한 화산지형을 보여준다. 철원·평강 용암대지, 신계·곡산 용암대지는 용암이 낮은 지대로 흘러내려가며 형성된 화산지형이다.



    주요 지형을 살펴보면,




    1. 백두산과 그 주변의 용암대지



    백두산 천지



    백두산은 신생대 제3기말에 6회의 화산분출로 현무암대지가 형성되었고, 제3기말에서 제4기초의 제2차 분출 때는 잘 흐르는 염기성 용암이 분출했으며, 제4기에 3회에 걸쳐 잘 흐르지 않는 점성이 큰 산성 용암이 분출되었다.



    그래서 높이 1,800m까지는 경사가 느린 현무암의 순상화산 형태를 보여주지만, 1,800~2,500m의 산정부는 조면암의 종상화산으로 되어 있어서 경사가 급하다. 백두산의 화산폭발은 매우 강력하여 화산재가 백두산에서 약 1,000km 떨어진 일본의 동북지방 북부에서 홋카이도[北海道] 남부까지 흩어져 있다. 천지는 거대한 칼데라호이며, 천지의 물은 달문이라고 불리는 북쪽으로 터진 화구벽, 즉 화구뢰(火口瀨)를 통해서 창바이[長白] 폭포를 이루고 얼다오바이강[二道白河]으로 흘러 쑹화 강[松花江]으로 유입한다.



    천지의 주변에는 이중화산의 외륜산에 해당하는 2,500m 이상의 16개의 봉우리가 둘러싸고 있다. 백두산과 그 주변에는 다공질의 화산쇄설물인 회백색 부석이 많이 쌓여 있다. 1597(선조 30), 1688(현종 9), 1702년(숙종 28)에 분화활동을 했다는 기록이 있다. 백두산은 한반도와 만주지방을 통틀어 가장 높고, 주변부는 천리천평(千里千坪)이라고 불리는 해발 1,500m 내외의 현무암 용암대지인 백두용암대지와 개마고원으로 이어져 있다. 백두용암대지는 백두산과 더불어 마천령계의 지층 위에 백두산에서 남동쪽으로 뻗은 백두화산대의 열하를 따라 현무암이 분출하여 형성되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아니요 없습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화산은 3곳이며 백두산만 아직 화산활동을 할수도 있다고 하죠.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한반도는 중생대에 화산활동이 활발했지만 풍화·침식으로 인해 당시의 모습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현재는 백두산과 그 주변의 용암대지, 철원·평강·신계·곡산의 용암대지, 제주도·울릉도 등에서 화산지형을 볼 수 있는데 주로 제4기 플라이스토세의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된 것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