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소나기는 왜 발생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이 만들어져 비가 내리기 위해서는 어떤공기덩어리가 상승하여 대기 상공의 낮은 온도에서 응결하면서 구름이 만들어져야 하는 것인데요, 소 나기 구름의 전형적인 구름인 적운과 적란운 또한 어떤 이유에 의해서 공기덩어리가 단시간에 상승해 야 하는 것이고, 이후로도 구름으로도 급격히 발달 하여 비를 단시간에 내려야 합니다.* 소나기의 원인1 대류불안정에 의한 소나기2 하층제트와 지형효과에 의한 소나기3 지면가열에 의한 소나기이런 소나기 구름을 만들 수 있도록 뭔가 도와주는 경우가 있어야 하는데, 이렇게 소나기가 발생하도 록 돕는 경우로는 크게 3가지입니다. 대류불안정에 의한 것, 하층제트가 지형효과를 받을 때, 그리고 지면가열에 의한 소나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13
0
0
날이더워 에어컨을 구입했습니다. 무풍 요거요거 요물이네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무풍 에어컨의 원리는 다음과 같 다. 무풍 운전을 선택하면 바람 문이 닫히고 '메탈쿨링 패널'에 적용된 약 13만 5,000개의 '마 이크로 홀'을 통해 0.15m/s의 차갑고 미세한 기 류가 형성된다. 참고로 미국 냉공조학회 (ASHR AE)에서는 0.15m/s 이하의 바람을 무풍(Still a ir)로 정의하고 있다.
학문 /
전기·전자
23.06.13
0
0
뉴스에서 얘기하는 셰일가스는 뭐에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오랜 세월동안 모래와 진흙이 쌓여 단단하게 굳은 탄화수소가 퇴적암(셰일)층에 매장되어 있는 가스로, 전통적인 가스전과는 다른 암반층으로부터 채취하기 때문에 비전통 천연가스로 불린다. 기술적 제약 때문에 오랫동안 채굴이 이뤄지지 못하다가, 2000년대 들어 수평정시추 등이 상용화되며 신에너지원으로 급부상하였다.본문외국어 표기shale gas(영어)탄화수소가 풍부한 셰일층(근원암)에서 개발, 생산하는 천연가스를 말한다. 셰일이란 우리말로 혈암(頁岩)이라고 하며, 입자 크기가 작은 진흙이 뭉쳐져서 형성된 퇴적암의 일종이다. 셰일가스는 이 혈암에서 추출되는 가스로, 전통적인 가스전과는 다른 암반층으로부터 채취하기 때문에 비전통 천연가스로 불린다. 셰일가스는 난방·발전용으로 쓰이는 메탄 70~90%, 석유화학 원료인 에탄 5%, LPG 제조에 쓰이는 콘덴세이트 5~25%로 구성돼 있다. 유전이나 가스전에서 채굴하는 기존 가스와 화학적 성분이 동일해 난방용 연료나 석유화학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보통 천연가스는 셰일층에서 생성된 뒤 지표면으로 이동해 한 군데에 고여 있는 것이지만, 셰일가스는 가스가 투과하지 못하는 암석층에 막혀 이동하지 못한 채 셰일층에 갇혀 있는 가스다. 따라서 일반적 의미의 천연가스보다 훨씬 깊은 곳에 존재하고 있으며, 암석의 미세한 틈새에 넓게 퍼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기존의 천연가스와 같은 수직시추는 불가능하며, 수평시추를 통해서만 채굴할 수 있다. 따라서 1800년대에 셰일가스가 발견되었음에도 이와 같은 기술적 제약 때문에 오랫동안 채굴이 이뤄지지 못하다가, 2000년대 들어 수평정시추 등이 상용화되며 신에너지원으로 급부상하게 되었다.
학문 /
화학
23.06.13
0
0
배터리 내부에 분리막을 어떻게 넣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분리막 작업은 사람이 하기 어렵고, 자동화된 기계나 로봇이 진행합니다. 분리막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 소재의 얇은 막입니다. 양극과 음극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면서, 0.01~1㎛(마이크로미터)의 미세한 구멍으로 리튬이온만 통과시켜 전류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필름입니다. 주로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 등으로 만듭니다. 양극과 음극이 직접 만나 발생할 수 있는 쇼트를 방지하고, 미세 기공을 통해서 리튬이온은 전해질을 타고 이동합니다. 이 때 리튬이온이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하면 충전,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면 방전을 하며 외부 기기에 전기를 공급합니다. 또한, 배터리 셀의 온도가 적정 수준 이상으로 고온이 되면 미세기공이 차단돼 내부 쇼트를 방지해 주고,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있어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이나 이물질들을 막아 안전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합니다. 양극과 음극은 서로 닿았을 때 리튬이온의 움직임이 기하급수적으로 늘면서 폭발 위험이 큽니다. 반대로, 양극과 음극의 분리에만 신경 쓰면 리튬이온까지 이동이 안되어 배터리의 효율성이 크게 떨어집니다. 양극과 음극이 서로 닿지 않으면서 리튬이온만 잘 지나다니도록 하는 것이 분리막의 핵심 기술입니다. 정리해보자면, 분리막은 1) 배터리 셀 내부에 있는 여러 종류의 이온들과 반응하지 않아야 한다. 2) 전기화학적으로 안정적이어야 한다. 3) 절연 특성이 뛰어나야 한다. 4) 두께와 강도가 얇고, 우수해야 합니다.분리막의 스펙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 Layer 층 수, 셀 내부 온도를 견디는가, 통기도, 구멍의 크기(Pore Size), 화학적 저항성(전해액에 변형이 있는가), 배터리가 조립될 때 파괴되면 안 됨, 롤링에 의한 압력이 많이 가해지면 안 됨 등 다양한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가지는 분리막의 종류는 건식막, 습식막, 코팅 강화막이 있습니다. 분리막은 제조 방식과 원재료 따라 크게 크게 건식과 습식으로 나뉩니다. 습식 제조 방식은 고분자 PE를 기본 원재료로 압출과 화학처리를 거쳐 필름의 양면에 기공(Pore)을 형성시키는 단층필름 형태로 만듭니다. 고분자 소재와 저분자량의 왁스를 혼합해 고온에서 필름을 압출한 뒤, 용매(솔벤트)를 사용해서 왁스를 추출해 미세다공 구조를 형상하는 방식입니다. 습식은 위 표에 보이는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6.13
0
0
거울로 보는 자신의 얼굴이랑 남이 보는 얼굴은 왜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많은 사람이 ‘거울 속 내 얼굴과 다른 사람이 찍어준 사진 속의 얼굴 중 진짜 나의 얼굴이 뭘까?’라는 고민을 합니다. 거울이나 카메라 등을 이용하지 않는 이상 자신의 얼굴을 자신의 눈으로 볼 수 없기 때문이에요. 그런데 전면 카메라는 거울 속에서 보던 좌우 반전된 익숙한 얼굴이 보이고, 후면 카메라는 좌우 반전되지 않은 실제 다른 사람이 나를 보았을 때의 얼굴이 보이게 됩니다. 그래서 후면 카메라로 찍은 얼굴 사진을 보면서 다른 사람 눈에는 내 얼굴이 정말 이렇게 보이는 걸까? 궁금해하는 것이죠. 사람은 살면서 거울을 통해 좌우 반전된 자신의 얼굴을 계속해서 보게 됩니다. 그런데 사람은 무언가를 볼 때 자신이 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왼쪽을 먼저 쳐다본다고 합니다.
학문 /
화학
23.06.13
0
0
모기는 어떻게 생겨나기 시직했나요? 그리고 언제 처음 발견됬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모기와 인간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으며, 이는 인 간의 역사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모 기는 약 2억 년 전 지구에 등장한 이래로 지구상에 서 살아오며, 고대인들은 모기를 기록에 남기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 이집트 문명에서는 약 4,000 년 전부터 모기를 기록한 것이 발견되어 있습니다.하지만 모기가 인간과 밀접하게 연관되기 시작한 것은 상대적으로 최근에 이루어졌습니다. 모기는 인간의 피를 먹는 곤충 중 하나이며, 인간의 피를 먹이로 삼는 이유는 모기 암컷이 혈액에서 얻는 단 백질이 남쪽에서 남쪽으로 이동하는 성장방향에 영 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모기는 인간과 함 께 살아가며 인간의 피를 먹이로 삼으며, 이는 질 병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모기는 매개체로서 다양한 질병을 전염시키기 때문 에 인간과 모기의 관계는 양날의 검입니다. 예를 들 어, 말라리아, 뎅기열, 열대열, 지카 바이러스 등 다 양한 질병을 전염시키기 때문에 모기는 인간에게 큰 위협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13
0
0
요즘 나오는 콘센트 구멍이 사선인 이유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사선으로 해야 두개 이상의 플러그를 같은 방향으로 꽂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선이 아니면 두개 이상의 플러그를 꽂기 어렵거나 하나를 위로 해서 꽂아야 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6.13
0
0
아이폰은 왜 추울때 폰이 꺼져버리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이상적으로는 16도~22도가 배터리 최적온도이며, 35도 이상의 무더위에는 배터리 용량이 훅 갈 수 있고, 아주 추울때 배터리가 훅 닳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적당한 온도가 되면 성능도 돌아온다고 합니다. 여기까지는 일반적인 안내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모든 전자제품이 극단적인 온도는 피하라고 안내가 되어 있으니까요. 그런데 아이폰 맥북은 보다 구체적인 온도가 나와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6.13
0
0
엘리뇨 현상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엘니뇨 현상은 태평양에서 일어나는 기상현상으로, 평소보다 따뜻한 기온과 함께 강우량이 적어지는 것을 말합니다.7,8월에 비가 많이 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우리나라는 7,8월에 장마철이기 때문에 비가 자주 내리게 됩니다.비가 올 때 기온이 떨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비는 수증기 원리에 의해 기온을 낮추게 되므로, 비가 내리면 기온이 낮아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그렇다면 작년보다는 덜 더운 것인가요?- 비로 인해 기온이 낮아졌지만, 엘니뇨 현상으로 인해 평소보다 높은 기온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작년보다는 더웠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역마다 상이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정보는 기상청의 예보를 참고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13
0
0
훤한 대낮에 달이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낮에도 달이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지구의 자전과 달의 공전이 원인입니다. 지구는 자전하면서 하늘이 돌아가고 있습니다. 이때 지구와 달 사이에 있는 태양에서 비치는 빛은 지구의 대기권에 거의 모든 파장의 빛은 흡수되고 붉은빛만이 남아서 빨간색으로 보입니다. 반면에 달은 지구의 대기권을 통과하지 않고 달의 바닥에 비친 태양광을 그대로 반사하여 지구로 돌아오게 됩니다. 따라서, 태양과 지구가 떠 있는 동안에도 달은 지구와 태양 사이에서 지구로 반사된 태양광을 받아 지구에서 볼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낮달' 또는 '주간달'이라고 부르며, 보통은 낮달이 발생할 때 달은 매우 얕은 각도로 지표면에 비치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지표면과 달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서 낮달이 잘 보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13
0
0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