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탄산음료 먹고 물로 가글하고 30분뒤에 양치하라고 하던데 산성이 물로 가글 가면 없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최대한 물과 침으로 산성을 중화시키건나 치아 표면에서 떨어지게 만들어낸 후 양치를 해야 치아 손상이 덜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화학
23.06.10
0
0
남자가 여자보다 소변을 조금 더 참을 수 있다던데 왜 남여 차이가 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남성은 여성에 비해서 방광의 크기도 크고, 요도의 길이도 깁니다. 그렇다 보니 여성에 비해서 소변을 참는것에 유리한 상황입니다.
학문 /
화학
23.06.10
0
0
포스핀 물질이 생명체가 살았다고 하는 증거라고 하는데 어떤 물질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금성 대기에서 포스핀(인화수소, PH3)이 검출되었다는 뉴스가 떴다. 지상으로부터 약 50 km 상공이다. 포스핀은 유기물질이 썩을 때 발생하는 독가스의 일종이다.금성은 표면 온도가 섭씨 약 400도고 이산화탄소가 주축인 공기압이 지구의 약 100배다(화성은 지구의 약 1/100). 또 강산성의 비가 내린다. 이런 환경에서 포스핀이 자연적으로 생성되기는 어렵다고 한다.결국 유기물질이 포스핀을 내뿜는다는 것이다. 마치 화성 대기에서 화성의 환경으로 생성이 거의 불가능한 양의 메탄가스가 발견되는 것이나 유사하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10
0
0
OLED가 화질이 좋다고 하는데 어떤차이로 화질이 좋다고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는 전류가 흐르면 스스로 빛을 내는 유기물질을 이용한 ‘자발광형 디스플레이’입니다.백라이트 광원을 활용해 액정과 컬러필터를 거쳐 색을 표현하는 LCD와 달리 OLED는 유기발광층에 전류를 가했을 때 이에 반응하는 빛의 3원색인 RGB 발광물질을 통해 색을 표현합니다.픽셀 하나하나가 자체적으로 빛을 내기 때문에 화질,두께, 소비전력 측면에서 매우 우수할 뿐 아니라, 유연하게 구부리고 접을 수 있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6.10
0
0
유통기한 날짜는 어떻게 정해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제조업체(대기업)에서 정상상태(일반적인 상태)에서 보관실험을 진행하게 됩니다. 그 실험을 통해 유통기한 이나 사용기한을 정하게 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6.10
0
0
에어컨 실외기 찬바람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에어컨의 기본적인 원리는 한마디로 기화열에 의한 냉각 1) 이다. 액체가 기체로 기화할 때는 열을 흡수하고 기체가 액체로 응축할 때는 열을 방출한다. 기화할 때 흡수하는 열이 기화열이다. 에어컨은 압축기로 압력을 크게 변화시켜 기체 상태였던 냉각제를 액체로 응축한 후 압력을 낮춰서 증발기 안에서 액체 상태의 냉각제가 다시 증기로 기화할 때 열을 빼앗아 주위의 온도를 낮춘다. 에어컨과 냉장고에 의한 냉각은 많은 기화열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간단한 냉각 사이클을 통해 이루어진다. 열은 원래 높은 온도에서 낮은 온도로 이동하지만 에어컨의 냉각 사이클을 통해서 반대 방향인 낮은 온도의 실내에서 높은 온도의 실외로 옮겨간다. 실내기에서는 찬 바람이 나오고 실외기에서는 더운 바람이 나온다. 냉장고도 마찬가지로 열이 낮은 온도의 기기 안에서 높은 온도의 기기 밖으로 옮겨간다.냉각과정: 냉각제가 압축기, 응축기, 팽창벨브, 증발기을 거치며 냉각이 이루어짐구체적인 냉각 과정은 냉각제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를 거치며 이루어진다.1. 압축기실외기 속에 있다. 기체 상태의 냉각제는 먼저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의 상태가 된다. 대부분의 냉각 시스템은 압축기를 작동하기 위해 전기 모터를 사용한다.2. 응축기실외기 속에 있다. 압축기를 나온 고온, 고압의 기체는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와 만나 식으면서 액체가 된다. 이 때 열을 방출하므로 실외기에서는 더운 공기가 토출된다.3. 팽창밸브 실내기나 실외기 어느 한 곳에 있다. 좁은 곳을 통과할 때 유체의 속도가 커지고 압력이 낮아지는 현상을 이용해 모세관을 통과시켜 고압 상태인 액체의 압력을 낮춘다. 압력을 낮추어야 액체가 증발기에서 잘 증발될 수 있기 때문이다.4. 증발기실내기에 있다. 팽창밸브를 나온 액체 상태의 냉각제는 온도와 압력이 낮다. 이러한 액체는 주위의 더운 공기에서 열을 흡수해 기체 상태로 증발한다. 주위의 공기는 차가워 지고 팬이 돌면서 이 공기를 실내로 내보낸다. 완전히 증발된 기체는 다시 압축기로 들어가 냉각 시스템의 순환이 계속된다.
학문 /
전기·전자
23.06.10
0
0
기초대사량은 어떻게 정해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말 그대로 신체기능유지[1]를 위한 '최소 칼로리'라고 생각하면 쉽다. 여기엔 활동대사량이 포함되어있지않다. 기초대사량을 구하는 식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해리스-베네딕트 식을 사용한다.보건소 기초대사량 계산기남자 : 66.47 + (13.75 X 체중) + (5 X 키) - (6.76 X 나이)여자 : 655.1 + (9.56 X 체중) + (1.85 X 키) - (4.68 X 나이)이 공식에 따르면 왕성한 대사율을 가지는 20세, 70kg, 175cm 남성의 기초대사량은 1768.77 kcal이다. 모든 사람의 기초대사량이 위 식과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다이어트를 생각하고 있다면 인바디를 재서 자신의 기초대사량을 아는 게 중요하다.[2] 하지만, 기초대사량이 숨만 쉬었을 때를 기준으로 하는 만큼 큰 차이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학문 /
물리
23.06.10
0
0
창조의 기둥은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여름철 남쪽 하늘 은하수 가운데에 잠겨있는 뱀자리의 꼬리부분에는 어두운 암흑 성운이 있다. 하늘로 치솟는 독수리의 모습을 닮아 독수리성운(Eagle Nebula, M16, NGC 6611)이라 불리는 이 성운은 지구로부터 약 6500광년이라는 거리에 있다.이 사진은 독수리성운의 일부를 촬영한 것으로 별들의 탄생 현장이다. 성간가스와 성간먼지로 이루어진 우뚝 솟은 검은 기둥 속에서는 새로운 별들이 만들어지고 있고, 기둥 위쪽에서는 최근에 태어난 별들이 강렬한 별빛을 쏟아내어 기둥 속에 있던 별을 품은 고밀도의 가스덩어리들을 하나하나 모습을 드러내게 하고 있다. 그래서 이 기둥을 창조의 기둥(Pillars of Creation)이라고 부른다. 창조의 기둥은 거대하다. 가장 큰 왼쪽 기둥의 길이는 무려 4광년(약 40조km)에 달한다. 이 장엄한 사진은 허블우주망원경의 25주년을 기념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새로 찍은 것이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10
0
0
탄수화물이 살찌는거라던데 왜 탄수화물을 막 줄이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탄수화뮬은 인체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원입니다. 탄수화물이 부족하면 에너지가 줄어들기 때문에 피로해 지고, 의욕이 상실되고, 신경질적으로 변하게 됩니다.
학문 /
화학
23.06.10
0
0
과일 등을 먹을 때 껍질을 같이 먹으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껍질은 햇볕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이다 보니 비타민, 항산화물질, 식이섬유, 각종파이토케미컬은 껍질에 집중되었기 때문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6.10
0
0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