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속력과 속도는 과학적으로 무엇이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1) 속력(speed)단위 시간 동안 이동한 거리로 일상 생활에서 물체의 빠르기를 나타낼 때 사용되는 스칼라량1)을 속력이라 한다. 속력의 단위로는 보통 ㎧를 사용하며 그 외에도 ㎝/s, m/min, ㎞/h 등을 사용한다.2) 이동 거리(shifting distance)시간의 변화에 따른 물체의 위치 변화를 길이로 나타낸 것을 이동 거리라 하며 이동 거리는 방향에 관계없이 물체가 단위 시간 동안에 실제로 움직인 총거리를 뜻한다. 이동 방향에 따라 값이 달라지는 변위와 구분된다.3) 속도(velocity)단위 시간(1초) 동안의 변위로서 물체의 빠르기를 나타내는 벡터량2)이다. 물체의 빠르기를 이동한 방향과 함께 나타낸다는 점에서 속력과 차이가 있다. 속도의 단위는 ㎧, ㎝/s, m/min, ㎞/h 등으로 속력의 단위와 동일하다.
학문 /
전기·전자
22.12.18
0
0
배부르면 나른해지는이유가 왜그런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식사 직후에는 뇌로 가던 혈류량이 줄기 때문에 식곤증과 하품을 자주하게 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우리의 몸은 식사를 한 후에는 소화기관으로 많은 혈액을 보내지게 되고, 근육이나 뇌에는 제대로 혈류가전달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몸이 나른해질 수 있습니다.또한 음식을 통해 섭취한 세로토닌은 기분을 평온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고멜라토닌은 수면을 유도하는 작용을 하는 호르몬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학문 /
물리
22.12.18
0
0
달에서 몸무게를 재면 가벼워지나요? 무거워지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중력에 따라 몸무게는 달라집니다.행성의 질량과 사람의 질량에 대하여 중력은 모두 비례합니다. 행성의 중앙에서 부터 사람까지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8
0
0
터널이나 비행기에서 귀가 먹먹해지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기가 이륙하면서 고도가 높아지면 기압이 낮아 지게 되요. 낮아진 기압에 의해 고막이 몸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부풀어 오르면서 먹먹한 느낌이 들게 됩니다. 신체와 비행기 내부 압력이 같아지면 본래로 돌아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8
0
0
우리나라는 왜 서해안 쪽이 눈이 많이 오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북서쪽에서 불어오는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눈과 비가 많이 내리게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8
0
0
드라이 아이스를 만지면 화상을 입니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드라이아이스 온도는 -78.5 °C로 매우 낮다. 따라서 드라이아이스를 취급할 때에는 보호복, 장갑, 보안경을 착용해야 한다. 드라이아이스를 잠깐 만지는 것은 괜찮지만, 장시간 피부에 접촉하면 동상으로 피부가 손상될 수 있다. 드라이아이스에 의해 화상과 유사한 피부 손상이 생길 수 있다. 물집이 생기거나 피부가 벗겨지면 전문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보관드라이아이스는 승화 속도를 늦추기 위해 단열 용기에 보관한다. 그러나 밀폐된 용기에는 보관하면 안 된다. 드라이아이스가 승화하여 만들어진 이산화 탄소로 용기의 압력이 높아지면 용기의 폭발로 이어질 수 있다
학문 /
화학
22.12.18
0
0
배터리는 추위에 어떻게 손상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리튬 이온 전지는 거의 모든 무선 전자 제품에 사용됩니다.특히 가볍기 때문에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가장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죠!리튬이온배터리는 충전 시 리튬이온이 음극으로 이동하여 음극 속으로 삽입되고, 방전시 양극 속으로 삽입됩니다.하지만 온도가 낮아질 경우 이 과정이 현격히 느려지기 때문에,평소와 같은 안정적인 방전이 이뤄지지 않으며 손실이 발생합니다.이를 방지하기 위해 휴대폰에 핫팩을 함께 두어 온도가 너무 높아지는 경우오히려 방전 속도가 빨라지고 열화현상이 나타날 수 있게 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18
0
0
철새들은 이동할 때 서열은 어떻게 정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철새의 이동증 리더는 계속 교체됩니다. 리더가 지치면 다른 새가 리더로 나와서 이끌고 갑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8
0
0
동물 중에서 다리가 제일 많은 동물은 어떤 동물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세계에서 가장 다리가 많은 노래기가 발견됐다. 유밀리페스 페르세포네(Eumillipes persephone)라 이름 붙은 이 노래기는 무려 1306개의 발이 달린 것으로 확인됐다. 본래 노래기는 ‘1000개의 발(millipede)’이라는 뜻인데, 이름과 달리 이제껏 발견된 노래기는 모두 발의 개수가 750개가 채 넘지 않았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8
0
0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작은 동물은 어떤 동물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판형동물(Placozoans)은 열대 해양에서 생활하는 크기 약 1㎜의 작은 생물이다. 조직과 신경세포가 없으며, 좌우대칭성도 없다. 물리적 특징으로는 종을 나눌 여지가 없어 ‘트리쵸프라스 어드하에렌스(Trichoplax adhaerens)’라는 단일종으로 분류하고 있었다. 최근 유전자 분석 결과, 판형동물이 두 개의 속과 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연구가 나왔다. 독일 뮌헨대 고생물학및지구생물학과 거트 뵈르하이드(Gert Wörheide) 교수팀은 히스톤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염색체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판형동물이 유전적으로 분명히 다른 두 개 종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발견해 31일(현지시각) 학술지 ‘플로스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외향은 차이가 없지만 분명히 다른 종으로 구분된다는 것이다. 히스톤(Histon) 단백질은 염색체를 구성하는 단백질로, DNA가 이 히스톤 단백질을 감아 모양을 유지한다. 히스톤 단백질에는 메틸기나 아세틸기, 인산기 등이 있어 화학물질이 와서 붙을 수 있다. 여기에 어떤 화학물질이 붙느냐에 따라 DNA가 풀리고 응축되기 때문에 유전자 조정, DNA 수리, 체세포분열과 같은 생명 현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핵막이 있는 고등 진핵생물에서 히스톤 단백질은 핵 속 염색체의 유지나 변형에 필수적이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8
0
0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