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정전기로 인해 화재가 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정전기 자체의 밀고 당기는 힘은 마스크의 필터, 복사기, 빗자루 쓰레받기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익숙한 제품에서 응용된 기술로 쉽게 발견, 접할 수 있습니다.그만큼 정전기의 위험성에 대해 쉽게 방심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지만, 산업현장에서는 높은 위험성으로 인해 특별히 주의가 필요합니다.특히 정전기로 인한 화재 사고는 가연성 액체, 분진 등이 발화점이 되어 폭발하기 때문에 폭발성이 강한 물질을 사용하는 사업장에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전기 재해 특징, 위험 요소■ 재해 특징- 물체가 접촉, 파괴 등 어떠한 물리적 작용을 받았을 때 발생- 마찰에 의한 대전현상이 흐르지 않고 모여있는 전기를 칭함- 전류가 없어 감전은 되지 않지만 기기 오작동, 화재 사고를 유발- 주변 환경에 따라서 2차 폭발 사고를 유발하기도 함■ 직, 간접적인 원인- 화재, 폭발이 시작되는 근원 위치의 인화성 물질- 2차 폭발을 일으키는 인화성 혼합 기체- 점화원이 되는 대전 물체- 화재 폭발의 발생 시기 및 근로자의 부주의- 방호 관련 요인 (화재 위치와 현장 근로자의 위치)
학문 /
전기·전자
22.12.14
0
0
뜨거운 물에 다른 물질(스프)을 넣으면 끓는점이 바뀌는 이유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맹물은 100도에서 끓지만소금물은 100도 이상에서 끓습니다라면스프중에는 고춧가루,조미료등등이 있지만그중에 소금이 많이 들어있어스프를 넣고 끓이면 소금물을 끓인는 것처럼끓는점이 올라가면이 더 잘 익습니다.
학문 /
화학
22.12.14
0
0
세계 밀레니엄 수학 7대 난제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난 2000년 5월 프랑스 파리에서 미국의 클레이수학연구소가 공식적인 회견을 통해 현대 수학의 7대 난제를 제시하고 각각에 100만 달러 현상금을 내걸었다.‘밀레니엄 수학 7대 난제’(이하 7대 난제)라고 불리는 이 공모는 기간제한이 없으며, 문제를 풀고 국제 학술지에 게재한 후 2년 동안 검증과정을 거쳐 오류가 없다고 판단되면 현상금을 지급한다.수학 난제의 공모 역사는 1900년 8월 8일 파리로 거슬러 올라간다.제2차 국제수학자회의 초청 강연에서 당시 수학계를 이끌던 독일 수학자 힐베르트는 20세기 수학 발전을 위해 해결해야할 미해결 문제 23개를 나열했다.‘힐베르트 문제’로 불리는 이 문제들은 그가 생각한 것보다 쉬운 문제도 있었지만, 대부분 매우 어렵고 중요한 문제로 인정받았다.그동안 수많은 수학자가 힐베르트 문제에 도전해 대부분을 푸는데 성공했다. 이 사건은 20세기 수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받는다.클레이수학연구소는 이런 기대를 가지고 7대 난제를 미국이 아닌 파리에서 발표했다.얼마나 어렵고 중요한 문제이기에 무려 100만 달러나 주는 것일까? 우선 어떤 문제인지 이름만 나열해 보자.7대 난제는 리만 가설, P대 NP 문제, 푸앙카레 추측, 호지 추측, 내비어-스톡스 방정식, 양-밀스 이론과 질량 간극 가설, 버츠와 스위너톤-다이어 추측이다.전문가에 따르면 7대 난제를 일반인이 이해하기는 매우 어렵고, 수학에 대한 호기심과 도전 정신이 높은 아마추어 수학자조차 도전하기 쉽지 않다고 한다.이에 필자는 힐베르트의 8번째 문제였지만 약 150년 동안 풀리지 않아 다시 7대 난제에 포함된 리만 가설을 중심으로 간략하게나마 소개하고자 한다.리만 가설은 1859년 독일 수학자 리만(G. Riemann)에 의해 처음 제기돼 아직까지 풀리지 않은 난제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4
0
0
블루레이가 정확히 어떤 기술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2000년 10월에 일본에서 프로토타입을 발표한 뒤에 2003년 4월부터 시판되어 DVD의 뒤를 이은 고용량 광학식 저장 매체이다. 약자는 CD, DVD의 뒤를 이어 "BD". 그러나 '비디'라고 읽는 사람은 드물고 대부분 블루레이 (Blu-ray)라고 부른다. 이후 2015년에 후속 규격인 Ultra HD Blu-ray가 표준화되었다.원래는 Blue-ray Disc라는 이름으로 등록하려 했으나, 보통 명사라는 이유로 거절 당해 e를 빼고 등록했다.[1] 이 이름은 디스크 제작에 이용되는 청색 레이저에서 유래되었다. 하지만 레이저 포인터/불빛 색상 문서에서도 나오듯이 이용되는 405nm 레이저 색은 ●가 아니라 ● 이런 색상으로 흔히 생각하는 파란색보다는 남보라색에 가깝다.상업용 Blu-ray 영화 타이틀은 대부분 25GB 및 33GB를 저장할 수 있는 싱글 레이어 디스크를 사용하며, 콘솔 게임 타이틀에 쓰이는 듀얼 레이어 디스크의 경우 50GB와 66GB, 트리플 레이어 디스크의 경우 75GB와 100GB, 쿼드 레이어 디스크의 경우 128GB의 용량을 저장할 수 있다. 차후에 규격이 완성된 Ultra HD Blu-ray에서는 기본적으로 듀얼 레이어 디스크와 트리플 레이어 디스크를 사용한다.싱글 레이어 디스크와 듀얼 레이어 디스크 기준으로 경쟁 매체였던 HD-DVD에 비해 저장 가능한 용량이 무려 67%나 더 많기 때문에 대량의 부가 영상 및 고용량 데이터를 담기에 더 유리하다. 다만 파일 백업용으로는 가성비가 영 좋지 않은데, 이 바닥의 갑 중 갑인 자기테이프는 둘째치고[2], 하드디스크조차 블루레이 플레이어 값으로 3TB짜리를 살 수 있고, 비교적 가성비가 떨어진다는 USB 메모리도 128GB 3개를 살 수 있다. 물론 이런 케이스가 흔히 그렇듯이 시간이 지나면서 블루레이 레코더와 블루레이 플레이어 가격도 많이 내려갔다. 무엇보다 엑스박스와 플레이스테이션이 블루레이 재생을 공식적으로 지원하면서 접근성도 상당히 쉬워진 편이다.
학문 /
전기·전자
22.12.14
0
0
자석은 어떻거 안들어지나요? 그리고 어떤 이유로 철에 붙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자성을 띤 광물. 지남철(指南鐵)이라고도 한다. 주로 자철광이라 불리는 광물로 만든 자석이 대표적인데 이 자철광의 화학식은 Fe3O4(사산화삼철)이다. 자르면 또 2개의 극(N극과 S극)으로 나뉜다. 현재까지 자기 홀극은 발견되지 않았으며,[1] 현재까지 발견된 모든 자석은 자기 쌍극을 가진다.
학문 /
전기·전자
22.12.14
0
0
인간의 몸이나 습성에서 진화의 흔적이 남아있는게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생선의 아가미가 귀로, 꼬리가 엉치뼈로 진화되었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4
0
0
탄산과 멘토스, 기름으로 한 실험 원리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멘토스 콜라라는 현상으로 유명세를 탔는데, 멘토스를 콜라와 같은 탄산수에 섞을 경우 과포화되어있는 이산화 탄소를 폭발적으로 방출시키는 것. 탄산수가 든 병 안에 멘토스를 넣으면 마치 화산이 폭발하듯 탄산수가 솟구치는 현상이 관찰된다.사실 멘토스만이 일으키는 현상은 아니고, 물체 표면에 미세한 홈이 있는 물질들[5] 이 과포화된 탄산수에 들어가는 경우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멘토스가 특히 효과가 좋은 이유는 구성 성분 중 하나인 아라비아검이 물의 표면 장력을 약화시켜서 이산화 탄소의 방출을 쉽게 하기 때문. 일단 탄산수 타이틀을 달고 개봉하자마자 거품이 칙 올라오는 종류는 거의 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디스커버리 채널의 Mythbusters에 따르면, 멘토스와 콜라를 같이 먹을 경우 급격하게 불어나 터지는 이산화 탄소에 식도나 입 속이 상처를 입을 수도 있다고 한다.
학문 /
화학
22.12.14
0
0
이벤트 하는거 보면 춤추는 풍선이 있는데 그건 누가 발명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매일 거리에서 만나는 춤추는 풍선 인형은 누가 처음 만들었을까. 일어섰다가 내려앉고 주저앉았다가 팔을 휘두르며 다시 일어나는 모습은 간절하게 우리의 시선을 끌어당긴다. 미국 휴스턴에선 2008년 시조례로 ‘도시의 풍경을 어수선하게 해서 미적 환경을 해친다’고 금지했다 하니 세계 여러 도시에서 그만큼 낯익은 풍경인데, 그 기원은 카리브 지역 예술가 피터 민셜의 인형 공연이다. 이를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개막식에서 거대인형 공연으로 확대했고 다시 1996년 미국 애틀랜타 올림픽 개막식에서 바람을 송풍기로 불어 넣은 인형이 춤추는 형상을 만든 게 훗날 ‘휘날리는 녀석들’이란 특허 인형이 됐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4
0
0
언젠가부터 한국이 반도체의 종주국이 되었는데 언제까지?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은 외국계 자본에 의한 조립생산에서 출발했다. 그러나 개별소자 생산→일괄 공정 생산체제→생산체제 고도화 시도 등의 단계를 거치면서 세계 반도체 생산의 핵심 축으로 거듭났다. ◇1970년대=국내 기업들에 의한 반도체조립 및 개별소자 생산체제 구축기다. 아남산업이 1968년 3월 국내 자본에 의한 반도체 조립 사업을 출범한 이후 1970년 금성반도체, 1974년 한국반도체(삼성전자 반도체 전신) 등이 가세, 미국 기업과 기술제휴로 미국산 반도체를 조립, 전량 수출했다. 이러한 반도체 조립·개별 소자 생산 과정은 우리나라 산업체계에 상당한 파급·학습효과를 가져왔다. 현재 메모리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는 고도 생산체제 구축에 큰 밑거름이 됐다. 또 반도체장비 제조 분야에서 가장 먼저 이루어진 조립 장비 제조업을 태동시키기도 했다. ◇1980년대=국내 반도체 기업의 일관 공정 생산기반 구축기다. 조립과 개별소자 부문의 노하우를 토대로 대기업들이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다. 1983년 2월 이병철 삼성그룹 회장이 반도체사업 진출 결정 발표를 신호탄으로, 같은 해 12월 삼성전자가 국내 최초로 64K D램을 국산화했다. 1986년 10월엔 현대전자 반도체공장이 가동을 개시, 메모리 생산기반이 구축됐다. ◇1990년대 전반=메모리 산업 성숙기다. 국내 반도체업계는 1991∼1995년 연평균 50%를 넘어서는 폭발적인 신장세를 기록했다. 특히 일본 메모리 업계를 견제하고자 한 미국 컴퓨팅업계 이해 관계 덕분에 국내 반도체 업계는 세계 최대 메모리 수요처인 미국 시장에 진출, 반도체 시장에서 우리나라는 미·일에 이은 세계 제3위의 생산대국으로 자리매김했다. 1992년 8월 64M D램을 세계 최초로 국산화, R&D 역량 면에서도 우위를 보였다. 1990년 5300만달러에 불과했던 국내 장비업계의 매출액도 1995년엔 3억5900만달러, 1990년 1억6000만달러에 불과했던 국내 재료업계의 매출액도 1995년 8억3700만달러로 비약적인 성장세를 거듭했다. ◇1990년대 후반=생산체제 고도화단계 시기다. 1996년 반도체 불경기에 이어 1997년 IMF란 국난을 겪었으나 국내 반도체 업계는 양적 성장 일변도에서 탈피, 본격적인 생산체제의 고도화를 시도했다. 또 메모리 편중의 생산구조에서 벗어나 비메모리 개발 전략을 본격적으로 추진, 사업영역을 다각화하려는 시도도 본격화했다. 반도체산업 내 구조조정 일환으로 현대전자와 LG반도체라는 초대형 대기업 간 이른바 빅딜이 있었다. 구조조정 노력은 1998년 하반기 반도체 경기회복세와 맞물려 효과를 발휘하면서 IMF 국난을 극복하는데 있어 모든 산업 분야에서 가장 큰 역할을 수행했으며 그 역할은 21세기 현재까지 지속돼, 반도체산업은 국민 경제적 기여도와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적지 않게 기여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14
0
0
명왕성이 없어진건가요?바뀐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2006년 8월, 국제천문연맹(IAU)에서 명왕성은 행성이 아니라고 발표하게되었습니다.명왕성의 행성 지위를 박탈하게 된 것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는데요.가장 먼저 크기가 달만 하다고 생각되었던 명왕성이 사실은 달 크기의 3분의 2밖에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그리고 다른 행성들은 거의 원에 가까운 궤도로 태양 주위를 도는데, 명왕성의 공전 궤도는 아주 길쭉한 타원 모양이죠.그래서 가끔 해왕성의 궤도 안쪽으로들어가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죠.게다가 공전 궤도면이 다른 행성들에 비해 많이 기울어진 모습입니다.© Aynur_zakirov, 출처 Pixabay명왕성의 위성이라고 알려진 카론과의 관계도 이상했죠.다른 위성들은 행성을 중심으로 원에 가까운 모양으로 행성 주위를 도는데, 카론과 명왕성은 서로의 주위를 도는 모습을 보였습니다.그래서 한때는 카론을 위성이 아닌 또 다른 행성으로 보고, 카론과 명왕성을 '이중 행성'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그러나 카이퍼벨트에서 명왕성보다도큰 천체인 2003 UB313이 발견되면서명왕성의 지위는 흔들렸죠.명왕성을 행성이라고 부른다면명왕성보다 큰 천체도 행성이라고해야할테니말이죠.© nasa, 출처 Unsplash그래서 많은 천문학자들은 명왕성을 '왜소행성'으로 분류하기로결정하게되었습니다.태양 주위를 돌면서, 충분히 큰 질량을가져서 자체 중력 때문에 둥글며, 자신의 궤도 영역에서 주변의 다른천체를 물리친 천체를 행성으로 정의했습니다.그리고 명왕성처럼 앞의 두 조건만만족시키면서 위성이 아닌 천체는 왜소행성으로 분류하게되었어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4
0
0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