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물이 묻어있는 컵이 스스로 움직이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물컵의 바닥에 응축된 물이 고이면서 밀폐된 공기층이 형성되고, 이 층이 마찰계수를줄어들게 하여 쉽게 움직이게 만들어 줍니다.
학문 /
물리
22.12.09
0
0
달고나에 소다를 넣으면 왜 부풀어 오르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달고나를 만들 때, 국자에 있는 설탕이 진한 갈색으로 변하면 우리는 소다를 젓가락에 콕! 찍어서 넣어줍니다. 소다를 넣고 저어주면 녹아있던 설탕이 부풀어 오르면서 우리가 아는 달고나가 되는데요. 이미 눈치채셨겠지만, 여기에서도 과학의 원리가 적용됩니다.우리가 흔히 소다라고 부르는 것은 ‘탄산수소나트륨(NaHCO3)’으로 베이킹파우더의 원료로 쓰입니다. 달궈진 설탕에 탄산수소나트륨을 넣으면 ‘열분해 반응’이 일어나는데요. 열분해 반응은 열을 가했을 때 화합물 속에 약하게 연결되어 있던 분자들이 분해되면서 성질이 다른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을 만드는 반응입니다. 2NaHCO3→ Na2CO3 + H2O + CO2 위에 있는 식처럼 탄산수소나트륨은 열을 가했을 때 탄산나트륨과 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데요. 여기서 만들어진 이산화탄소가 달고나를 부풀게 하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12.09
0
0
물고기도 얼어 죽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이 얼어도 바닥 밑부분은 4도로 유지 됩니다. 남극이나 북극에서 근처 바다에 얼지 않은 곳에서는 물고기가 살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09
0
0
개복치라는 생선은 왜 예민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개복치는 복어목의 개복치과이며 먹이로는 해파리를 먹습니다. 현실에서든 개복치 키우기란 게임에서든 개복치는 돌연사를 쉽게 합니다. 먹다가도 죽고, 몸에 벌래를 떨쳐 낼려다가 수면에 세게 닿아서 죽고, 물온도 변화 등등으로 돌연사를 쉽게 합니다. 사람에게 개복치라고 하는것은 쉽게말해 무슨 말만하면 상처입는 유리 맨탈 이다. 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09
0
0
메타 버스 시대가 오고 있는데 일반인들이 취할 준비 사항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메타버스는 ‘가상’, ‘초월’ 등을 뜻하는 영어 단어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이뤄지는 3차원의 가상세계를 가리킨다. 메타버스는 가상현실(VR,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가상의 세계에서 사람이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최첨단 기술)보다 한 단계 더 진화한 개념으로, 아바타를 활용해 단지 게임이나 가상현실을 즐기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 현실과 같은 사회·문화적 활동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메타버스는 1992년 미국 SF작가 닐 스티븐슨(Neal Stephenson)이 소설 《스노 크래시(Snow Crash)》에 언급하면서 처음 등장한 개념으로, 이 소설에서 메타버스는 아바타를 통해서만 들어갈 수 있는 가상의 세계를 가리킨다. 그러다 2003년 린든 랩(Linden Lab)이 출시한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세컨드 라이프(Second Life)' 게임이 인기를 끌면서 메타버스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특히 메타버스는 초고속·초연결·초저지연의 5G 상용화와 2020년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확산되기 시작했다. 즉, 5G 상용화와 함께 가상현실(VR)·증강현실(AR)·혼합현실(MR) 등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 발전했고, 코로나19 사태로 비대면·온라인 추세가 확산되면서 메타버스가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학문 /
토목공학
22.12.09
0
0
시럽 펑핑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샴푸 펌프 내부를 보면 스프링이 있고 그 스프링을 기준으로 샴푸 헤드 쪽에는 유출밸브(구슬형태) 샴푸 통 쪽으로는 유입 밸브(구슬형태) 가 들어 있습니다. (이하 구슬은 생략)헤드를 누르면 유출 밸브와 유입 밸브 사이의 간격이 줄며 부피가 감소하면서 압력이 증가 합니다. 그로 인해 헤드 쪽 유출 밸브는 위쪽 공간으로 밀려 올라가며 유출 공간을 만들게 되고 반대 샴푸 통 쪽의 유입밸브는 아래로 밀착되며 유입공간을 없애게 됩니다. 이때의 강력한 압력으로 인해 펌프 중심부에 있던 샴프 액이 상단의 유출 밸브쪽으로 배출되게 됩니다.반대로 헤드를 누르지 않으면 스프링 탄성으로 인해 유출 밸브와 유입 밸브 사이의 간격이 길어짐과 함께 둘 사이 부피가 증가하고 압력은 감소합니다.그로 인해 헤드쪽 유출밸브는 아래로 내려와 닫히게 되고 샴푸 통 쪽의 유입 밸브는 삼프 통 내부 의 높은 압력으로 인해 위로 밀려나며 그 틈 사이로 샴푸액이 흘러 들어가게 됩니다.
학문 /
화학
22.12.09
0
0
설탕을 불에 녹힌것이 끓는 기름보다 더 뜨거운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설탕에는 탄소 성분을 만이 포함하고 있어서 잘 타거니와 기름보다 높은 온도로 탈 수고 있습니다. 기름은 종유에 따라 비점이 천차 만별입니다.
학문 /
화학
22.12.09
0
0
달의 앞면과 뒷면의 표면 모습이 크게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앞면과 뒷면이 운석을 맞은 자리가 다르고, 다양한 우주 작용에 의해서 다른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8
0
0
구름이 어떨땐 이동하고 어떨땐 정지해 있는데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바람의 방향에 따라 이동하게 됩니다. 상층에 바람이나 기류의 흐름이 작을때는 미동이 없기도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8
0
0
우리나라 토종 고슴도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한국의 야생 토종 고슴도치는 약 21.2cm 정도의 몸통 길이를 가지고 있고 짧은 다리에 오동통한 몸이 매력적이다.또한 비교적 작은 얼굴과 귀를 가지고 있어 애완용 고슴도치와는 또 다른 느낌의 깜찍함이 있다.우리나라 고슴도치는 활엽수가 우거진 밀림지대에 많이 서식하고 있으며 땅굴을 파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다.
학문 /
생물·생명
22.12.08
0
0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