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음파와 초음파가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음파는 공기나 물, 그 밖의 매질이 발음체의 진동을 받아서 생기는 파동을 말한다. 음파는 매질의 압축과 팽창, 즉 소밀파의 형태로 전달되는 역학적 파동이며, 일반적으로 매질의 진동 방향과 파동의 전달 방향이 나란한 종파이다.음파 가운데 주파수가 매초 16,000에서 20,000 헤르츠(Hz) 사이로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파를 가청음파 또는 소리라고 한다. 이보다 주파수가 높은 음파를 초음파라고 한다.
학문 /
전기·전자
22.12.08
0
0
호수 밑바닥이 얼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1. 물의 특이한 수소결합물은 분자 내 전자의 분포가 다소 독특합니다. 수소쪽에는 전자가 없고 산소쪽에만 전자가 몰빵(?) 되어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산소 쪽은 - 전하를, 수소쪽은 + 전하를 띄는 형태의 극성을 가지게 됩니다. 이로인해 물 분자는 가만히 내비둬도 수소와 산소 사이에 전기적 결합이 발생하고, 이를 수소결합이라고 합니다.<물 수소결합의 개념도>물이 가지는 이런 전기적 특성은 생명체가 생명활동을 하는데 매우 유리합니다. 용해도가 높아지고, 외부의 온도변화에도 온도가 크게 달라지지 않는 등이 그런 예입니다. 이런 수소결합 덕분에 물은 얼 때에도 다른 아이들과 다른 특이한 형태를 보입니다. 아래 그림처럼 보통의 액체들은 얼어버리면 분자와 분자사이가 엄청나게 가까워지며 밀도가 증가합니다. 보통은 그렇습니다. 하지만 물은 다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2.08
0
0
우주로 관광을 가는 시대가 올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비행사가 아닌 민간인이 일정한 액수를 지불한 뒤 경험하는 우주 비행으로, 2001년 심각한 재정난을 겪었던 러시아가 1인당 2000만 달러(약 340억 원)씩을 받고 2명의 민간인을 우주공간으로 내보낸 것이 그 시작이다.본문우주관광은 우주비행사가 아닌 민간인이 일정한 액수를 지불한 뒤 경험하는 우주 비행으로, 2001년 심각한 재정난을 겪었던 러시아가 1인당 2000만 달러(약 340억 원)씩을 받고 2명의 민간인을 우주공간으로 보내 관광을 시킨 것이 그 시작이다. 최초의 우주관광객은 미국인 사업가 데니스 티토(Denis Tito)로, 그는 2001년 4월 28일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에서 발사된 러시아 우주선 '소유즈 TM32'에 탑승해 일주일 일정의 국제우주정거장(ISS) 여행길에 올랐다. 화물선인 소유즈는 ISS 건설 및 유지에 필요한 물자를 보급하는 역할을 담당했는데, 티토는 2000만 달러를 지불하고 승객 자격으로 2명의 러시아 우주비행사와 동행하였다. 티토가 탑승한 소유즈호는 ISS에서 6일간 머무른 후 카자흐스탄의 사막에 무사히 착륙했다. 티토는 1960년대 화성탐사선의 우주비행 궤적을 고안하는 우주과학자로서 사회 생활을 시작한 인물로, 미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에 위치한 미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에서 5년간 일한 뒤 금융회사 '윌셔 어소시에이츠'를 차려 갑부가 되었다. 그는 1991년 모스크바 여행 중 처음으로 우주관광의 가능성을 검토했는데, NASA는 안전을 우려하며 이를 만류했다. 하지만 결국 티토가 ISS에서 발생할지도 모를 만일의 사고에 대한 책임을 감수하고 손해를 보상하겠다는 서류에 서명하면서 관계 당국의 승인을 받았다. 티토에 이은 두 번째 우주관광객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젊은 인터넷 재벌이었던 마크 셔틀워스(Mark Shuttleworth)로, 그는 2002년 4월 25일 러시아의 소유즈 TM-34 우주선에 탑승하여 10일 일정으로 국제우주정거장(ISS)을 다녀왔다. 그러나 2003년 2월 1일 미국의 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가 우주비행을 마치고 지구로 귀환하다 공중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하자, 러시아우주항공국은 이전까지 추진하던 우주관광 프로그램을 일시 중단했다. 우주관광, 현재는?현재 민간 우주여행은 ▷영국의 억만장자 리처드 브랜슨이 이끄는 버진갤럭틱 ▷아마존의 제프 베조스가 이끄는 블루 오리진 ▷테슬라 창업자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 등 3개 회사가 그 주도권을 두고 경쟁하고 있다. 버진갤럭틱의 경우 2015년 1인당 25만 달러를 받고 민간 우주여행 서비스를 한다는 계획을 세운 뒤 지속적인 시험 비행을 전개했는데, 그 결과 2018년 12월 우주비행사 2명을 태우고 세계 최초로 상업 유인우주선 시험 비행에 성공하였다. 이후 2019년 3월에는 ‘스페이스십 투(Spaceship 2)’에 조종사 2명과 승객 1명을 태워 89.9km 고도까지 오르는 데 성공했으며, 2021년 7월에는 버진갤럭틱의 VSS 유니티가 리처브 브랜슨 회장을 포함한 총 6명이 탑승한 가운데 발사돼 지구 상공 86km까지 도달했다. 블루 오리진은 2015년 5월 자체 개발한 우주 여객선인 뉴 셰퍼드(New Shepherd)의 시험 발사에 성공한 데 이어 2021년 7월 민간 우주관광에 성공했다. 뉴 셰퍼드는 음속 3배의 속도로 해발 75km 상공까지 올라가 탑승객을 태운 캡슐을 분리했고, 이 캡슐이 106km 상공까지 올라가면서 카르만 라인을 넘은 바 있다. 스페이스X도 2021년 9월 전문 우주비행사 없이 민간인 4명을 태운 유인 우주선 '크루 드래건(Crew Dragon)'을 실은 팰컨9 로켓을 발사해 무사 귀환시키는 성과를 달성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8
0
0
벙어리 장갑이 더 따뜻한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추운 날씨에는 손과 발이 유난히 더 시린데, 이는 체표면적이 넓기 때문이다. ‘체표면적’이란 몸의 겉넓이로 손과 발은 다섯 개의 손가락, 발가락으로 갈라져 있어서 공기와 닿는 부분이 많다. 이렇게 공기와 닿는 부분이 많아질수록 외부에 열을 더 많이 빼앗기게 된다. 따라서 손가락을 한 덩어리로 모아 주는 벙어리장갑을 끼면 체표면적인 줄기 때문에 손가락장갑을 꼈을 때보다 손이 덜 시리다. 또한 벙어리장갑은 손가락이 서로 옹기종기 모여 있기 때문에 각각의 손가락에서 발산되는 열이 서로를 따뜻하게 해준다. 또한 장갑을 꼈을 때와 끼지 않았을 때의 온도 차이 역시 약 2℃가량 차이가 난다고 한다.
학문 /
기계공학
22.12.08
0
0
화강암과 현무암 강도 차이 및 차이점 문의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산과 마그마 활동이 만든 암석화성암이라죠 화강암과 현무암화강암 화강암 마그마 서서히 굳어알갱이 크지요 하얀 얼굴 검은 점현무암 현무암 마그마 빠르게 굳어버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8
0
0
돼지나 소의 축산구역에서 나오는 퇴비로...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퇴비화 - 비교적 고온(40~55 ℃)에서 이루어지는 호기성(aerobic) 분해공정 이며 보통 유기성 고형 폐기물(organic solid wastes)의 처리에 이용하고 있다- 하수슬러지는 질소 및 인 등의 비료 성분 이외에 각종 유기물과 무기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녹 지․농지에 유기질 보급원으로서의 이용 가치가 높다.- 하수슬러지의 녹지․농지로의 이용 형태로서는, 하수슬러지 퇴비, 건조슬러지, 슬러지 케익, 소각재 등이 있지만 비료로서의 가치, 취급의 용이성, 위생 등을 고려할 때 하수슬러지 퇴비화가 바람직한 방법이다.
학문 /
화학
22.12.08
0
0
햇빛에서 나오는 자외선은 우리한테 유해한 것만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광의 스펙트럼을 사진으로 찍었을 때, 가시광선보다 짧은 파장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빛이다. 사람의 피부를 태우거나 살균작용을 하며, 과도하게 노출될 경우 피부암에 걸릴 수도 있다.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의 스펙트럼 이미지 갤러리 가기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의 스펙트럼본문1801년 독일의 화학자 J.W.리터가 자외선이 가지는 사진작용[感光作用]에서 처음 발견하였다. 자외선은 파장이 약 397∼10nm인 전자기파의 총칭으로서, 극단적으로 파장이 짧은 자외선은 X선과 거의 구별되지 않는다. 적외선을 열선이라고 하는데 대응하여 자외선은 화학작용이 강하므로 화학선이라 하기도 한다. 또 파장의 길이에 따라 근자외선(파장 290nm 이상), 수정범위(水晶範圍)의 자외선(수정을 투과하는 290∼190nm), 슈만선(190∼120nm), 라이만선(120∼60nm), 밀리컨선(60nm 이하) 등으로 세분하거나, 122~200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원자외선(遠紫外線), 10~121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극자외선 이라고도 한다.자외선의 종류태양은 광범위한 파장을 가진 빛 에너지를 방출한다. 가시광선의 파란색이나 보라색 광선보다 더 짧은 파장을 가진 자외선 복사는 살갗을 태우고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준다. 성층권에 존재하는 오존층은 대부분의 해로운 자외선이 지구상의 생명체에 도달하는 것을 막아준다. 그러나 성층권의 오존층이 얇아지면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 복사량이 증가한다.과학자들은 UV-C, UV-B, UV-A 세 가지 종류로 UV 복사를 분류한다. 성층권 오존층은 이러한 종류의 UV를 모두 흡수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분을 흡수한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8
0
0
지하철 역이름은 어떻게 정해지나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신규 개통하는 역의 이름은 어떻게 정해질까? : 지하철 역명은 옛 지명 또는 법정 동명, 가로명 등 사용을 원칙으로 정해집니다. 또한 역이 여러 개의 행정구역에 걸쳐 소재할 경우에는 인접하고 있는 문화재, 주요 공공시설, 다중 이용시설 등으로 정해집니다. 기존 역 명은 왜 변경되고 어떻게 변경될까? : 기존 역명은 한번 결정되면 고유명사화되는 것으로 불특정 다수의 시민이 이용하는 점을 감안할 때 역사성을 갖고 지속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며, 역명 변경에 따른 이용시민의 혼란 등을 고려할 때 변경은 원칙적으로 불가합니다. 다만, 대규모 도시개발 등 현격한 환경변화로 개정 필요성이 인정될 경우, 기존 역명으로 사용되던 목적물이 소멸되거나 변경되어 그 명칭을 계속 사용할 경우, 시민들에게 상당한 혼란 초래가 예상되는 경우, 기타 역명 개정의 합리적인 사유와 그 필요성이 충분히 인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예외적으로 허용하며, 역명 개정에 드는 제반비용은 원인자 부담을 원칙으로 합니다. 역명 개정은 * 제·개정 요구(주민, 공사, 자치구 등) → 주민 의견수렴 등 사전절차(자치구) → 市 지명위원회 검토 및 심의 → 市 방침결정 → 시보 고시로 진행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2.07
0
0
쿨톤 웜톤의 기원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의 피부톤과 가장 어울리는 색상을 찾는 색채학 이론이다. 피부톤에 어울리는 색을 웜톤 쿨톤이나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누어 부르는 것이 바로 이 퍼스널 컬러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어떤 색조 화장품이나 옷, 장신구가 어울리는지를 찾기 위해 주로 사용한다. 본인에게 어떤 색이 베스트인지 알고 싶을 때, 혹은 어떤 색이 미묘하게 안색이 탁해보이거나 어두워보이거나 창백해보이는지 알고 싶을 때 이용하면 좋다. "착붙"의 개념 자체가 "안색이 뜨지 않고 건강해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잡고 있다.주의해야 할 것은 어디까지나 과학적인 이론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에 대해서는 주의점 참고.
학문 /
화학
22.12.07
0
0
10년 이후는 어떻게 변화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10년 뒤엔 차가 하늘을 날아다니고, 집집마다 인공지능 로봇이 있고~ 등등 기술 발전이 빠르게 올 것을 기대 하지만, 기온 상승으로 해수면 상승에 따라 수 많은 지역이 물이 잠기거나 이상 기후로 태풍, 산불, 화산폭발, 지진, 해일 등으로 척박한 지구가 될 수도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2.07
0
0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