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달이 지구를 도는 이유와 지구로 떨어지면 지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이 지구의 위성이 된 원인에는 여러가지 설이 있으나 여기서는 다루지 않겠습니다. 여기서는 '달은 왜 지구를 중심으로 돌아갈까. 태양계 행성 역시 왜 태양을 중심으로 돌아갈까'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먼저 여기에는 인력과 원심력이라는 물리적인힘이 적용 되기 때문입니다. 인력은 물체를 끌어 당기는 힘 , 원심력은 물체가 달아나는 힘을 뜻합니다. 인력은 알다시피 만유인력을 뜻하며 원운동에서는 구심력이라고도 합니다.만약 달이 궤도를 이탈해서 지구로 떨어진다면, 지구는 폭발하게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7
0
0
수 0의 발견은 어떠한 가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0의 발견0 이 처음에는 숫자로 사용 된 것이 아니라비어있는 자리수를 표시하시 위한 기호로양수와 음수의 기준점을 의미하기 위해 쓰였다고대 바빌로니아 점토판에 새겨진 쐐기 문자에0과 같은 기호가 존재하는데 이것이 0의 첫 발견으로당시 이 기호는 수를 표시하는 공백을 채우기 위한 기호로 추정된다.과거 그리스 수학자들은 없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 자체가정립 되지 않는다는 생각으로 0의 존재를 부정했다그 증거로 로마숫자에는 0을 표기하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0이 숫자로 사용 된 것이 발견 된 것은9세기 인도로 추정되며 0의 발견으로 사칙연산이 쉬워졌고 큰 숫자를 나타내는 것도 편리해 졌다
학문 /
물리
22.12.07
0
0
로켓발사 시 발생하는 잔해들은 어떻게 처리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인양을 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죠. 그냥 일회용 처럼 사용 합니다. 파편이나 분리된 로켓은 바다에 수장 되는거죠.
학문 /
기계공학
22.12.07
0
0
계약전력 5KW에 메인 차단기 50A 설치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로그카테고리 이동 1급봉기사 010-7474-1709검색 MY메뉴 열기생활전기정보누전차단기 30A 교체, 전기수리시공 (40a 50a) 두꺼비집 배선용차단기로 바꾸는 이유프로필봉기사2022. 8. 30. 8:10 이웃추가본문 기타 기능누전차단기 30A 교체, 전기수리시공 (40a 50a) 두꺼비집 배선용차단기로 바꾸는 이유반갑습니다. 전기수리공사 1급 기사 봉기사입니다. 특이하게 이곳은 메인차단기가 누전차단기30a가 아닙니다.오늘은 김해 한림면에 위치한 빈집에 다녀왔습니다. 고객님께서는 타지에 계시고 집수리를 하고 싶은데, 누전차단기 하나가 계속 내려가서 고치고 싶다고 의뢰하신 내용입니다. 두꺼비집 교체 누전차단기 전기수리시공 의뢰내용 비가오는 날이면 콘센트 라인을 담당하는 누전차단기들 중 하나가 계속 내려간다고 합니다. 그러나 비가 그치고 나면 귀신같이 올라간다고 하니 전기누전검사를 진행하기위해 방문하였습니다. 제가 직접 누전검사를 진행하니 수치가 양호하게 나오지는 않습니다. 누전으로 판단이 됩니다. 이렇게 비가 많이 오는 날에는 누전검사와 수리를 동시에 진행하기가 어렵고 비가 그친 다음날 점검을 해보면 누전을 찾을수가 있습니다.하루정도 지났다고 누전이 되는 곳이 저절로 고쳐지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런데 누전이 되는 라인의 누전차단기를 내리고 집 안밖의 콘센트를 전부 검사를 해보았는데, 전기가 모두 안전하게 들어오네요. 여기저기 아무리 찾아도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곳이 없어서 그냥 이 차단기는 내려놓으시면 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이런경우 누전공사를 진행하지 않아도 됩니다. 굳이 전기가 다 들어오는데 안 들어오는 곳을 찾아서 돈주고 고칠필요는 없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어제는 비가 많이 와서 콘센트 누전차단기 하나가 내려갔지만 오늘은 비가 그쳐 누전수치가 괜찮아졌고, 콘센트 일부를 담당한다고 하였을땐 골치가 아프게 됩니다. 비가 오는날 맞춰서 누전을 찾고 전기수리시공을 해야 복구가 완벽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전기업체에선 비오는날만 기다렸다가 차단기가 내려갔다고 연락이 오면 당장 출장을 갈만큼 기다려주는 전기업체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게다가 메인차단기가 누전차단기 30a이고, 분기차단기들까지 전부 누전차단기라면 누전이 되었을 때, 메인 누전차단기가 먼저 동작하여 내려갈 가능성이 큽니다.그러면 어디라인에서 누전이 되었는지 일반분들은 판단하기가 아주 힘들고 결국 전기업체를 불러야 되겠지요. 누전차단기30가 아닌 누전차단기50a가 설치됨분기차단기들이 누전차단기라면 메인차단기는 배선용차단기로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누전이 되었을 때 각각의 누전차단기가 개별적으로 동작하여 내려가기 때문에 어디에서 누전이 되었는지 대략적으로 알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떤 분들은 차단기가 계속 내려간다고 메인도 배선, 분기도 배선용차단기30a로 설치하시는 분도 보았는데, 화재사고의 지름길이라는 것을 명심하셨으면 좋겠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2.07
0
0
사람은 왜 빙글빙글 돌면 어지럽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귓속에는 우리 몸의 위치와 평형 감각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이 있답니다.이 기관안에는 림프라고 불리우는 물이 들어 가있습니다.빙글 빙글 돌게 되면 이 림프액이 출렁 거린답니다.그러다가 갑작스럽게 멈추게 되면 잠깐 동안에는 림프액의 움직임이 그대로 남아 있어서어지러움을 느끼게 되는 거랍니다.
학문 /
화학
22.12.07
0
0
거인종이 실제로 지구상에 존재했을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거인증으로 거인이 된 사람들을 거인종으로 판단 했다고 생각합니다.뼈에서 길이 생장을 담당하는 성장판이 닫히기 전에 성장호르몬이 많이 나와 키가 자라는 병을 거인증이라고 한다. 키가 완전히 자랐을 때 총 신장은 2m 이상이 된다.뼈의 기능은 정상이지만 상대적으로 근육의 힘은 약하기 때문에 심혈관계 질환과 근골격계 질환 등을 앓을 수도 있다. 반면 성장판이 닫힌 뒤 성장호르몬이 많이 나오면 말단거대증이 된다.거인증은 보통 성장호르몬이 나오는 부분인 뇌하수체에 종양이 생기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 경우 뇌하수체에 생긴 종양을 외과적으로 절제하거나 방사선을 쬐여 종양을 없애는 방법으로 치료한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7
0
0
모뎀 선 길이에 따라 인터넷 속도의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랜선의 길이에 따른 속도저하는 분명히 발생합니다만!많은 경험상 10~30미터까지는 느낄 수 있는 차이가 없습니다.100미터쯤 되면 조금 지연이 있을거구요.오히려 랜선이 카테고리5냐, 6냐 이런 등급에서 더 차이가 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07
0
0
눈에 눈꼽이 자주낍니다. 이성분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눈곱은 눈물 성분이 말라 딱딱해지거나 끈적끈적해진 상태이다. 정상인에서도 눈곱이 생기며 주로 아침에 눈이 잘 떠지지 않고 달라붙게 한다. 눈물양이 증가하거나 염증성 삼출물이 눈물에 섞일 경우 눈곱양이 많아지고 누런 색깔을 지니게 된다.
학문 /
화학
22.12.07
0
0
곤충이 멸종되면 지구 생태계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곤충은 식량 생산과 생태계 보존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런던 자연사 박물관의 수석 큐레이터인 에리카 맥알리스터 박사는 "만약 우리가 세상에서 곤충을 모두 없앤다면 우리도 죽게 될 것"이라고 BBC 크라우드 사이언스 프로그램에서 말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07
0
0
배터리 수명은 왜 줄어드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스마트폰을 오래 쓰면 처음 구입했을 때보다 배터리 소모가 빨라진다. 배터리의 충·방전이 반복되면 성능이 저하되는 탓이다. 충·방전의 반복으로 배터리 성능이 저하되는 이유는 배터리의 4대 구성요소인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질 중 음극에 있다. 배터리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음극 소재의 구조가 변해 배터리의 에너지밀도가 감소하는 것이다. 리튬이온배터리의 음극은 층상 구조를 갖는 흑연으로 만들어진다. 층상 구조란 아파트나 책장처럼 분리된 공간을 가진 형태라고 생각하면 쉽다. 흑연의 층상구조 사이에 박혀 있는 리튬이온이 전해질을 타고 분리막을 거쳐 양극으로 이동하면 충전이 되고, 반대로 양극에서 음극으로 리튬이온이 이동하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방전이 된다. 문제는 리튬이온이 흑연의 틈에 박히면서 흑연의 부피가 커진다는 점이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 흑연 구조에 미세한 변화를 일으키면서 배터리의 수명이 감소한다.
학문 /
화학
22.12.07
0
0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