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회사에서 고기반찬나오며 늘 상추가 나오는데 그걸 먹으면 너무 졸린데 과학적인 원리가 귱금해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상추에는 비타민류와 마그네슘, 철, 인 구리 등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피로회복에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그리고 상추 줄기에 있는 우윳빛 유액에 함유된 알칼로이드 성분이 불면증 해소에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30
0
0
수세식 변기는 손잡이를 내려면 자동으로 물이 내려가고 차오르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사이펀의 원리입니다. 기압차와 중력을 이용하여 한 곳의 액체를 위로 끌어올려 더 낮은 곳으로 이동 시키는 원리 입니다. 변기 레버를 내려서 변기 안에 물이 차게 되면 압력과 중력 그리고 액체의 장력에 의해 물이 내려가게 됩니다. 옛날에 계영배라는 술잔이 있습니다. 바로 사이펀의 원리와 동일한 것이구요. 잔에 술이 70%이상 차게 되면 술이 밑으로 빠지게 됩니다. 욕심부리지 말라는 의미 이기도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30
0
0
눈이나 우박이 형성되는 것은 어떠한원리로 형성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대류구름에 의하여 형성된 적란운에서 생긴 얼음이나 불규칙한 덩어리 형태로 내리는 강수현상입니다. 그 지름이 5㎜에서 50㎜ 또는 그 이상이 되는 것도 있다. 우박은 투명한 얼음덩어리만으로 될 때도 있고 투명한 층(보통 1㎜ 이상)과 반투명한 층이 서로 겹쳐서 될 때도 있습니다. 불투명하고 백색으로 된 얼음입자의 강수현상인 싸라기눈 주위에 물방울들이 얼어붙게 되면 싸라기우박(small hail)이 된다.이 크기는 지름이 보통 5㎜ 미만이고, 굳은 땅에 부딪히면 소리를 내면서 튀어오른다. 우박은 농작물을 비롯하여 재산에 막대한 폐해를 준다. 심할 경우에는 가축과 인명에도 피해를 줄 때가 있다. 그러므로 우박에 대한 옛날 기록은 상당히 많은 편이다.
학문 /
토목공학
22.11.29
0
0
냉장고 냉매의 원리 알려 싶어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냉장고는 냉매가 기화될 때 열에너지를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한 장치입니다. 냉장고는 크게 증발기, 저장고(음식을 저장하는 곳), 압축기(냉매를 펌프로 압축하여 응축기로 보내는 장치), 응축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냉매는 압축기→응축기→증발기를 차례로 순환하면서 상태 변화가 일어납니다. 먼저 기체 상태의 냉매가 압축기 안으로 들어가면 높은 압력으로 압축되며, 응축기로 보내지면 더욱 고압으로 응축되어 액체로 변합니다. 액체 상태의 냉매가 팽창 밸브를 통과할 때에는 갑자기 압력이 낮아져 증발기 안에서 기화되면서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냉장실과 냉동실 안의 온도를 낮게 유지하게 됩니다.
학문 /
화학
22.11.29
0
0
자기부상열차의 원리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자석은 같은 극끼리 미는 힘이 작용합니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열차 바닥과 선로를 같은 극의 자석으로 만들어 열차가 뜨게 한 것이 자기 부상 열차입니다. 열차가 선로 위를 뜬 채로 움직이면 마찰이 없으므로 매우 고속으로 달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수백 톤이 넘는 열차를 띄우려면 엄청나게 강한 자석이 필요한데요 이렇게 강한 자석을 만들려면 쇠막대를 코일로 감아서 높은 전류를 흘려 보내야 합니다. 그러나 이렇게 높은 전류를 흘려 보내면 코일이 모두 녹아 버리게 되느데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 초전도 자석이다. 초전도 자석에 사용된 코일은 저항이 거의 0에 가깝습니다. 아무리 높은 전류를 흘려 보내도 저항이 거의 없으므로 코일에 열이 발생하지 않고 이 때문에 기차를 띄울 수 있는 강한 전자석을 만들 수 있는 것입니다.전류의 방향을 바꾸면 자석의 극도 바뀝니다. 이러한 원리를 적용하여, 열차에 설치된 자석과 선로는 같은 극이지만 열차 앞의 선로는 다른 극의 자석이며, 열차는 다른 극의 자석에 이끌려 앞으로 움직이고, 열차가 그 위로 오면 바로 극이 같아져 밑으로 떨어지지 않는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29
0
0
엘리베이터의 작동 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엘리베이터의 원리는 고정도르래의 원리와 같습니다. 승강기와 균형추가 서로 반대편에서 와이어로 두레박 식으로 매달려있다. 도르래와 와이어로프의 마찰력에 의해 카를 끌어올리고 내리는 구동원리로 작동됩니다.
학문 /
물리
22.11.29
0
0
왜 토성에만 고리가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선으로 관측한 결과 토성의 고리는 수많은 얇은 고리들로 이루어져 있었고, 이 고리들은 레코드판처럼 곱게 나열되어 있다. 토성의 고리는 적도면에 자리 잡고 있으며 토성 표면에서 약 7만~14만km까지 분포하고 있다. 따라서 토성의 고리 너비는 약 7만km에 이른다. 토성의 고리는 아주 작은 알갱이크기에서 부터 기차만한 크기의 얼음들로 이루어져 있다.많은 천문학자들은 토성이 생성된 뒤 남은 물질이 고리를 이루는 것이라 추측하고 있다. 즉 성운에서 토성이 생성되고, 이와 같은 시기에 고리도 생성되었다는 설이다. 이는 토성의 거대한 고리계를 설명할 수 있으며, 고리의 희박한 밀도 등 여러 가지를 설명할 수 있으나, 어떻게 고리계가 45억년 이상 유지될 수 있었는지 설명하기는 어렵다. 그리고 일부 천문학자들은 토성의 고리에 대하여 토성의 강한 중력을 못 이겨 산산조각이 난 위성의 잔해물이라 주장한다. 즉 위성이나 유성체, 혜성과 같은 천체들이 토성에 가까이 접근 하면 조석력에 의하여 부서지게 되고, 이후 잔해들이 남아 상호 마찰로 인해 더욱 잘게 부서져 고리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9
0
0
오뚝이는 어떤 원리를 가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오뚝이의 원리는 무게중심입니다.오뚝이를 보시면 밑면이 둥글고 지면과접촉하는 부분이 가장 무겁습니다.그래서 옆으로 세워도 무거운 부분이공중에 떠있기때문에 중력에 의해서밑으로 가서 다시 서는 용도입니다.이는 오뚝이의 몸통이 아래쪽 절반이반구모양인데다가, 몸통 아래쪽의밀도가 가장 높아 서 있을 때가무게중심과 중력의 방향이 일치하여안정적인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학문 /
물리
22.11.29
0
0
코파면 정말 콧구멍이 커지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코를 자주 판다고 해서 콧구멍이 커지지는 않습니다. 다만 코 안에 점막이 상할 수는 있습니다.
학문 /
물리
22.11.29
0
0
우주선 연료에는 뭐가 쓰이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무거운 발사체를 우주로 보내기 위해서는 연료가 내뿜는 힘, 추력(thrust)이 중요한데요. 화학적인 반응으로 추진되는 발사체의 연료는 크게 고체 연료와 액체 연료로 나뉘는데, 지금부터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고체 추진제는 고체로 된 연료와 산화제, 그리고 이 둘이 섞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결합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연료로는 주로 금속 알루미늄 분말과 마그네슘 분말이 사용되며 산화제는 과염소산 암모늄(NH4ClO4)과 질산 암모늄(NH4NO3)이 사용됩니다. 이 연료와 산화제가 연소하면서 생기는 연소가스가 밖으로 분출되면서 발사체가 비행하기 위한 힘이 발생합니다. 고체 추진제를 사용할 때는 특별한 장비가 들어가지 않고 고체 연료만이 엔진 내부에 위치해 있어서 무게도 가볍고 구조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발사체에 점화가 되면 반응을 중단할 수 없고, 추력을 제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는데요. 그러므로 고체 추진제는 속도 조절이 필요 없는 군용 미사일에 주로 사용됩니다. 그렇다면 정확한 궤도에 진입해야 하는 인공위성과 같은 발사체에는 어떤 연료가 쓰일까요? 바로, 액체 추진제입니다. 액체 추진제는 발사 뒤에도 점화와 소화를 반복할 수 있고, 연료와 산화제의 양을 조절하여 추력 제어가 가능하다는 특장점을 지녔습니다. 그러나 부품이 많아 구조가 복잡하고, 액체 연료의 특성상 저장과 보관이 어려워 개발이 힘들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액체 추진제의 연료는 보통 등유, 액체 수소(H2), 비대칭 디메틸히드라진(UDMH), 히드라진(N2H4) 등이 주로 사용되고, 산화제로 액체 산소(O2), 질산(KNO3), 사산화이질소(N2O4)가 쓰입니다. 지난 10월 하늘로 솟아오른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도 액체 추진제를 사용하였는데요. 누리호는 산소를 액체화한 액체 산소와 흔히 등유로 알려진 케로신이라는 연료를 사용했습니다.
학문 /
화학
22.11.29
0
0
469
470
471
472
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