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한국의 저출산이 지나친 교육열로 보는 해외 언론의 시각은 무슨 배경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옥스퍼드대학교 인구학 데이비드 콜먼 명예교수는 한국의 입시과열이 사교육 과열을 낳게되고, 이런것들이 여성들의 일과 삶에 균형을 깨기 때문에 저출산에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고 합니다. 결혼자체가 여성들에게 매력적이지 않은 걸로 볼수도 있겠습니다. 지금 현재 0.7~0.8정도되는 출산율은 가임가능 여성 전체에 대한 출산율인데, 결혼 하신 여성들만 따진다면 1점대로 올라간다는 기사를 본적있습니다. 일단 결혼부터가 먼저인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문학
23.12.04
0
0
중동의 나라들은 모두 이슬람종교를 믿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선교까지는 모르겠는데, 100%다 이슬람인것은 아닙니다. 이슬람국가로 유명한 이집는 10%정도가 기독교이고, 레바논은 30% 정도가 기도교인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팔레스타인 등은 인구의 95%이상이 무슬람이라고 알려져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12.04
0
0
고려시대의 무신과 문신의 갈등이 심했던 사례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종5품에다가 나이도 어린 한뢰가 종3품의 이소응의 뺨을 때린 사건이 있습니다. 이때 처벌도 제대로 하지 않고 스리슬쩍 넘어갔습니다. 그리고 내시였던 김돈중이 견룡대정 정중부의 수염을 장난으로 촛불로 태워버렸습니다. 정중부가 김돈중을 머라하고 때렸는데, 김돈중의 아버지였던 김부식이 사과하지않고 오히려 정중부에게 자기 가문에 도전이라고 하면서, 당시 국왕이었던 인종에게 처벌을 요구한 사건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12.04
0
0
우리나라 역사상 육아휴직제도는 언제 처음 도입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육아휴직은 1987년에 제정되었습니다. 만 8세나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근데 말씀대로 조금씩 자리잡고 있긴한데, 아직 일반 중소기업같은 경우에는 현실적으로 쓰는게 힘든 상황입니다.ㅠ
학문 /
역사
23.12.04
0
0
우리나라 역사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진은 언제였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왕조실록, 삼국사기 등의 역사문헌에 보면 인명피해가 가장 컸던 지진은 신라시대 혜공왕 15년에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입니다. 삼국사기에 100명정도의 사망자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1900년대 현대에 와서는 2017년 포항에 규모 5.4의 지진이 있었고 1978년에 경주의 규모 5.8의 지진이 가장 컸습니다. 건물에 균열이 생기는 피해가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12.01
0
0
"백골난망"의 유래가 어떻게 되는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백골난망의 유래는 중국의 옛 문서에서 나왔는데, 한 농부가 소와 같이 밭을 갈면서 일을하는데 소가 그만 죽어버렸습니다. 농부는 소를 가엾이 여겨 잘 묻어주고 슬퍼했는데, 소를 묻은 곳에 예쁜 꽃이 폈다 하여 소가 죽어서도 고맙게 생각하고 은혜를 잊지 않았다는데서 유래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12.01
0
0
"백골난망"과 "각골난망"의 표현은 같은 의미 일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네 거의 같은 의미라 볼 수 있습니다.백골난망은 죽어서 백골이 되어도 은혜를 잊을 수 없다각골난망은 은혜를 뼈에 새겨서 은혜를 잊기 힘들다는 뜻이 되겠습니다.두 고사성어는 서로 다른 유래로 알려져 있습니다.백골난망은 농부의 소가 밭을 갈다가 죽었는데 그 소를 묻어주고 슬퍼했고, 소가 묻힌 곳에 아름다운 꽃이 핀데서 유래됐습니다.각골난망은 결초보은이 나온 고사에서 나왔다고 알려져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12.01
0
0
‘비극에 경중은 없다’ 라는 말은 어떻게 해석 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말 그대로 비극에는 경:가벼움 중:무거움이 없다는 뜻으로 정도가 덜한 비극과 정도가 더한 비극이 없다는 뜻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함부로 어떤 비극적인 사건을 두고 다른 사람이 별거 아니네 라는 식이라던가 너무 심했다 라던가 이렇게 재단하지 말자는 뜻도 있을 수 있겠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11.30
0
0
NFT라는게 예술적으로 가치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직까지 예술적 가치로는 인정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결국 예술은 인정 받냐 마냐 인데, 아직까지는 생소한 기술을 사용해서 예술인으로 인정받은 적도 없는 사람인 만든 작품은 더더욱 그렇겠지요.사실 지금의 예술도 어느정도 그들만의 리그인 것도 많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지 못하는 비싼 예술품도 있습니다. 결국 이런 것들은 돈을 많이 가진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과 차별을 두기위해서 가치를 부여하고 사고 팔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NFT도 이렇게 되려면 부자들이 나서야할 것으로 보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3.11.30
0
0
우리나라 역사 중에 대한제국 시기는 언제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한제국은 아관파천 이후에 고종이 1897년 10월 대한제국으로 국호를 바꾸면서 시작됐습니다. 이 시기에는 나름 황실 중심으로 근대화 정책도 추진되었는데, 1904년 러일전쟁 이후 1910년 일본의 식민지 침략이 시작되면서 끝났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11.30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