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건물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재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사용되는 덕수궁 서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종이 외교적인 목적으로 1898년에 완공시킨 것으로, 서양의 로마네스크 양식이 들어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3
0
0
인디영화란 어떤영화를 이야기하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형영화사와 관계없이 작가의 창의적인 면과 비전을 중요시하는 영화라 할 수 있습니다. 장르도 다양하고 스타일도 다양하고 주제도 자유롭습니다. 상업적으로 대형영화사에 유통되고 이런거 보다는 작품자체에 예술적인 면을 중시하고 이 때문에 사회적인 메세지를 전달하려는 내용도 많습니다.
학문 /
음악
23.07.13
0
0
역사상 최초로 국가헌법을문서화하여 사용한 국가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테네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테네는 6세기에 데모크라티아(민주주의)를 도입했고, 5세기에는 페리클레스를 지도자로 하여 시민의 권리와 의무를 명시한 법률을 제정했습니다. 이게 국가 헌법의 전신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3
0
0
2차 대전당시 독일이 섬나라인 영국을 굳이 계속 공격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국이 해상강국이었기 때문에 영국을 이겨 바다에서의 우위를 가지려는 의도도 있었다고 하고, 역사적으로도 독일과 대립하는 것과 유럽전체를 차지하려는 계획에 가장 큰 방해꾼이기도 했기에 항복을 받고 싶었다고도 얘기합니다.
학문 /
역사
23.07.13
0
0
우리나라 트로트는 언제부터 시작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제강점기때 일본의 엔카가 들어온게 우리나라에 맞춰 트로트가 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1930년대부터 유행하기 시작했고 70년대 돼서 대중음악의 주가 되었습니다.엔카는 일본 전통민요에 영향을 많이 받았고, 트로트는 왈츠나, 탱고, 블루스 등의 다양한 서양음악을 받아들이고 혼합하면서 우리나라 사람들의 귀에 맞게 변했습니다.
학문 /
음악
23.07.13
0
0
메카가 이슬람 종교의 성지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메카가 이슬람의 창시자이자 최고의 예언자인 무함마드가 태어난 곳이고, 종교를 선포한 곳이라서 그렇습니다. 메카에 있는 카바는 무함마드가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아들 이스마일과 함께 지었다고 전해지며, 전 세계 무슬림들이 이쪽 방향으로 하루에 다섯번 기도하는 곳이기도합니다.
학문 /
역사
23.07.13
0
0
인도에 간디는 인도의 카스트 제도상 어느 신분 출신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간디는 카스트제도에 바이샤(baishya)라는 계급에 속합니다. 쉽게 말하면 상인입니다. 브라만과 크샤트리야 보다 아래입니다.
학문 /
역사
23.07.13
0
0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전쟁을 일으킨 궁극적인 목표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크게 두가지로 얘기된는데 하나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유럽 통합을 방해하고, 자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국내 정치적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전쟁을 시작했다고 하는 주장입니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과 크림 반도에 대한 역사적 권리와 주장하며, 자민족을 보호를 희망, 결국 본인들의 바운더리로 만들고 싶어한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3
0
0
조선 세조 때 직전법은 어떠한 토지 제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토지의 소유권은 양반에게, 임대권은 농민들에게 주는 제도 였습니다. 국가 재정은 강화하고 농민들의 노동력을 활용하는 취지였습니다. 그래서 농민들은 임대받은 토지에 농사를 짓고 나오는 결과물의 일부를 임대료로 냈습니다. 농민들에게는 어느정도 농사를 지어 먹고살수 있는 것을 보장하는 제도였는데, 결국은 양반들이 더 토지를 가지려고 하고 임대료는 더 높이면서 사회적인 불만을 키우는 제도가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3
0
0
베토벤은 시력없이 어떻게 피아노를 쳤을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베토벤은 시력이 아닌 청력에 문제가 있었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청력은 20대부터 안좋아졌는데 40대에는 거의 완전 귀머거리가 되었습니다. 그래도 건반의 진동을 다른 신체부위로 느껴서 음악을 감지하고 계속 활동에 매진했습니다.
학문 /
음악
23.07.13
0
0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