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예수의 탄생일은 기록이 없는데, 왜 12월 25일을 예수 탄생일로 기리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말씀대로 정확한 기록은 없어서 설이 있습니다. 2세기대 1월 6일을 지금의 크리스마스처럼 지켰고, 고대로마에서는 12월 25일을 동지날로 여겼습니다. 교황 리베리어스가 1월6일을 세례절로하고, 12월25일을 성탄절이라 공식 발표하면서 로마에서도 이를 따랐고, 다른 교회도 동조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12.20
0
0
인문학은 공부하면 어디에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문학은 단어의 한자에서 알 수 있듯이, 인간의 학문이라 할 수있습니다. 반대되는 자연과학(객관적인 사실로 자연을 설명하는 것)과 대립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인간의 진리를 탐구하고, 인간답게 사는 것은 어떤 것이며, 타인의 감정을 느끼고 아는 것 등 아주 인간의 본질적인 면을 알고 삶의 원동력으로 삼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잊고 살지만 동물입니다. 하지만 언어 사용하여 쓰고 듣고 말하면서 문화가 만들어 살가는데 이는 다른 동물과 차이가 있습니다. 이처럼 인문학은 인간이 무엇인지 탐구하며 알아가면서 가장 근본적인 인간다운 삶을 살수 있게 해주는 학문입니다. 이를 깨닫고 본인만의 가치와 지침을 가지고 사회속에 어울리는 것과 그냥 지내는 것은 하늘과 땅차이일 것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12.18
0
0
역사상 기록된 최초에 패션모델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리사 폰사그리브스라고 보그에 많이 등장한 모델인데 이분 사실상 최초의 모델이라 부르곤 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3.12.18
0
0
우리는 언제부터 간호사라는 명칭을 사용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03년 한국최초로 간호교육기관이 생겼는데, 에드먼즈라는 사람이 설립했고, nurse를 한국어로 어떻게 말할까 하다가 간호원(看護員)이라는 말을 만들었습니다. 그 후에 의료법이 개정되고 1988년 3월부터 간호사로 바뀌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12.14
0
0
그림이랑 글씨를 이쁘게 써보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이패드에 쓰면 종이에 쓸때 보다 더 잘 안써지더라구요. 일단 글씨 쓰는 거는 몸에 익은 습관입니다. 이거는 반복으로 바꿀 수 밖에 없습니다. 펜글씨 연습장을 사서 그대로 천천히 쓰고, 쓴다기 보다는 그린다는 생각으로 하다보면, 어느 순간 몸에 익어 한글자씩 예쁘게 쓸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3.12.14
0
0
철이 든다는 표현의 유래와 타국에서의 용례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철이 들다의 철은 순우리말로 철이라는 말 그 자체에 사리를 헤아릴 수 있는 힘, 판단력, 지각 이런 뜻이 있습니다. 그리고 원래는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는 철에서 와서 의미가 좀더 확정된 것입니다.다른 나라도 사용합니다.영어는 I'm growing up이 이고일본어는 物心(ものごころ)が付(つ)く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12.13
0
0
일본이 조선을 침략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얘기 많이 되는게 우리나라를 통해서 더 큰 대륙으로 뻗어나가는 것입니다. 일본은 섬나라로 동떨어져 있습니다. 근데 세계를 차지하려다보니 육로가 필요하고 우리나라가 그 첫 지점인 것입니다. 그 이전에 임진왜란때는 일본을 통일시킨 도요토미히데요시가 전쟁이 끝난 후 할게 없어 사무라이들이, 언제가는 본인한테 반란을 일으킬수 있어서 다른 목표를 주기 위한것도 있다고 얘기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12.13
0
0
무덤에 세우는 비석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돌아가신 조상님을 묘비로 드러내고, 세상에 기억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잘 보존하는게 자손으로 효도를 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고려시대때도 있었지만 조선시대때 본격적으로 많이 성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12.13
0
0
삼국지에서 관우가 안량과 문추를 죽인 것은 사실인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국지정사에서는 안량은 관우에게 죽은게 맞는데 문추는 조조한테 패한 것으로 나옵니다. 안량만 죽였는 게 맞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12.12
0
0
르네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무슨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 중심적 사고에서 인간 중심적 사고로 바뀌는 시점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그 전에는 신이 나를 창조했으니 내가 존재하는 건데, 생각하고 의심할 수 있으니까 내가 존재한다라고 인간중심적으로 전환되는 것입니다.악마가 나의 사고를 조정하고 있어도, 악마가 조정할 대상인 나는 존재해야 하고, 이 상황을 ‘의심하고 있는 나’의 존재는 어떠한 경우에도 의심할 수 없다라는 방법적 회의를 통해 도달한 결론이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철학
23.12.12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