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성씨 중에 김씨는 왜 금씨가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거는 아직 풀리지 않은 미스테리로 남아있습니다. 어려 설이 있는데 그중에 가장 유력한 것이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가 이씨 인데, 오행에 의하면 이(李)는 금(金)에게 지는 상성입니다. 그래서 금씨의 힘을 억제하려고 김으로 바꾸어 부르도록 했다는 것입니다. 이 설이 뒷받침되는 것이 김이라는 성씨의 발음이 나오는 문헌이 15세기 이후라 시기적으로 어느정도 맞아 떨어진다는 것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12.12
0
0
Mbti는 언제부터 나오기 시작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MBTI는 1944년 미국의 작가 캐서린 쿡 브릭스가 딸 이사벨과 함께 정신분석학자 카를 융의 이론을 바탕으로 만들었습니다. 만든지 한참돼는데, 코로나때 밖에 못나가고 인터넷 많이하다가 자아를 탐구하고 싶은 MZ세대발견돼서 많이 퍼진걸로 추측되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12.12
0
0
태정태세문단세 에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쉽게말하면 새로운 왕조를 시작한 임금은 조를 붙이고, 그 왕조에 뒤따라서 왕이 된 임금은 종을 붙입니다. 이건 후세에 붙이는 이름인데, 경우에 따라 업적이 뛰어나거나 한 왕은 조를 붙이기도 합니다.예를 들어 선조는 원래 선종이라 해야하는데 임진왜란 잘막아서 선'조'라고 높여부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12.12
0
0
조선시대 왕 중에서 가장 많은 자녀를 둔 왕은 누구 였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태종입니다. 총 왕비랑 후궁포함해서 총 29명입니다. 그다음은 성종으로 28명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12.12
0
0
교복 마이에서 마이는 일본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어의 잔재입니다. 일본어로 싱글양복은 카타마에, 더블은 료-마에라고 합니다. 여기서 싱글의 자켓 카타마에가 지금의 가다마이가 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음악
23.12.12
0
0
조선시대 관노비와 사노비의 삶은 어떤 차이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노비는 말그대로 사적인 노비로 양반의 개인 재산이었고, 양반(주인)에 의해서 온갖 잡일을 시키는대로 다 했습니다. 관노비(공노비)는 관청에서 잡역을 담당했습니다. 관노비는 전쟁포로나 특정 범죄자가 많았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12.12
0
0
김영삼의 깨지지 않는 트리플 최연소 기록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영삼 전 대통력의 트리플은 최연소, 최다, 최초 입니다.최연소는 25세 당선최다는 9번의 5·6·7·8·9·10·13·14대 총선에서 당선된 것입니다. 최초는 국회 본회에서 의원직 제명을 당한 것입니다.아직 깨지지 않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12.12
0
0
현대소설책을보니 품바공연이나오던데 품바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품바는 원래 각설이타령의 후렴구에 쓰여지는 일종의 장단 역할을 하는 의성입니다. 근데 지금은 각설이나 걸인을 품바라고 부르는 걸로 사용의미가 좀 바뀌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문학
23.12.12
0
0
의류회사가 아닌 다큐멘터리 회사나 필름회사들이 옷을 만들어 파는 이유가 뭘까요?? 또 그걸 사주면 구매자들의 심리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얘네들은 상표만 우리나라 옷 제작 기업에게 빌려주고, 실제 생산은 우리나라 기업이 합니다. 그래서 인기있는 제품은 역수출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기업이 이런 브랜드 로고를 살려 옷을 만들면, 성공시키실 수 있을거 같아 제작한 것입니다. 본격적으로 저 회사들이 의류를 만드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만약 계약이 만료되면 옷을 만들 수 없습니다. 그래도 아마 잘 팔리고 있으니 저 브랜드 들은 앉아서 돈버니까 쉽게 계약을 끊지는 않을거 같습니다만... 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3.12.12
0
0
인구유지를 위한 출산율이 대체출산율 맞나요? 대체출산율은 현재 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말씀하시는게 맞습니다. 인구 유지를 위해서 2명이상을 낳아야 하는데 우리나라 같은 나라는 대체적으로 2.1명으로 보면됩니다. 이거는 태어난뒤 사망률이 그렇게 높지 않다는 뜻이됩니다. 아프리카 같은 경우는 아이가 태어나도 더 많이 사망할 수 있어서 지금 인구를 유지하려면 더 낳아야 하니까 4.7정도로 보고 있습니다.변화할 수는 있는데 나라의 수준이 급변하지 않는 한 계속 자주 바뀌지는 않을 것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12.12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