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코인의 가격이 왜 관세의 영향을 받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일단 경제적인 이유로는 관세는 인플레이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관세만큼 물건 값이 비싸질 수 있고, 이렇게 물가가 오르면 정부는 쉽게 금리를 못낮춥니다. 금리 내리면 물가 더 오를 수 있으니까요.코인은 유동성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주식회사처럼 실적이 있는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돈 풀려야 하는데 관세때문에 물가 오르면 돈 푸는 시기가 늦어질 수 있습니다.다른 이유로는 거시적 경제환경이 안좋은 것입니다. 투자자들은 불확실성을 가장 싫어합니다. 지금의 예상치 못한 높은 관세율은 앞으로 거시경제가 어떻게 돌아갈지 전혀 예측하기 힘듭니다. 인플레이션 올수도 있고, 서로 각국이 관세전쟁이 심해서 경제가 마비될수도 있고 등등 많은 위험을 키웁니다.그러면 투자자들은 일단 위험자산부터 팔고 봅니다. 그중에서 가장 빨리 팔리게 되는게 코인입니다. 코인은 24시간 연중무휴로 언제든지 팔아서 현금화 할 수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09
0
0
은행에서 돈을 빌릴 때 이자를 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이자는 상대방에게 돈을 빌릴때 주는 보상입니다.예를 들어 내가 1년동안 돈을 빌리면 상대방은 그 돈을 못씁니다(실제로 은행은 그렇지 않긴 합니다만). 그 1년동의 보상을 내가 이자로 주는 것입니다.그리고 내가 돈을 못갚을 수도 있다는 위험이 있습니다. 거기에 대한 보상이기도 합니다.신용대출은 나의 신용(능력)으로 돈을 빌리는 것입니다. 주로 직장인이라면 연봉을 봅니다. 이정도 연봉받는 사람이니 이정도 빌려줘도 되겠다 이런 개념입니다.담보대출은 담보물이 있습니다. 가장 흔한게 집입니다. 이 집의 가치가 얼마이니 이정도 빌려주고 만약에 너가 못갚으면 이 집은 내꺼야 하는것입니다.
경제 /
대출
25.04.09
0
0
코스피가 2300이 깨진것은 얼마만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2023.11.01에 코스피가 2,288.64(종가기준)이 된적이 있습니다. 글로벌 금리 상승 우려가 주요 원이었구요. 그 전에도 2023.01.06에 또 2300이 깨진적이 있습니다. 종가 2,299.08 이었고, 미국 채권금리가 급격하게 올라간게 원인이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09
0
0
우리나라에 주식시장은 언제 들어왔고 처음 시작은 어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1956년에 개장했는데, 초기 상장 기업은 12개사 였습니다.조흥은행 현 신한은행에 흡수대한해운공사 현 대한해운그룹 전신경성전기 한국전력 전신상업은행 현 우리은행 전신대한조선공사 현 한진중공업 계열사경성방직 현 코오롱인더스트리 전신등이 었고, 대한증권거래소, 한국증권금융, 한국전력이 전체 거래량의 93% 점유했다고 합니다.1961년에는 군사정권의 주가 조작 개입으로 인한 시장 붕괴되고 해서 주식 = 도박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1963년에 73일이라는 기로적인 장기 휴장도 일어났습니다.1970년대 중동 건설로 인해 건설히 호황이 찾아와서 건설주 위주로 투심이 좀 회복됐고, 1980년대 외국인에게 개방되며 더 성숙해 졌습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4.09
0
0
가계 소비 지출에서 집 대출이 40% 넘어가면 좋지 않은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꼭 그 퍼센티지가 정해진건 아닙니다. 근데 대략적으로 보더라도 현재 급여의 50%를 저축하는 사람은 잘 없습니다. 평소 소비가 그렇다는 거죠. 거기다가 통신비 보험 구독료 같은 고정비도 있습니다. 그러니 평소에 50%도 저축못하는데 고정비까지 더하면 아마 60%정도 될수 있는데, 나머지 집값으로 다 나간다면 평소보다 쓸돈 적어서 힘들어지는거죠. 또 배우자가 있다면 서로 이런게 맞아야 하구요.그러면 어렵게 산 집도 유지를 못할 수가 있습니다.반면에 나는 50%이상 저축하고, 그보다더 할수 있다면, 집값으로 40% 나가도 꾸준히 잘 버틸수도 있습니다.
경제 /
대출
25.04.09
0
0
현재 코인 시장은 하락장일까요? 조정장일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저 개인적으로는 조정이라고 생각하는데, 사실 이거는 아무도 모르는 거긴 합니다.제가 조정장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비트코인이 미국의 전략자산으로 정식으로 채택이 된 역사적인 해입니다. 이렇게 비트코인에 대한 가치는 올라가는데, 지금의 하락은 관세전쟁으로 인한 거시적 환경 탓입니다. 주식이고 코인이고 다빠지느거죠.본격적인 하락장이 오려면 저번처럼 FTX사태나고 중국의 비트코인 채굴금지 등 코인에 대한 직접적인 악재가 클때 하락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지금은 오히려 그런거 보다 비트코인은 인정받고 있는 단계이기 때문에, 이런 거시적환경 불안이 걷히면 다시 올라갈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09
0
0
여유자금을 약 2년정도 시기로 투자한다면 어디에 투자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저는 개인적으로 2년이라면 예금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주식이나 코인 등은 2년안에 무슨일이 일어날지 아무도 모릅니다. 2년안에 반드시 써야하는 돈이라면 원금을 보장받을 수 있는 곳에 돈을 넣는게 낫습니다.물론 지금 주식 코인 다 힘든시기입니다. 이게 바닥이고 뒤에 2년동안 오르기만 할수도 있습니다. 근데 횡보할 수도 있고 추가하락했다가 또 오르고 등등 어떤 변동을 보일지 모릅니다. 그러면 그때마다 나는 2년 후에는 꼭 써야하는 돈이기 때문에 불안해질 수 있고, 조금 손해봣을때 팔수도 있습니다.저도 1년 반뒤에 쓸 아파트 잔금의 일부를 넣었다가 큰일난적이 있습니다. 당시 꽤 수익권이었기 때문에 설마 떨어져도 원금보다 더 안떨어지겠지 생각한게 화근이었습니다. 결국 잔금 모자르게 되어 돈 빌리러 다녔습니다.잘 될수도 있죠. 근데 또 이게 성공하게 되면 다음에 똑같은 상황에서 같이 행동하게 되고 그 때는 또 더 잃을 수도 있습니다. 무조건 기한 정해진 돈은 보수적으로 보는걸 추천드립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4.09
3.0
1명 평가
0
0
지금 미국시장은 트럼프가 좌지우지하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네 지금은 어쩔 수 없이, 트럼프가 주식뿐만 아니라 암호화폐시장까지 좌지우지하고 있습니다. 관세전쟁이 지금의 폭락 원인이라 모두가 앞으로 관세, 그리고 이에 따라 연준이 어떻게 결정하는지만 주목하고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09
0
0
해외주식 주간거래는 왜 중지된 건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시스템 적인 부분이 큽니다. 원래 삼성증권을 시작으로 최대 19개 증권사까지 거래를 지원했습니다. 근데 2024년 8월 5일 국내증시가 불안해지면서 국내투자자들이 미국주식도 낮에 매도를 대규모로 했는데, 이때 미국 대체거래소(ATS) 블루오션이 시스템 과부하를 이유로 거래를 일방적으로 취소한 사건이 있었습니다.그리고 그전에도 2023년 8월과 2024년 4월에도 서버 장애로 주간거래 중단 사태도 있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09
0
0
요즘도 코인 리딩방 사기들이 많은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네 저만해도 어떻게 알고 문자오는지 텔레그램에 들어오라고 계속 문자 옵니다. 저도 옛날에 카톡방에 들어간적 있는데, 나름 논리를 가지고 추천해주기는 합니다.제가 당시 추천 받았던 주식은 국내 게임회사 베스파였습니다. 신작이 나오는데, 일본에서 대박날거 같고, 그 정도를 게임 순위 사이트를 통해 추적하는 거였습니다.근데 그 사람들도 신이 아니니까 매번 맞출 수 없고 자주 틀리죠. 그러면 그거 따라 차 팔아서 사고 이런 사람들 돈 다 잃습니다. 그래서 항의하는 사람 많았는데, 그냥 뻔뻔하게 다른 주식 또 추천하더라고요, 근데 지금까지 리딩에 따라 주식 산 사람들은 또 다른 주식 뭐사야할지 모르니 결국은 따라 사더라고요.본인만의 투자 방법이 없으면 돈은 잃게 되게 되어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09
0
0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