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S&P가 국내 SK하이닉스의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으로 상향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AI산업이 전세계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는데, SK하이닉스가 AI용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경쟁력이 높다고 하며 시장가치를 높게 평가했습니다.SK하이닉스가 내년에 설비투자 늘어날거 같은데 현금흐름이 좋아져서 충분히 충당가능하다고 판단된다고 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12.15
0
0
내년도 우리나라 경제 성장 예측이 나왔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네 현대경제연구원이 보고서로 발표한게 있습니다. 2024년의 한국 경제는 2.2%정도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합니다. 상반기 2.3% 하반기 2.1%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12.15
0
0
액티브 ETF '상관계수'를 삭제한다는 말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쉽게 말하면 상관계수란 비교하는 두 대상이 얼마나 상관있냐를 나타냅니다. 1이면 완전이 같고 0.9면 90% 같다 이렇게 보면 될거 같습니다.근데 이 상관계수를 ETF에 적용하고 있었습니다. 패시브는 추종하는 벤치마크와 상관계수가 0.9이상 되어야 하고, 액티브는 0.7이상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애초에 액티브 ETF의 벤치마크는 이것보다 더 초과수익을 올리기 위한 기준이라 할 수 있는데, 이 벤치마크와 70%은 같아야 하니, 이걸 어기고 좀 더 다르게 운용하면 더 수익 낼수 있었던 기회를 놓치고 있었던 것입니다. 반대로 얘기하면 운용사의 자율성은 30%정도였다고 볼수 있습니다.그래서 좀 더 자유롭게 해보라고 이 상관관계 규정을 아예 없애주겠다 이런 의미 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2.15
0
0
한국이 기준금리를 3.5%를 유지 할 수 있는 배경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체감물가하고는 맞지 않지만, 올해 8월에는 우리나라 소비자물가지수가 2.3%까지 떨어졌었습니다. 그래서 금리를 더이상 안올리고도 물가를 잡을 수 있다는 배경이 됐었습니다. 지금은 3.3%까지 오르긴했지만 아직은 두고봐도 되는 상황입니다.그리고 이제는 기준금리가 오를만큼 올랐다며 내리길 기대하는 심리도 많기 때문입니다. 근데 제 생각에는 사실 더올리는 것도 이상하지는 않는데, 가계부채가 지금 역대 최고인 상황이라 더올리게 되면 가계들이 더 무너질수 있습니다. 그래서 쉽게 결정못하는 것 같습니다. 이런 배경을 두고 이총재님이 가계부채가 더 늘어나면 올릴수도 있다고, 무리하게 돈 빌려서 영끌하지 말라고 경고한 적도 있죠. 버티고 있는 상황인거 같기도 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12.15
0
0
지금까지 가장 높은 per를 기록했던 주식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예전에 2000년대 리타워텍 이라는 주식이 PER 59만배였다고 합니다. 35일 연속 상한가의 기록도 가지고 있습니다. 닷컴버블때 일어난 사건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2.15
0
0
증권사 별로 수수료가 다른건 왜 그럴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그건 증권사가 마다 받고 싶은 비용이 다르기 떄문입니다. 거래수수료에는 유관기관 제비용이라는 일종의 기본으로 들어가는 비용이 있습니다. 증권사가 한국예탁결제원에 납부하는 수수료랑 한국거래소에 납부하는 거래수수료 등입니다. 이건 동일합니다.근데 차이가느 나는것은 본인들의 관리비용 유지비용을 다르게 책정하기 때문입니다.어느증권사는 우리가 투자자들한테 많은 정보도 주고 분석도 해주기 때문에 더 받는 데가 있고, 투자자들이 이게 좋다면 이 증권사를 택하면됩니다. 그렇지 않다면 무조건 젤 싼데 가면되구요.아니면 어느 증권사는 모바일로 하는게 UI도 좋고 정말 깔끔하고 잘되어 있는데 이거 관리하는데 돈이 많이 들어가니 더 받을 수도 있구요, 거래 금액마다 차이나기도 합니다.증권사마다 본인들이 어떤 이유로 관리비용격으로 수수료에 포함해서 더 받을 수 있는데, 그래도 해당증권사가 다른 면이 좋아서 마음에 들면 조금 더 비싸더라도 택하는 사람도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2.15
0
0
경제 용어 중에 바이오시밀러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제약산업관련 용어인데, 이미 나와있던 약품의 특허가 끝난 것을 모방해서 만든 약품을 말합니다. 오리지널하고 여러가지 비교평가를 통해서 동증성이 입증된 제품이라 할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2.15
0
0
미국 증시 지수가 이틀연속 오랐는데 이를 추종하는 국내 etf가 떨어지는 이유는 무엇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인덱스 ETF도 추적오차가 있습니다. QQQ는 0.45%입니다.고 우리나라 대표격인 타이거나스닥100은 0.24%정도입니다. 지수에 따라 이 추적오차가 다르고, 또 우리나라는 동시간대가 아니기 때문에, 다음날 반영됩니다.이런 요소들로 인해서 단기적으로는 오차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2.15
0
0
주식을 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주식이 오르고 이있을때 사야 할까요? 아니면 내릴때 사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 문장으로만 보자면 사실 정답은 없습니다. 지금 50% 올른 상태라 많이 올랐다고 보고 안샀는데 2배 3배 갈수도 있고, 내릴 때 샀는데 더 내릴 수도 있습니다.중요한건 기업가치대비 현재 주가가 싼 영역에 있냐 비싼 영역에 있냐를 봐야합니다.해당 기업이 장사도 잘하고 사업아이템도 좋아서 이익이 더 늘어날거라고 정황상 꽤 합리적으로 예상되는데 주가가 높지 않다면, 이때 사는 게 가장 합리적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2.15
0
0
복합불황은 어떤 상태를 말할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복합은 말그대로 복합적으로 불황인건데, 회사도 안좋고 은행같은 금융회사도 안좋아서, 실물경제 소비도 안좋은 상황에서 금융도 같이 침체되는 상황입니다. 흔히 말하는 일본의 잃어버린 10년, 20년이라고 얘기하는데 이때 일본이 복합불황의 예로 자주 등장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12.15
0
0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