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징기스칸의 무덤은 어디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징기스칸은 1227년에 죽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의 유해가 어디에 묻혔는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후손들은 그의 무덤을 비밀로 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기 때문입니다. 일부 연구자들은 징기스칸의 무덤이 몽골의 산속에 숨겨져 있다고 추측하기도 하지만 지금까지 확실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4
0
0
사회과학)사회적 동물, 그리고 특정 부분에 대해서 동물과 사람의 차이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저도 질문자님 의견에 어느정도 동의합니다. 인간도 결국 동물입니다. 근데 가장 큰 차이점이 저는 인간이 너무 고지능이라 본인들이 동물임을 잊어버리는 거라고 생각합니다.결국 인간도 서열이 정해져있는 사회에 각자 역할에서 살아가고, 또 번식합니다. 이 행위가 고차원적으로 이루어지는 것 뿐이지요.저는 인간도 하나의 동물이기 때문에 가장 근본적인 것, 즉 생존 그리고 본인의 유전자를 이어어 가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도 이렇지만 잘 포장되어 있을 뿐이지요.내가 생존하기 위해 에너지가 많은 열량이 높은 음식(뇌가 맛있다고 느끼는 것)을 먹고, 잘모르는 행동을 하면 위험해질수 있으니까 기피합니다. 이런 위험을 감수하고 이겨낸 사람이 강해지고(돈을 많이 벌게되고) 그 밑에 들어가서 안전하게 사는 것입니다.내 유전자를 물려 받은 생명체가 더 안전하기 위헤 더 좋은 동네 더 비싼동네로 이사가기를 원하고, 더 높은 지위를 갖게 하고 싶어 사교육에 돈을 씁니다.현재로서 이런 현상에 대한 뚜렷한 해결책은 없어보입니다. 인간도 똑같이 더 많은 걸 가지고, 더 위로 올라가고 싶은 욕망은 끝이 없습니다. 지금 AI발전만 봐도 그렇습니다. AI가 많이 발전하면 여러사람들이 필요없어지게 되고, 나중에는 AI가 인간자체를 하등생물로 취급하는 시대가 올거라고 예견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은 돈이되니 가속도로 AI를 발전시킵니다. 인류학적으로 잘 생각해봐야할 문제인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04
0
0
고려 시대 고려 청자가 그토록 높은 평가를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단 자기에는 청색이 좀 희귀한 색인데 이를 잘 표현한 것이 특징입니다. 그리고 고려 왕실과 귀족들을 나타내는 하나의 문화의 대표적인 물건인 점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3.07.04
0
0
불교에서 많은 석상 불상을 만든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돈은 많이 들었지만, 서민들을 가르치고 돕는다 이런 불교사상이 더 크기 때문에 석상을 많이 만드는 것 같습니다. 일단 부처의 모습을 또 많이 만들어 경배해야하고요.
학문 /
미술
23.07.04
0
0
우리나라의 역사상 세면기는 언제 처음 도입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확실하게 딱 정립된 시기는 없습니다만, 서양문화가 들어오기 시작한 19세기 이후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일단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제품이 아니라서 그렇습니다. 실생활에 조금씩 사용된 것은 일제강점기정도이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미군부대개 들어오면서 남은거 쓰거나 따라했을 경우도 있었을테고, 1970년대에 개발과 동시에 건설도 많이 일어나면서 세면대 퍼진것으로 추측됩니다.
학문 /
역사
23.07.04
0
0
철학자 존 로크의 사상과 데카르트의 사상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철학자 존 로크의 사상과 데카르트의 사상의 가장 큰 차이점은 인식론적 관점에서 비롯됩니다. 로크는 경험론자로서 모든 지식은 감각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한 반면, 데카르트는 합리론자로서 선천적인 지식이 존재하며 이성을 통해 진리를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즉, 로크는 객관적 사실에 지식의 근거를 둔 반면 데카르트는 주관적 확실성에 지식의 근거를 두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철학
23.07.04
0
0
되와 돼의 구분 사용법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돼는 되어의 줄임말이라 생각하시면 좀 편합니다.되어라는 말이 맞게 붙으면 돼로 줄여 쓰시면 되고 안맞는거 같으면 돼를 쓰지 않고 되를 쓰면 됩니다.예를 들면 "내가 선생님이 돼면" 이라 했을 때 바꾸보면 선생님이 되어면이 됩니다. 그러니 이상하죠. 이때는 되면을 쓰면됩니다.그리고 내가 선생님이 됐다. 인데 선생님이 되었다. 말이 되니 됐다나 되었다 둘다 쓰면 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3.07.04
0
0
음악에서 악보와 음계는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오선악보는 11세기경 가이도 다레조라는 이탈리아 수도승이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도레미파솔라시도는는 17세기경 프랑스 작곡가 장 필립 라모에 의해 정립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3.07.04
0
0
십자군전쟁이 시작된 실제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말씀대로 십자군 전쟁은 주로 기독교와 이슬람 간의 종교적 갈등이 원인이었지만 다른 정치, 경제, 문화적 요인도 영향을 많이 미쳤습니다. 유럽의 왕과 귀족들은 영토와 부를 확장하고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십자군 전쟁을 이용했습니다. 그리고 유럽의 중세 사회는 인구가 증가하고 농업과 상업이 발전함에 따라 새로운 땅과 시장이 필요했습니다. 십자군 전쟁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는 수단이 된 것입니다. 그리고 십자군 전쟁은 유럽과 중동 간의 문화 교류와 충돌을 촉진했습니다. 유럽인들은 중동의 과학, 예술, 철학을 접했고, 반대로 중동인들도 유럽을 접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것들이 부딪히다 보니 갈등도 유발하곤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4
0
0
OTT 드라마 해설 자막은 작가가 다 쓰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처음에는 음성을 인식해서 자동생성시키고 그것을 자막기사님이 검사해서 수정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음악
23.07.04
0
0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