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육아
아이가 말을 더듬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말 더듬은 조기진단이 매우 중요한데요 언어가 발달하는 만2세에서 6세에 빈번하게 나타납니다. 아이가 말을 더듬는다면 아이에게 부모가 천천히 말을 하라고 하는 것이 아닌 부모가 천천히 말을 해야합니다. 실수를 하더라도 차분히 기다려주시고요 과도한 칭찬은 도움이 되지 않을 뿐더러 어려운 단어를 사용하려는 모습에서 말더듬의 원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말을 중간에 끊는 경우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말 더듬는 것에 인식하여서 자신감이 떨어지지 않도록 지적하지 마시고 자연스럽게 대화를 해주세요 그리고 아이가 말을 많이 할 수 있도록 지켜봐주시고 동화책을 읽어주실 때에도 천천히 읽어주시면 도움이 되실거예요 아이가 말하는 것에 자신감이 떨어지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걱정이 많이 되신다면 가까운 센터에서 상담을 받으시고 아이 발달에 맞는 도움을 받으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
육아 /
양육·훈육
23.01.25
0
0
본이이 키가 작다고 스트레스 받는 아이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가 많이 속상해해서 걱정이 되셨겠어요 아이 눈높이에서 아이가 받아들일 수 있도록 키와 관련된 동화책을 읽어주시는 것은 어떨까요? 난 크고싶어 라는 동화책을 보면 아이는 키가 작아 매우 속상해합니다. 키 크기위해 어른들 말씀에 따라 몸에 좋은 단백질도 먹어보고 운동도 해보고 잠도 일찍 자보고 공부도 열심히해봅니다. 그러다 키가 큰 삼촌을 만나 삼촌을 바라보게 되는데 키가 큰 삼촌은키가 커서 옷도 맞는 옷이 없어 춥게 입고 문에 부딪히고 자동차도 제대로 못타고 불편한 모습을 보게 됩니다. 그리고나서 삼촌에 말을 듣고 깨닫게 됩니다. 키가 큰 것보다 마음이 큰 아이로 자라는 것이 더 행복하다는 것을 ... 이러한 줄거리의 내용입니다. 아이가 외적인 모습보다 내적인 모습이 행복하고 아름답고 그 가치가 더 크다는 것을 알려주시면 아이가 건강하게 성장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
육아 /
양육·훈육
23.01.25
0
0
편식이 심한 아이 어떻게 하면 좋을가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가 편식이 심해 걱정이 많으시죠아이에게 야채를 먹어야 한다고 이야기만 해주신다면 아이는 오히려 더 거부감이 들 수 있습니다. 음식 골고루 먹기 동화나 영상으로 자연스럽게 야채에 대해 긍정적으로 다가갈 수 있도록 도와주시고 아이를 위해 조리법을 다양하게 해주세요 햄과 고기종류를 좋아한다면 햄과 고기종류가 같이 들어간 고기야채전을 만들어 주신다거나야채를 튀기거나 굽는 등 다양한 조리법으로 아이가 야채를 맛있게 먹을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또한 푸드아트 활동 등 야채로 얼굴 모양을 만드는 활동으로 아이가 야채와 좀 더 즐겁게 친해질 수 있도록 도와주신다면 아이가 조금씩 야채에 흥미를 보일 것입니다 ^^
육아 /
양육·훈육
23.01.25
0
0
형제를 키우면서 양보를 가르치는 법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양보라는 것은 아이들에게 결코 쉽지 않습니다. 강제적인 양보는 오히려 아이들에게 역효과를 불러일으킵니다.아이들이 같은 장난감으로 다툴 경우 서로 규칙을 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저희집도 두살 터울 형제를 키우고 있는데요 가위바위보를 통해 순서를 정하고 시간을 함께 정해서 놀 수 있도록 합니다.이 모든 것은 아이들과 함께 의논하고 정해져야 기분좋게 놀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툼이 있을 경우에는 한명씩 데리고 다른 공간에서 이야기를 들어줍니다.같은 공간에서 둘을 데리고 이야기할 경우에는 어느 한쪽이 억울한 상황이 생기고 듣는 엄마또한 판단력이 흐려지기에 따로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형제 키우기 많이 힘드시죠 하지만 둘이 함께 놀때는 그 무엇보다 예쁜 그림이죠 ^^당장은 다툼이 많고 속상한 일들이 많이 보이시겠지만 아이들을 믿고 해결할 수 있도록 지켜봐주세요 함께 규칙을 정하고 노력해간다면 언젠가 아이들도 스스로 의논해서 규칙을 정해 놀이하는 모습을 보일 것입니다 ^^
육아 /
양육·훈육
23.01.24
0
0
어린이집을 정할때 기준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가장 좋은 것은 우리아이가 즐거워할 만한 곳입니다.아이성향에 맞게 어린이집을 결정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또한 주변 어린이집 상담을 받아보셔서 원의 먹거리, 안전,원장님 마인드도 직접 확인해 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육아 /
유아교육
23.01.24
0
0
아이 젓가락 교육은 언제부터 하는 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젓가락질을 시작하는 시기 역시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아이가 혼자 음식을 먹는게 어느정도 가능한 24개월 전후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아이가 젓가락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일종의 놀이처럼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젓가락을 사용해 음식, 물건을 옮기는 놀이 뿅뿅이 옮기기 좀 더 어렵게는 콩 옮기기 등 놀이를 시도해 주시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아이가 성공했을 시 풍부한 의성어와 표정으로 적극적인 리액션을 보여주신다면 아이는 성공했다는 성취감에 젓가락 사용을 더욱 즐거워할 것입니다. ^^
육아 /
유아교육
23.01.24
0
0
8세 남아 연필 잡는 법 계속 얘기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가 연필 잡는 방법에 대해 스트레스 받을까 걱정이 많으시군요..연필을 쥐어주실 때 엄지와 검지 그리고 중지의 위치를 알려주고 스스로 쥘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먼저 방법을 천천히 알려주신 후 아이가 쥐어보는 연습부터 그리고 천천히 선을 그어보는 연습부터 차근차근 해주세요 무조건 자세를 잡겠다고 바르게 잡고 쓰라고 하면 아이가 힘들어할 수 있습니다. 연필 뿐만 아니라 다른 두꺼운 펜도 얇은 펜도 쥐어보는 경험만 가져보고 자연스럽게 천천히 써볼 수 있게 그래서 아이가 스스로 이러한 방법이 더 편하구나 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도록 조급해하지 마시고 천천히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
육아 /
유아교육
23.01.24
0
0
아이 한글은 몇살부터 가르쳐야 되나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한글 공부라기 보다는 한글은 놀이로 계속해서 노출이 되면 아이에게 도움이 됩니다.집안 곳곳 사물에 명칭을 한글로 붙이시고 아이가 자연스럽게 집안에서도 시각변별을 통해 사물과 글자를 한번에 볼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또한 자음 모음 벽보 활용도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영상을 좋아하는 아이라면 한글 관련된 영상을 보여주시며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게 도와주시는 것도 좋습니다.자신이 좋아하는 캐릭터가 있다면 그 캐릭터 이름을 재미로 써보는 것도 효과적입니다.저희 아이는 자신의 이름을 써보기에서 친구이름 써보기 자음 모음 카드로 이름 완성해보기를 통해 쉽게 한글을 떼었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육아 /
유아교육
23.01.24
0
0
기어다니는 아이의 무릅보호를 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기어다니는 아가의 무릎 보호대 착용은 장단점 있습니다.무릎과 팔이 검게 변하거나 다치는 상황을 예방해주는 장점이 있지만보호대를 착용함으로 인해서 미끄러지거나 아이가 불편해해서 답답해하거나 하는 단점도 있습니다.보통은 매트에서 있을 경우에는 보호대 착용이 없어도 될 둣 하지만 아가의 무릎과 팔이 걱정되신다면 아가가 긴바지를 입혀주시는 것 또한 방법입니다.바지 무릎부분에 천을 덧대어 보호대 역할로 해주시는 것도 아이가 답답해하지 않고 무릎이 보호되는 효과가 있을 것입니다.
육아 /
양육·훈육
23.01.24
0
0
아이에게 화가날때는 어떻게.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엄마도 사람인지라 화가날 때가 많지요 .. 그럴 때에는 아이의 입장에서 생각해주세요 말도 안통하는 아이이기 때문에엄마의 행동이 이해가 안가고 왜 들어주지 않는지 울면 들어주려나 하고 떼를 쓰고 울 것입니다. 아이가 떼를 쓰는 원인을 파악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말이 통하지 않는 연령이라면 더더욱 원인을 찾아서 해결해주는 것이 좋습니다.말이 통하지 않는데 화를 내어서 아이가 고쳐진다면 그것은 공포에 그 행동을 멈추는 것이고 일시적일 뿐 떼쓰는 행동이 고쳐지지는 않습니다. 아이의 우는 마음을 공감해주시고 어린 아가라면 관심사를 다른 곳으로 돌려주시며 울며 떼쓰는 행동이 줄어들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우는 아가를 보고 화가 나신다면 잠시 아가를 보지 마시고 심호흡을 3번 이상 하신 후 아이를 보시는 것, 잠시 다른 곳을 보며 기분을 환기시켜주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아무쪼록 힘든 육아 이실 텐데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육아 /
양육·훈육
23.01.24
0
0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