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연차에 관하여 궁금한점 물어보고 싶습니딘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근로기준법 제60조(연차 유급휴가)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④ 사용자는 3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게는 제1항에 따른 휴가에 최초 1년을 초과하는 계속 근로 연수 매 2년에 대하여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 경우 가산휴가를 포함한 총 휴가 일수는 25일을 한도로 한다.법에서 기본적으로 3년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 대해 1일씩 늘리게 규정되어 있으므로, 반드시 늘려야 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3.13
0
0
실제입사일과 사대보험 가입일이 다른 경우 어떻게 할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네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입사일을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사대보험 가입일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사업장에서 근무하다보면 4대보험 신고가 늦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일자를 정정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13
0
0
주5일근무 하루 결근을 2일로 처리하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2일치가 깎인 것은 화요일에 대해 깎인 것이 아니라 주휴일(일요일)에 대한 임금이 깎인 것이 아닐까라고 생각이 됩니다. 기본적으로 소정근로를 개근하지 못한 주에는 주휴수당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하루 결근에 대해서 2일치가 삭감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3.13
0
0
급여가 삭감이 되면 실업급여 대상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삭감된 임금이외 임금체불이 2개월이상 전액이 발생한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사업장에서 재계약을 요구했음에도 본인이 계약을 거부한다면 자발적퇴사로 분류되어 실업급여 수급이 불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13
0
0
정년퇴직후 촉탁근로 연장 2년이 지나면 갱신기대권으로 해고가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계약기간이 2년이상 지나서 정규직이 된경우에도 해고는 할 수 있습니다. 5인이하 사업장이라면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근로자가 할 수 없어 해고에 조금 자유로울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해고는 해고사유와 해고절차등을 서면으로 명시해야 하며, 해고사유도 구체적인 업무능력이나 근무태도가 불량함을 입증하셔야 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근로계약
21.03.13
0
0
주 52시간근무 적용 업종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주 52시간 근무제는 2018.7.1일부터 300인 이상 사업장에 적용되며, 2021.1.1일부터 50인 이상 299인 이하 사업장에서2021.7.1일부터 5인이상 50인미만에 적용됩니다.모든근로자에게 적용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13
0
0
52시간제 근무기준이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주 52시간 근무제는 2018.7.1일부터 300인 이상 사업장에 적용되며, 2021.1.1일부터 50인 이상 299인 이하 사업장에서2021.7.1일부터 5인이상 50인미만에 적용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3.13
0
0
4대보험 취득 신고는 매번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달 60시간 이상일하고, 2개월 이상이 연속된 경우가 아니라면 조금 늦게하셔도 됩니다. 그러나 일용직의 경우라면 매번 신고는 하셔야 합니다. 번거로운 일이라서 용역을 맡겨서 진행되는 경우도 많습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13
0
0
2월은 28일 근무라 2일 급여공제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안됩니다. 월급제의 경우라면 근무일에 상관없이 월급으로 지급을 하게 됩니다. 시급제 근무자라면 이에 대해서 근무시간 별로 지급하지만 월급제 근로자라면 말 그대로 월급에 대한 개념이기 때문에 동일하게 적용해야 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통상임금에 대한 개념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13
0
0
서무업무 중 직장내 괴롭힘(혹은 갑질)에 해당하는 업무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네 그렇습니다. 직장내 괴롭힘은 맡은 업무 이외에 커피심부름등 잔심부름도 해당됩니다. 따라서 직장내 괴롭힘에 해당될 수 있으며관할 노동청의 직장내 괴롭힘으로 진정 신청이 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13
0
0
829
830
831
832
833
834
835
836
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