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시중에 통화량이 증가하면 화폐가치가 떨어지는것은 이해하겠는데, 왜 물가는 상승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시중의 화폐 통화량이 증가하게 된다는 것은 화폐가치가 하락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물가라는 단어가 의미하는 것이 화폐의 가치 하락에 따른 다른 자산들의 상대적 가치 상승을 의미하는 단어이기 때문입니다. 즉, 인플레이션이나 물가라는 단어 자체에 내포된 의미 자체가 통화량의 증가와 함께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을 말하는 단어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6.19
0
0
엔화 가치가 떨어짐에 따라, 우리나라 기업에 악영향을 끼칠수 있다는데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엔화가치가 하락하게 되는 경우 일본 수출기업들의 경우에는 가격 경쟁력이 상승하게 되면서 우리나라와 동종업계의 경쟁을 하게 되는 경우에 우리나라 기업들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이 적용되는 것이므로 수출 실적에 악영향을 받게 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6.19
0
0
경제지표중 데이터를 연율로 환산했다는게 어떤 의미죠?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연율로 환산한다는 것은 전월 즉 1개월치의 실적을 연환산인 12개월치로 환산해서 적용하였다는 말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6.19
0
0
신규주택착공 건수는 전월대비가 나은가요? 전년대비가 나은가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신규주택착공 건수에 대해서 전월대비나 전년대비 모두 의미가 있는 지표이다 보니 모든 것을 함께 비교를 해주셔야 합니다. 해당 기간이 길수록 비교의 시점이 길어지는 것이기에 어떤 기준으로 경제의 지표가 나아졌는지를 비교하는 것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6.19
0
0
청년도약계좌는 언제까지 가입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청년도약계좌의 경우에는 현재 출생년도에 따라서 가입을 받고 있는 5부제를 운영하고 있으며, 6월 23일까지만 접수를 받고 있어 이후의 일정에 대해서는 안내가 되고 있지 않기에 가입이 불가능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이 청년도약계좌의 경우에는 한도를 배정하는 것이다 보니 미달되는 경우에는 추가 접수를 받을 것으로 보이나 이 부분은 확정된 것이 없다 보니 말씀드리기 힘들 것 같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6.19
0
0
우즈베키스탄에서 원화 10,000원은 어느정도 가치일까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즈베키스의 물가와 비교하는 것 자체가 여러가지가 있겠으나 지하철을 기준으로 봤을 당시에는 1,400숨 (1달러=10,850숨)인 것을 감안한다면 지하철 물가가 1,300원이라면 300원정도니깐 우리나라 물가의 대략 25%수준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렇기에 우리나라 간식을 10개 산다면 우즈베키스탄에서는 40개를 살 수 있다고 보시면 좋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6.19
0
0
연금저축과 연금보험의 차이점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현재 은행 재직 중으로 해당 질문에 대해서 답변 드리도록 할게요연금저축과 연금보험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세제혜택 적용 시점의 차이연금보험은 세제비적격으로서 연금을 지급받는 시점에 비과세 혜택을 적용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납입한 보험료를 통해 얻는 보험차익금은 이자소득세가 부과되지만 보험료를 납입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세액공제를 받지 못합니다. 이에 반해서 연금저축은 세제적격으로서 납입금액에 대해서 세액공제를 받게 되며, 실제 연금을 수령하는 경우에는 연금소득세가 부리되게 됩니다.세제혜택 요건 차이연금보험의 세제혜택은 다음과 같습니다.일시납 : 10년 이상 유지, 납입금액 1억원 이하월 적립식 : 5년 이상 납입 및 10년 이상 유지, 월납 보험료 150만원 이하종신형 : 보험료 납입계약 만료 후 55세 이후부터 사망 시까지 보험금을 연금으로 수령연금저축의 경우에는 최소 5년이상 납입과 만55세 수령조건 충족시에 세액공제를 받게 됩니다.연금저축과 연금보험의 경우 예금자보호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최대 5천만원까지 적용받게 됩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경제 /
예금·적금
23.06.19
0
0
미국이 세계최대의 소비국가인가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의 경우는 기축통화인 달러를 발행하는 국가로서 세계에 기축통화의 공급을 위해서 세수보다 추가적인 발행량이 많은 국가이다 보니 세계 최대의 소비 국가로서 자리잡게 되는 것입니다. 중국보다 미국의 내수 시장이 더 큰 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6.19
0
0
적금과 예금에 차이를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현재 은행 재직 중으로 해당 질문에 대해서 답변 드리도록 할게요적금은 일정 기간동안 개설한 통장에 '일정한 금액'을 입금이 가능한 금리가 높은 통장을 말하는 것으로서, 적금의 종류에는 내가 원할 때 마다 돈을 넣을 수 있는 '자유적금'과 매월 혹은 일정주기 마다 동일한 금액을 입금하는 '정기적금'이 있습니다. 이와 다르게 예금의 경우는 한 번 가입을 하게 되면 그 이후에 통장에 추가적인 자금을 입금할 수 없는 금리가 높은 통장입니다. 간단히 생각한다면 적금과 예금의 차이를 가르는 것은 개설한 후에 '추가로 입금이 가능한지'의 여부에서 달라지게 됩니다.적금의 장점은 작은 금액으로 시작할 수 있고 내가 돈이 생길 때마다 자유롭게 돈을 넣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만기에 받게 되는 이자는 '은행에 예치되었던 기간만큼의 이자'를 받는 것으로서, 실제 이자율보다 이자금액을 적게 받게 됩니다. 예금의 경우는 통상적으로 '목돈'을 예치할 때 많이 사용하게 되며 예금금리가 높은 반면에 자금이 생기더라도 추가적으로 돈을 입금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만약 현재 '작은 금액'으로부터 시작해서 조금씩 모아가실 예정이시라면 '적금'을 가입하시는 것이 좋으며, 한 번에 큰 돈을 예치하실 예정이시라면 '예금'을 가입하시는 것이 유리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경제 /
예금·적금
23.06.19
0
0
주택담보대출을 받고서도 사업자 대출이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현재 은행 재직 중으로 해당 질문에 대해서 답변 드리도록 할게요기존에 개인의 이름으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으신 경우라고 할지라도 사업자대출로 추가 대출이 가능하시며, 대출 진행시 주택의 담보가능액이 있는 경우 사업자금 용도로 추가설정후에 대출을 진행하게 됩니다.
경제 /
대출
23.06.19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