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퇴지금 운영방법을 알고싶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올해 상반기까지만 하더라도 퇴직연금 운용을 ETF 펀드가 굉장히 인기가 있었지만, 최근에 주식시장이 침체됨에 따라서 최근 퇴직연금 운용은 정기예금 위주의 안전 자산으로 몰리고 있는 추세입니다. 지금 시장이 좋지 않은 상황이라 예금쪽으로 운용을 추천드리나, 퇴직연금의 특성상 매달 일부씩 누적되는것을 감안할시 퍼센테이지로 예금과 EFT펀드나 주식비율을 일부씩 분산 투자하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04
0
0
실물 농산물 가격은 오르는데 주식 농산물 가격은 왜 안오르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농산물 가격이 오른다고 농산물 관련회사의 실적이 오르는것은 아닙니다. 실제 가격이 오르더라도 비용증가로 인해 이익의 증가보다 손해가 커지는 경우도 생길수 있습니다.무엇보다 주식은 기대감이나 실제실적이 뒷받침되야하는데 이러한 내용과는 상관관계가 적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04
0
0
금리가 오르면 어떤영향이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대출금리가 오르면 개인 뿐만 아니라 기업들의 부채에 대한 이자도 증가하게 됩니다. 가장 좋지 않은 영향으로는 기업들의 이자비용 부담의 증가는 곧 기업의 운영비 상승으로 이어지게 되고, 소비재가격 인상 혹은 고정비 축소를 생각하도록 만듭니다. 소비재가격의 상승은 인플레이션의 상승을 가져오게 되며, 기업의 고정비 축소에서는 가장 조정하기가 쉬운 인건비가 대상이 될수있어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수도 있습니다.
경제 /
대출
22.08.04
0
0
지금 미국 금리가 올라 가면서 강달러가 유지되는데 수출경쟁력은?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단시일적으로는 미국의 강달러로 인해 미국의 수출기업들은 환차손을 입을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원자재 매입가격으로 인한 고정비 인하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수 있어서 수출 측면과 미국내 인플레이션저하에는 도움이 됩니다. 다만 방금 이야기하신데로 강달러의 유지는 즉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것이기 때문에 경기침체의 우려가 있어 결국에는 인플레이션이 어느정도 잡힌후에는 금리인하의 기조로 갈수밖에 없을것이고 이는 즉 달러의 약세로 전환되는 형태로 이어질것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03
0
0
미국 금리인상이 국내 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간단하게 몇가지만 설명드릴게요(사실 미국의 기준금리는 우리나라 거의 전방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크게 보이는것만 말씀드릴게요)1.강제적인 한국 기준금리의 상승 압박-미국의 기준금리 상승은 곧 미국시장에 대한 매력도 상승으로 이어지고, 국내의 자본들이 더 높은 금리를 쫒아서 국내에 투자되고 있던 자본들(원화)을 달러로 환전하여 미국시장으로 이탈되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해서 국내시장의 매력도 상승을 위해 미국의 금리를 쫒아갈수 밖에 없는 강제적 압박을 받게됩니다.2.환율상승(원화가치하락)으로 인한 원자재가격상승-미국의 급속도로 빠른 금리인상을 쫒아가지 못해서 환율이 올랐습니다. 이에따라 국내기업들의 원자재 매입가격(달러로 결제)이 크게 상승하게 되었으며 이는 곧 소비재가격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기때문에 인플레이션도 가중될수 있습니다.3.금리상승으로 인한 가계 및 기업의 이자부담 증가-현재 우리나라는 그 어느때보다 가계부채와 기업부채가 높은 상황입니다. 이에따라 금리의 상승은 가계 및 기업의 이자부담 상승으로 이어지게 되며, 그 결과 개인의 이자부담상승은 소비지출 감소로 이어질수 있으며 이는 경기침체로 나타나고 기업이자부담의 증가는 변동비용의 증가로 인해 소비재 물품가격에 추가 반영되는 악순환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즉,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 모두 올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우리나라의 특성상 수출에 의존도가 높아 미국의 기준금리 상승은 여러가지 방면으로 악영향을 미치게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03
0
0
주식 질문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주식거래에서 사용하는 예수금이란 사전의미로는 '거래와 관련하여 임시로 보관하는 자금'을 뜻하는 단어이며, 주식을 구매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가지고 있는 돈이며, 증권사에서는 고객예탁금이라고도 부릅니다.주식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증권사 계좌가 필요하며, 그 계좌에 주식매매를 위한 금액을 입금해두어야 합니다. 그리고 주식을 구매하시면 주식을 매매하신 금액만큼 차감한 금액이 보관되어 있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주식을 매도하시게 되어도 이 예수금의 형태로 보관되게 되며, 주식매매를 한 예수금은 바로 출금이 되지 않으며(당일 매매한 예수금은 당일 출금 가능), 주식을 매도한 날 (D-DAY)로부터 2영업일(휴일인 경우 일수를 제외합니다) 후에 증권계좌에서 일반 은행계좌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03
0
0
외환 보유고가 낮아지고 있다는데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본적인 이유로는1.미국 기준금리의 상승 -미국의 기준금리가 상승함에 따라 한국보다 높은 금리를 주는 시장으로 자금이 이동하며, 그 자금은 달러로 예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달러에 대한 수요도 증가와 달러로 환전된 자금은 국외로 유출됩니다.(미국시장으로 이동)2.달러상승으로 인한 국내 기업의 원자재 매입시 지불대금의 증가-달러가치가 상승함에 따라 원자재를 거의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한국기업은 똑같은 양의 원자재를 매입하더라도 더 많은 금액의 달러로 지불해야 함에 따라 그 원천이 되는 국내의 달러가 해외에 더 많이 유출됨에 따라 이의 수급을 맞추기 위해 국가의 외환환율 방어를 위해서 사용하여 외환보유고가 감소하게 됩니다.외환보유고를 다시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대외무역수지 흑자 및 달러환율의 안정화가 필수요건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03
0
0
국내외 경제 전망, 환율 증가
안녕하세요. 류경태입니다.지금 시장의 달러수요 증가로 인하여 달러가치가 사승하며 환율이 오르고 있는데요. 그 원인으로는 크게 2가지를 들수 있는데요1.미국 기준금리의 상승- 미국의 금리가 상승하게되면서 한국의 기준금리보다 높다면 당연히 미국에 예치를 하는게 더 높은 이자율을 취할수 있기 때문에 원화를 달러로 바꾸려는 수요가 증가하게되고 이는 곧 달러가치의 증대(달러환율의 상승)로 이어지게 됩니다.2.국제정세의 불안정-현재 국제정세가 전쟁으로 많이 불안정되어 있는 상태인데요. 이런경우 전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국가의 통화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이어지게됩니다.(국가가 전쟁으로 폐허가 된다면 그나라의 화폐가치는 소실되는것과 마찬가지가 됩니다.)그래서 가장 안전하다고 인식되는 미국의 화폐 즉 달러에 대한 수요증가로 이어지게 되어 현재처럼 미국 달러의 환율이 상승하게 됩니다.좋은 하루되세요^^
경제 /
경제동향
22.08.03
0
0
기업이 상장준비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몇년정도 인가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는 IPO주관사를 선정하는 작업(6개월정도 소요) 회계작업(부실채권 및 허위재고자산 대손상각처리로 1년 6개월정도 작업)을 한후 상장 예비심사청구(3개월~6개월)심사승인후 청약기간을 걸친다면대략 3년정도가 소요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03
0
0
하이퍼 인플레이션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하이퍼인플레이션은 초인플레이션이라고도 하며, 국가의 통제상황을 벗어나 1년에 수백 % 이상으로 물가상승이 일어나는 경우를 지칭하는 개념입니다. 이러한 국가로는 최근에 짐바브웨가 있었으며, 정부나 중앙은행이 과도하게 통화량을 증대시킬 경우에 발생하게 됩니다. 하이퍼인플레이션의 발생은 물가상승으로 인한 거래비용을 급격하게 증가시켜 실물경제에 타격을 미치게 되며 그 국가의 화폐 가치는 제로에 수렴할 정도의 무가치성을 가지게 됩니다. 하지만 하이퍼인플레이션의 발생이 곧 소비감소로 이어진다는 개념은 아닙니다. 말 그래도 인플레이션이 증가하여 화폐가치의 상실을 의미하는 것이며 소비감소 (경기침체)와는 별개의 문제입니다.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 국가는 기준금리를 올려서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돈을 은행고 국가중앙은행으로 회수하고자 하는 것이고, 이러한 정책적 수단이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게 되면 글쓴이님이 말씀하신 초인플레이션 상태가 발생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 것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02
0
0
1954
1955
1956
1957
1958
1959
1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