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비트코인으로 시장에서 물건을 결제하는 것은 불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가상화폐는 가격이 안정화 되어 있는 것도 아니고 하루하루 가격 변동이 큽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결제 수단이 되기는 어렵습니다.소액으로 결제하는 경우도 있다지만 테슬라 자동차의 경우, 판매가가 비싼편인데 코인 결제로 테슬라 측에서 코인을 받았는데 가격이 급락하면 손실이 막심하겠지요. 화폐는 가격 안정화가 되어야 되는데 가상화폐는 현실적으로 그게 어려우니 힘들어 보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7
0
0
언젠가는 가상자산도 은행에서 받아주는 시대가 올까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네. 미래엔 어떻게 될지 예측할 수 없으나 가상화폐가 화폐를 대신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투기 자본으로 가상화폐의 가격이 너무 요동쳐서 화폐를 대체하기는 어렵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17
0
0
국가 경제에서 '자유재'란 정확히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경제학에서 말하는 자유재는 희소성이 없는 재화로서 존재량이 무한하여 돈을 지불하지 않고 사용자들이 원하는 만큼 소비할 수 있는 재화를 의미 합니다. 즉, 아무런 대가 없이 획득 할 수 있거나 소비가 가능한 재화입니다.그 예시로는 간단하게 사용자가 식당에 가면 돈의 지불 없이 물을 주는데 이 경우, 물을 자유재라고 할 수 있죠.
경제 /
경제정책
22.12.17
0
0
3위 코인 거래소 ftx가 왜 파산했나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FTX 거래소의 대부분의 자산이 자체 발행한 FTT라 가치 보장이 되지 않는 무한대로 찍어될 수 있는 자체 코인이자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를 우려한 바이낸스의 FTT 보유량 전량 매도가 파산의 시발점이 되었습니다.이외에도 막대한 고객의 자금을 정치 후원금에 사용하고 알라메다의 대규모의 부채를 숨겨서 관리, 부동산 매입하는 등 고객의 돈을 유용하였으며 회계 관리 또한 엉망이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7
0
0
달러의 강세와 약세는 누가 결정하나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달러의 강세와 약세는 환율과 연관이 있습니다.환율은 누가 얼마의 비율로 해라라고 해서 결정되는게 아닌 외환 시장에서의 각국 통화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 되는 것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7
0
0
연준은 긴축정책을 언제쯤 끝낼까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연준이 발표한 점도표 상으로는 23년까지 5.1% 고금리를 유지하고 24년부터 금리가 서서히 내려갑니다.긴축정책이 끝나는건 24년부터라고 할 수는 있지만 파월이 말했듯이 저건 예측일 뿐 경제 상황에 따라 언제든 바뀔 수 있다고 했으니장기간 물가가 내려가고 있다는 데이터가 있어야 될 것 같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17
0
0
주식과 코인의 그래프 분석 의미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식과 코인은 차트 분석이 기봅입니다. 가치투자를 하더라도 타점을 잡아야 되는데 어디가 저점이고 어디가 고점인지 무엇을 보고 판단이 가능할까요? 그 해답이 차트입니다.차트를 보아야 진입점과 청산점 분석이 가능한 것입니다. 고로 투자의 기본은 차트 분석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5
0
0
지속되는 금리인상에 대응하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 인상은 지속되고 있고 인플레이션도 잡히지 않으니 장이 너무나도 안좋습니다.현재는 가치투자를 하는 것보단 데이 매매를 하여 당일날 수익을 내고 빠져나오는 전략을 쓰는 것이 가장 현명하다고 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5
0
0
코인시장에서 스캠이라고 불리는 코인은 무슨 코인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스캠(SCAM) 신용사기라는 뜻으로 사기 코인을 말합니다.즉, 코인을 팔아 놓고 먹튀를 한다거나 거짓 정보로 공지해서 코인 가격을 펌핑시켜서 가격이 원상복귀 된다거나 이런 상황이 오면 통상 사람들은 스캠이라고 부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5
0
0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의 차이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절대적 빈곤은 기본적으로 의식주가 전혀 해결되지 않는 상황으로 생존이 위협받는 상황이 많습니다.즉,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의식주도 해결 못하는 대상을 가리킵니다.상대적 빈곤은 '소득이 중위소득 대비 50% 미만인 가구' 같은 식으로 사회의 통상적인 부에 대비하여 소득이 일정 수준 이상 떨어지는 대상을 가리킵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12.15
0
0
64
65
66
67
68
69
70
71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