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옛날 '닷컴버블'이 정확히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닷컴버블 하면 새롬기술이 생각이 납니다.닷컴버블은 IT버블로 1999년도에 IT 기업들의 주가 초강세 이후, 폭락한 사건을 말합니다. 미국에서 시작되어 우리나라 주식 시장에도영향을 미쳤지요.당시, 새롬기술이 1000원대에서 2000년에 20만8천원대까지 큰 상승이후, IT 버블이 터지며 폭락 했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0
0
0
경제 용어 중 풋백옵션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공모주 환매 청구권을 예시로 들어 보겠습니다. 환매 청구권은 풋백옵션으로 불리우는데요. 환매청구권이란 공모주가 상장 이후의 주가가 3개월 혹은 6개월 이내 하락하면 공모주의 90%를 환불 받을 수 있는 제도 입니다. 즉 공모주에 투자를 하고 환매청구권 행사가 가능하다면 하락 시, 인수사(증권사)에 환매가 가능합니다.다만 모든 공모주가 환매 청구권이 있는 것은 아니여서 이 부분은 잘 체크하셔야 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0
0
0
코인 리브랜딩,토큰스왑에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코인 리브랜딩은 코인 이름 변경과 함께 진행 하던 로드맵 변경 시, 이루어집니다. 시장에서는 호재로 발생하지요. 예를 들면 최근 급등했던 아이큐 코인도 기존 에브리피디아에서 리브랜딩 한 코인입니다.거버넌스 투표는 의제를 정해고 그 의제에 민주적으로 투표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 의제가 해당 코인의 호재와 연계된 것이라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겠지요.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0
0
0
알트코인 발행량과 가치신이의 관계를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코인의 발행량이 증가하면 코인의 가치는 하락합니다. 다만 이는 증가한 발행량이 유통량으로 풀린다는 조건입니다.발행량이 증가하여도 시장에 풀리지 않는 물량이라면 가치하락이 되지 않겠으나 그 반대의 조건이라면 가치가 하락, 즉시세 하락과 연결됩니다. 추가로 말씀하신 바와 같이 채굴량이 줄어들어 든다면 시장에 풀리는 물량이 적어지는 것이니 가치가 오르겠지만현재 코인이나 지수나 금리 인상으로 인해 시장이 좋지 않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0
0
0
금리 인상이 나라 경제 주는 타격이나 이익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금리 인상을 하면 경제에 타격이 있습니다.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말씀 하신 바와 같이 물가가 오르면 소비 심리도 줄어들고 이는 기업에 매출이 줄어드는 결과를 가져 오며금리 인상 시, 대출 금리도 오르고 예금 금리 또한 오르기 때문에 부동산 하락 및 주식 하락으로 연결됩니다.그럼 돈은 예금으로 많이 몰리겠지요. 시장에 돈이 안도니 경기침체도 올 것이고결국 경기 침체가 오는데도 불구하고 금리를 올리는 이유는 물가가 안정 되어야만 경제가 회복되고 안정화 될 수 있기 때문에 금리 인상을 하여 물가를 잡으려고 금리를 지속적으로 인상하는 것입니다.
경제 /
대출
22.12.10
0
0
요즘도 시장에서 백지수표가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는 가계 수표라고 부릅니다. 가계 수표에 금액을 미기입하면 그게 백지 수표라고 할 수 있지요.가계 수표는 아직도 쓰긴 하지만 거의 안씁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0
0
0
2002년쯤에 미국 경제가 붕괴된 사태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택 담보 대출의 확대, 미국 부동산 버블로부터 시작된 2007년에 발생한 미국에서 발생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말씀하시는 것으로 보입니다.2000년대 초 미국의 저금리 기조와 주택소유장려정책이 맞물려 부동산 수요와 가격이 급증 했습니다. 집을 담보로 돈을 빌린 뒤 팔아도 이익이 남을 정도가 돼 투기성이 짙어져 주택담보 대출에 사람이 몰렸습니다.더 많은 대출을 위한 자금 마련으로 은행은 대출자의 주택저당채권을 다시 금융회사에 팔았고 채권을 산 회사도 다시 이를 담보로 투자은행에 돈을 빌렸습니다. 투자은행은 이 채권들을 한데 묶어 신용상품 CDO(Collateralized Debt Obligation)를 발행 하였습니다.CDO의 수요가 폭발하자 은행은 저신용자에까지 대출을 발행 하였고 그러나 천정부지로 치솟는 집값을 잡고자 부시 행정부는 금리를 대폭 인상했고, 결국 상환 능력이 없는 서브프라임 대출자의 채무불이행이 터지면서 도미노처럼 무너지면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터졌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0
0
0
나스닥은 쭉상승세였다가 지금많이하락선을그리고 있는데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12월 9일 생산자 물가 지수가 예측치 대비 상회하여 하락 마감하였습니다.지금 지수 향방은 아래 위 모두 열려 있는 상황입니다. 그 이유는 차주에 FOMC 및 근원 소비자 물가 지수 발표가 있기 때문입니다.근원 소비자 물가 지수로 인플레이션이 둔화 되었는지 아니면 아직 시기 상조인지를 확인해 봐야 될것 같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0
0
0
한국과 미국시장 둘중에 투자하라면 어디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가 높을 때는 아무래도 은행예금에 일정기간 묶어 두는게 안전하고 좋을것인데요. 이미 ETF에 투자를 하고 있으니투자 관점에서 말씀 드리자면 국내 대비 미국 시장에 투자하는 것이 장기간으로 봤을 때, 이득도 크고 매력적입니다. 국내 시장은 기관과 외인 장난질이 너무 심해서요. 다만 아직 인플레이션이 둔화 되지 않아서 내년에도 지수가 빠질 수도 있습니다. 지속 투자를 하는 것이라면 조금씩 분할해서 장기간 투자 할 생각으로 하셔야 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0
0
0
우리나라 돈 만드는데 예산이 얼마나 들어가나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바와 같이 동전 및 지폐 만드는데 예산 소요가 됩니다만 이게 경제에 영향을 미칠만한 예산은 들어가지 않습니다.21년 기준 화폐를 찍어내는데 들어간 예산은 약 1200억원 정도 수준입니다.참조하세요
경제 /
경제정책
22.12.10
0
0
73
74
75
76
77
78
79
80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