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건강관리
학문
오존층 파괴 얘기가 갑자기 사라짐?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아니요 계속해서 파괴는 되고 있습니다. 오존이 파괴되면서 썬크림이 필수가 되어가는 것중 하나의 문제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13
0
0
온난화가 되어 빙하가 다 녹는 다면 현 육지의 몇 퍼센트나 줄어 드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만약 모든 빙하가 완전히 녹는다면, 육지의 면적이 줄어들 것이며 일부 해안 지역이 침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정확한 면적 변화를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국제기후변경위원회는 21세기 말에 해수면 상승이 약 26~82 센티미터 범위에서 발생할 수 있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육지의 일부가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지만, 정확한 퍼센트를 예측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빙하의 완전한 녹음은 시간이 많이 걸리는 과정이며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학문 /
화학
23.06.12
0
0
위성을 우주에 발사하면 위성이 우주 끝에 도달하는대 얼마나 걸리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결론은 위성이 우주의 끝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상대성 이론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우주 모델에서는 우주는 무한히 넓고 끝이 없다고 가정합니다. 따라서 위성은 우주의 끝에 도달하는 개념이 의미가 없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12
0
0
지구상에 가장많은개개체의 생물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개체를 가진 생물은 박테리아(세균)입니다. 박테리아는 미세한 크기로서 거의 모든 환경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바다, 토양, 공기, 인체 등 다양한 생태계에서 서식합니다. 박테리아는 단일 세포 생물체로서 번식이 빠르고, 대부분의 종은 매우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엄청난 수의 개체가 존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6.12
0
0
반도체의 수율이 의미하는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수율이라는 것은 모든 산업에서 중요한 내용입니다.예를들면 원재료를 100을 넣었는데 완제품이 100이 나오면 수율이 100%인거죠그런데 극단적으로 50 나오면 50%가 나옵니다. 수율이 결국 판매가격 경쟁력이 생기는겁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6.12
0
0
각국에서 하려는 해상도시는 정말 가능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가능합니다.현재 중국, 일본,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싱가포르 등 몇몇 국가에서 해상 도시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6.12
0
0
왜 물은 어디에서나 동일한 온도에서 끓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은 동일한 온도에서 끓지 않습니다.물이 끓기 위해서 일단 기압, 물속의 성분, 주변 온도 등이 있습니다. 산에서 먹는 라면이 물일 빨리 끓는 이유가 여깃습니다.
학문 /
화학
23.06.12
0
0
과학적으로 진화론이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금도 진화론은 과학적으로 활발히 논의되고 연구되는 주제입니다. 진화는 생물종이 환경에 적응하고 변화하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자연선택, 돌연변이, 유전적 다양성 등의 메커니즘을 통해 생물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진화합니다. 모든 생물은 공통 조상에서 분화되었으며, 환경과 자연선택은 종의 특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현대 생명과학의 핵심이며, 진화 이론은 생물학의 기초 개념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6.12
0
0
단순히 비가 0도 이하가 되면 눈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얼어요 다만 0도 까지 안가도 얼어요 얼음에 불순물이 많아 더 빨리얼기도 하는데종종 그 불순물 때문에 0도에서 안 얼수도 있는데 대부분 얼어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12
0
0
계란을 엄지와 검지로 수직으로 깨는 것은 왜 힘든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계란에 힘을 주기 위해서 검지와 엄지 사이의 일정한 거리가 필요한데 거리가 너무 멀어서 힘이 다 안들어 갑니다.두번째는 껍질중 가장 힘이 강한 곳이 끝과 끝입니다.
학문 /
물리
23.06.12
0
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