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건강관리
학문
소리들이 모여지게되면 가만히 있는 유리컵(잔)을 깰 수 있다던데 과학적으로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가능합니다.우선 소리도 진동 및 음파입니다. 파동이기 때문에 진동으로 인해 유리잔은 깨줄수 있습니다. 실재로 예능이지만 많은 프로그램에서 노래로 유리잔을 많이들 깼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5.29
0
0
현재 과학기술로 화성에서 살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합니다.우선 먼저 가장 먼저 화성의 온도를 해결해야 합니다. 화성에서 그 온도에 견딜수 있는 기계가 거의 없을겁니다.산소도 그중 하나지만 산소를 넣기 위한 기계를 넣는게 우선이기 때문이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5.29
0
0
지진 현상 중 액체화 현상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액체화 현상은 지진 파동이 토양 내부의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결과로 발생합니다. 흙이 물과 함께 적절한 비율로 혼합되어 있을 때, 지진이 발생하면 흙 입자들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하고 토양이 압축되어 액체와 비슷한 행동을 보입니다. 이는 주변 구조물의 안정성을 약화시킬 수 있으며, 건물의 기초나 지반 등의 구조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5.29
0
0
일반적으로 금은 순금이 아니면 변색한다고 들었는데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금과 은은 일반적으로 변색하지 않는 금속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금은 화학적으로 안정한 금속으로서, 대기 중의 산소, 수분, 공기 중의 화학 물질들과 상호 작용하여 변색되지 않습니다.그러나 순수하지 않은 금합금이나 금보다 낮은 순도의 금 소재는 다른 금속 또는 화학 물질과의 혼합물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금 소재가 환경에 노출되거나 반응하면 변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5.29
0
0
18K를 그저꼐 샀는데요. 사고나서 바로 착용하고 어제하고 오늘 검은 색같은게 묻던데,,,뭘까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금은방에가서 확인해 보는게 가장 정확할것 같습니다.금도 계속해서 같은 색이 아니라 변색이 될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바로 검은색으로 변색됬다고하니 합리적 의심은 갑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5.29
0
0
태양계에 지구 말고 다른 행성들이 사라지면 지구에도 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행성들은 서로의 중력에 의해 상호작용하며, 이는 우주의 체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다른 행성들이 사라지면 그들의 중력이 더 이상 지구에 작용하지 않으므로, 지구의 궤도와 운동 경로에 변화가 생길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5.29
0
0
석유가 화석연료가 아니고 지구 중심부에서 나오는 물질이라는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중심부에 내핵이나 외핵조차 추론일 뿐입니다. 지진파를 이용한 추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지구의 중심부에서 나오는 물질에 대한 주장은 현재까지는 과학적으로 증명된 사실이 아닙니다. 석유는 지구의 지하에서 형성되는 유기물의 분해와 압력, 온도 등의 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화석 연료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5.29
0
0
우주는 어떻게 그리고 왜 팽창하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에 대한 팽창은 하나의 가설과 이론일 뿐입니다.그중에서 빅뱅 이론의 경우는 현대 천문학에서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핵심적인 설명을 제공하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우주가 과거에는 매우 뜨거웠고, 밀도가 매우 높았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팽창하고 식물지, 별과 갈색 왜성, 은하, 그리고 거대한 구조물들이 형성되었다고 주장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5.29
0
0
추운 지역에서는 동물들은 섭식에 제한이 있을 텐데 어떻게 살아남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겨울 동안에는 대부분의 동물들이 양식이나 에너지 저장을 통해 생존합니다. 많은 동물들은 가을에 먹이를 모아 에너지를 저장하며, 추운 겨울 동안 이 저장된 에너지를 활용합니다.일부 동물들은 겨울 동안에는 몸의 기능을 저하시키거나 비활동 상태로 들어가는 것이 생존 전략입니다. 이를 토로라고 하는데, 이 동알들은 심장 박동 수를 낮추고 신진대사를 줄여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여 겨울을 견뎌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5.29
0
0
목성의 위성은 생명체가 있을 확률이 얼마나 높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선에서는 불가능 합니다.기본적으로 공기거 있어야지 생명체가 살수 있기 떄문입니다.다만 이것도 점점 이론상 가능해 지는 사례가 있는데 산소없이 비소로 생명을 유지하는 생명체를 연구하는 등과 같이 다양한 가능성이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5.29
0
0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