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건강관리
학문
투명망토가 과연 실제 실현가능기술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투명 망토는 주로 영화나 만화 등에서 상상 속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실제로 투명 망토를 개발하고 있는 연구자들도 있습니다.이러한 기술은 빛의 굴절을 이용하여 물체를 투과하도록 만드는 것으로, 현재까지는 일부 빛을 투과시키는 정도로 개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군사 및 경찰에서 은신 및 스텔스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습니다.하지만 현재까지는 아직 투명 망토를 완전히 개발하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여러 기술적인 문제들이 존재하며, 빛의 굴절을 이용하는 만큼 주변 환경이나 빛의 방향 등에 따라서 효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투명 망토의 실용화에는 아직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5.09
0
0
강물과 바다물의 어는점은 각각 몇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강물과 바다물의 어는점은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강물은 바다물보다 더 빨리 얼어붙을 수 있습니다. 이는 강물이 상대적으로 적은 염분과 높은 순수한 물의 비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순수한 물은 물의 밀도가 가장 높은 4°C에서 가장 밀도가 높으므로 4°C 이하로 온도가 내려가면 물이 더욱 밀도가 높아져서 빠르게 얼어붙을 수 있습니다.바다물은 상대적으로 염분이 많아서 강물보다는 얼리기가 어렵습니다. 바다물의 어는점은 염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지만, 보통 -1.8°C 정도입니다. 바다물은 물보다 열파열점이 높아서 어는점이 더 낮아지지 않습니다. 게다가 바다물은 움직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열을 발생시키고, 바닥에 있는 더 차가운 물이 위로 올라와 대체되면서 얼어붙는 것을 방지합니다.따라서, 바다물은 강물보다는 얼기가 어렵지만, 매우 낮은 온도에서는 얼어붙을 수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5.09
0
0
일정성분비의 법칙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일정성분비의 법칙(Law of Definite Proportions)은 화학에서 기본적인 법칙 중 하나입니다. 이 법칙은 같은 화합물을 구성하는 원소들의 질량비(또는 몰비)는 항상 일정하다는 것을 말합니다.
학문 /
물리
23.05.09
0
0
랩온어칩은 어떤 원리로 개발된 기술이고, 현재 어디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랩온어칩은 생명공학 분야에서 개발된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작은 칩 위에 다수의 생물학적 반응을 수행할 수 있는 미니어처 실험실을 만드는 것입니다.랩온어칩은 작은 공간 내에서 다수의 실험 조건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으며, 작은 시료 양으로도 높은 검출 민감도를 보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랩온어칩은 의학, 바이오 센서, 화학, 신약 발견, 식품 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예를 들어, 의학 분야에서는 랩온어칩을 이용하여 항암제의 효능을 평가하거나, 특정 약물의 효과를 분석하는 등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화학 분야에서는 화학 반응을 미리 실험해볼 수 있는 미니어처 화학 실험실로 사용되고 있습니다.이처럼 랩온어칩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향후에도 그 활용 분야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5.09
0
0
기체에 열을 가하면 부피가 증가한다는데요. 어떻게 측정 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기체의 부피를 측정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온도, 압력 및 양을 측정하여 수식을 사용하여 계산합니다. 가열된 기체의 부피를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일정한 부피를 가진 용기에 가열된 기체를 넣고, 용기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압력, 온도 및 기체의 양을 고려하여 부피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보통 이를 위해 가열된 기체를 담은 용기는 이상 기체 법칙을 따릅니다. 이상 기체 법칙은 압력, 부피, 온도, 그리고 몰 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입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부피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5.09
0
0
아폴로11호를 비롯해서 인류는 달에 몇 번을 갔었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아폴로 11호는 1969년에 발사되어 달에 착륙하여 인류가 처음으로 달에 발자국을 남겼습니다. 이후 1972년까지 총 6차례에 걸쳐 아폴로 미션을 통해 인류는 달에 착륙하거나 낙하산으로 내려가는 등 달에 다양한 활동을 했습니다. 이후로는 인류의 달 탐사는 중단되었습니다.아폴로 미션을 수행한 나라는 미국입니다. 달을 탐사한 미국 우주항공청(NASA)은 아폴로 미션을 통해 달 탐사에 성공하였습니다. 다른 나라에서도 달 탐사를 시도하고 있으나, 아직 달에 착륙한 나라는 미국 뿐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5.09
0
0
우리가 사는 곳에서 계절에 따라 낮과 밤의 길이가 달라지는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자전축과 공전 궤도 경사면의 각도가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 낮과 밤의 길이가 달라지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지구는 자전하면서 하루에 한 번 자전축 주위를 회전합니다. 이때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면서 지구의 자전축은 일정한 기울기를 유지합니다. 이 기울기를 기준으로 지구는 태양의 빛을 받는 각도가 달라지게 됩니다.계절이 바뀌면 자전축의 각도가 변하면서 지구의 특정 지역이 태양의 빛을 더 많이 받거나 적게 받게 됩니다. 이로 인해 한 지역에서는 낮이 길어지고 밤이 짧아지는 반면, 다른 지역에서는 낮이 짧아지고 밤이 길어지게 됩니다.예를 들어, 여름철에는 지구의 자전축이 태양과 수직에 가까워져서 북반구에서는 태양의 빛을 더 많이 받아서 낮이 길어지고, 밤이 짧아집니다. 반면 남반구에서는 태양의 빛을 덜 받아서 낮이 짧아지고, 밤이 길어집니다. 계절이 바뀌면 자전축의 기울기가 변하게 되어 이러한 현상이 반대로 나타나게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5.09
0
0
전자레인지는 언제 최초 개발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레인지는 20세기 초반에 무선 전신체의 연구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되었습니다. 1945년, 미국의 과학자 페리 스펜서는 전자광파 발생기 실험 중 우연히 손에 들고 있던 초콜릿이 녹았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를 기반으로 전자레인지가 탄생했습니다. 이후 1947년에 첫 상용 전자레인지가 미국에서 판매되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5.09
0
0
컵라면 용기는 스티로폼 비슷한 소재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컵라면 용기는 일반적으로 폴리스티렌(Styrene)이라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폴리스티렌 용기가 뜨거운 물과 접촉하여 간혹 물질이 녹아서 물에 섞일 수 있습니다. 이 물질은 환경호르몬을 유발하는 화학물질인 비스페놀-A (Bisphenol A)이 아니라, 폴리스티렌의 주요 성분인 스티렌 (Styrene)입니다.하지만, 라면을 먹을 때 한 번 먹는 정도로는 인체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입니다. 다만, 반복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안전을 위해 스티로폼 용기를 피하고, 유리나 스테인레스같은 대안적인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라면 용기나 뚜껑에 표시된 지시사항을 따르는 것도 중요합니다.
학문 /
화학공학
23.05.09
0
0
냉장고에 10원짜리 동전넣으면 냉장고 냄새가 없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냉장고에 10원짜리 동전을 넣으면 냄새가 없어진다는 이야기는 일종의 미신으로, 과학적으로 증명된 사실은 아닙니다. 동전의 소재나 크기에 따라 냉장고 냄새가 제거되는 것은 아니며, 냉장고의 내부 환경과 관련된 요소들이 냄새를 유발하거나 제거하는 것에 영향을 미칩니다.냉장고 내부에 냄새가 생기는 이유는 음식물이 썩거나 변질되어 생기는 가스나 미생물의 활동 등이 원인이 됩니다. 냉장고에 냄새 제거용 제품을 사용하거나 환기를 시켜주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입니다.따라서, 10원짜리 동전을 냉장고에 넣어서 냄새를 제거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대신, 냄새가 심한 음식이나 잔존물을 제거하고 냉장고를 청소하며, 냉장고 내부에 환기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학문 /
화학
23.05.09
0
0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