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스몸비가 최근에 생긴 신조어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스몸비는 스마트폰 화면을 들여다보느라 길거리에서 고개를 숙이고 걷는 사람을 넋 빠진 시체 걸음걸이에 빗대어 일컫는 말입니다.스마트 폰과 좀비의 합성어 입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더그 라이먼 감독의 대표작이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카오스워킹, 더 월, 아메리칸 메이드, 에버레스트, 점퍼, 페어게임, 엣지 오브 투모로우, 미스터&미세스 스미스 등이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02.14
0
0
옛날 사람들이 곤장을 때릴때 왜 물을 뿌려서 때렸던걸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물을 묻히면 더 아프기 때문입니다.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물을 뿌리는데, 이는 물을 뿌리면 맞는 면적이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한 중 일 나라의 수저의 모양이 틀린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은 큰 접시에 담긴 음식을 공유해 먹는 문화가 발달하여 흔히 중식당에서 볼수있는 회전판이 달린 식탁을 보면 이해가 쉽습니다.반대편에 위치한 음식을 가져와 먹으려면 젓가락이 길수록 유리합니다. 특히 기름진 요리가 많아 잘못하면 다칠수도 있어 중국의 젓가락은 자연스럽게 길어지게 되었습니다.중국은 국을 밥과 함께 먹는 문화가 아니기때문에 식탁에 숟가락을 잘 올리지 않았고,식후에 차를 마셨습니다.한국의 젓가락은 금속을 이용해 젓가락을 만든것이 특징이며, 중국과 다른점은 숟가락을 사용한다는 점으로 숟가락으로 국물과 밥을 먹고 젓가락은 반찬만 집어먹는데 사용했습니다.우리나라 밥상은 중국의 식탁처럼 크지 않다보니 젓가락이 아주 길 필요는 없었지만 반대로 반찬을 집어먹어야했기때문에 너무 짧아도 안되어 중국의 젓가락보다는 짧고 일본의 젓가락보다는 긴 모양입니다.일본은 개개인에게 상을 따로 차리는 문화가 존재하여 젓가락이 길 필요가 없었습니다. 지리적 특성상 생선을 자주 먹어 생선가시를 잘 발라낼수 있도록 끝 부분이 점점 뾰족해졌다고 하며, 그릇을 들고 먹는 문화로 숟가락이 따로 필요가 없었습니다.
학문 /
미술
23.02.14
0
0
고구려가 망하고 발해가 세워졌습니다. 이 발해는 왜 망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발해의 멸망은 아직도 의문입니다.당시의 상황으로 보면 발해 내부의 종족 갈등이 원인이되어 힘없이 무너졌다고 할수 있으며 9세기 후반 이후 지배층인 고구려인과 피지배층인 말갈족 사이에 내부 분열이 생기면서 국력이 급속히 약화되어 서쪽에서 성장하고있떤 거란족에게 무장해제 되었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인도에서 소를 신성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도인들 거의 힌두교를 믿고있으며 이 종교는 소를 숭상합니다.힌두교에서 소를 잡어먹지 않는 역사의 기원은 인도는 한발과 장마가 번갈아 나타나는 지역으로 한발이 오면 먹을 것이 없어 소를 잡아먹다보니 비가 와서 밭갈이할때 인간으로서는 그 넓은 평야의 밭을 갈아서 농사를 지을수 없고 나무가 없는 들판에서 연료를 구할수가 없어 당시 소가 없으면 삶이 힘들었습니다.이에 소는 경운기로 사용하고 소의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고 소젖으로 버터를 만들어 많은 인민들이 목숨을 부지할수 있어 그것이 소 숭배의 기원이 됩니다.그래서 특히 암소를 신성시하여 보호하는 관행은 힌두교에서 빼놓을수 없는 중요하고도 독특한 모습입니다.
학문 /
미술
23.02.14
0
0
조선시대의 연분 9등법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연분9등법은 조선시대 세종 때 실시한 조세 제도로 조세는 토지세 라고 하여 토지를 가진 농민이 국가에 내는 세금입니다.연분9등법은 토지 1결당 풍흉에 따라 최저 4두에서 최고 20두를 납부하는 조세제도이며 풍흉의 정도에따라 9급등급로 나누어 세금을 냈습니다.토지 세금을 납부하되 비옥의 정도는 무시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광화문 광장을 육조거리라 명한 것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395년 정도전이 태조의 명을 받아 한양이라는 도시를 만들며, 조선왕조의 정궁인 경복궁 앞에 관아를 배치하고 큰 길을 낸 것이 현 광화문광장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육조거리입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진화생물학자 리처드도킨스가 만든 밈(Meme)의 정확한 뜻은?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밈은 인간의 유전자와 같이 번식하면서 세대를 이어 전해져오는 문화구성 요소를 뜻합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밀본 스님이 사용하신 육환장의 6개의 고리는 어떤 의미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큰 스님들이 들고 다니는 지팡이를 육환장이라 하며 육환장 제일 윗 부분에 쇠고리가 달려있습니다.이는 살생을 피하기 위해서입니다.쇠고리를 부딪혀 울리는 그 소리를 감지하고 길바닥에 있는 개미, 개구리 등 벌레들이 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것입니다.
학문 /
미술
23.02.14
0
0
1783
1784
1785
1786
1787
1788
1789
1790
1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