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휴브리스 증후군에 빠진 우리나라의 지도자들은 누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휴브리스 증후군에 빠진 대표적인 인물로는 현재 전쟁을 일으킨 러시아 푸틴 대통령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습니다, 읍니다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인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표준어 규정 전에는 -읍니다, -습니다를 함께 사용했으나 1988년 표준어 규정이 개정되면서 -습니다 가 채택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왜 살아있는 사람에겐 절을 1번하고 죽은분들께는 2번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예로부터 세배나 제사,차례를 지낼때 살아있는 어른들에게 한번, 돌아가신 분에게 두번했는데, 돌아가신 분들에게 살아있는 분 보다 한번의 절을 더 하는 것은 돌아가신 분들에게 더 많은 예를 표하고자 함입니다.또, 살아있는 삶은 양수로 쳐 홀수를 취하고, 죽음은 음수로 짝수를 취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제주도에 돌하루방이 유명한데 어떻게 유래된걸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돌하르방은 제주어로 표준어로 하면 돌 할아버지 입니다.이 명칭은 근대에 나왔고 그 전에는 우석목으로 불렀습니다.조선시대의 기록에 옹중석이라는 단어로 지칭한 것으로 보입니다.돌하르방은 고려시대 몽골제국의 몽골문화가 들어오면서 생긴것으로 보며, 예로부터 제주도에는 방사탑이있었는데, 방사탑은 마을의 재난을 막아달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방사탑과 돌하르방은 형태는 다르지만 같은 뜻을 내포하고 있다고 보며 돌하르방도 방사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고을 안에 몸쓸병이 도는 것을 막고 전란이 일어나거나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세운 것이라 봅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의자왕은 진짜 3천궁녀를 거느렸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의자왕은 641년 즉위하여 적극적인 정복 전쟁을 벌인 군주로 군림합니다.3천궁녀를 들였다는 루머는 사실과는 거리가 먼것으로 봅니다.예로부터 평가가 심히 엇갈렸던 군주로 재위 중반기까지만 해도 숙적인 신라를 몰아붙이며 무왕의 뒤를 이어 백제의 마지막 중흥기를 이끌었으나 재위 15년에 접어들어서 주색을 탐하는 암군으로 전락하여 백제를 망하게 하였다는 오명을 쓰니 3천 궁녀라는 것도 의자왕의 업적을 곡해하는 것으로 봅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할렐루야는 어디서 파생된 단어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할렐루야는 그리스도교에서 하느님을 찬양하라는 뜻으로 나타냅니다.히브리어로 찬양을 뜻하는 할렐 에 명령형을 뜻하는 -u가 붙어 할렐루=찬양하라 가 됩니다.
학문 /
음악
23.02.14
0
0
체스는 어느나라에서 시작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체스는 6세기 혹은 그 이전에도 인도의 고대 장기 차투랑가를 체스 및 동양장기의 원조로 봅니다.차투랑가 단계에서 고대 체스는 동양으로 중국의 샹치, 한국의 장기, 등으로 전파되었습니다.인도가 본고장으로 인정받긴 하지만 여러 나라에서 체스의 기원에 대한 설화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이완용은 왜 친일파가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완용은 미국에서 1888년말부터 1890년 10월까지 주미대리공사로 활동하는데 이때 주미공사관 서기관으로 일했던 알렌과 친해지며 이완용의 조력자가 됩니다.19세기 말 조선과 미국을 본 이완용은 충격을 받고, 미국을 무조건 배워야 한다, 지금의 조선은 후천적이라는 것을 깨닫습니다.차관 도입의 실패와 조선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확산으로 주미공사관의 활동도 크게 위축되었고 일본의 대표적인 낭인 단체인 흑룡회 간사를 지냈던 쿠즈 요시히사는 이완용의 주미대리공사 시절을 기록하는데 내용은 어느 미국인이 이완용에게 한국인은 돼지만도 못한 열등 민족이라는 말을 했을 때 이완용은 자극받아 세계 일등 민족이라는 미국을 연구, 시찰하였다. 미국 원주민인 인디언의 특수 부락도 가고, 인도, 멕시코, 폴란드 , 유대인까지 연구했다. 결과 한국 민족은 세계에서 가장 열등한 민족이라는 결론을 내렸다.이 기록은 한국 침략의 첨병 역할을 했던 일본 낭인이 한국의 대표적인 양반 관료였던 이완용의 말을 빌려 한국민족이 세계에서 가장 열등하다는 것을 한국인 스스로 인정했고, 문명국 일본에게 나라를 넘길 결심을 했다는 식으로 적어 놓은 글 입니다.그러나 이 기록에서 이완용이 받았을 문화적 충격과 자신에 대한 회의를 짐작할수있습니다.또, 을사늑약은 강압적인 분위기에서 이어졌는데 고종은 이토 히로부미와 만나지 않고 대신들이 이토와 마주합니다.이때 이완용은 일본이 내세운 조건에 끌려다녔고 후 일본이 고종을 왕의 자리에서 끌어내리기로 결정했을 때 능동적으로 행하며 이때부터 매국노가 되어갔습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십자군 전쟁이 일어난 이유를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9세기 중엽부터 이슬람교도들의 침략이 시작되었고 아프리카 북쪽 위치한 튀니지를 근거로 하여 지중해 여러 섬들을 습격하게 됩니다.성 베드로 성당과 모테카시노의 수도원 등 유서깊은 대사원도 불에 타면서 십자군전쟁 원인의 씨앗이 되었습니다.중세 유럽에서는 가톨릭이 번성하며 성지순례하는 사람들이 늘었고 셀주크투르크족에 의해 이슬람이 팔레스타인 지방을 장악하고 이로 성지순례를 방해받기 시작합니다.비잔틴제국이 공격을 했지만 대패했고 우르바노2세에게 원조를 요청합니다.이에 교황은 동방의 성지를 회복하기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고 하며 유럽 전체의 세력을 규합해 십자군 운동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즉, 십자군 전쟁은 중세유럽사회 봉건제도와 가톨릭 교회를 기반으로 안정을 이루며, 그동안 쌓아온 힘을 내부에서 싸움에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 방출하기 위한 수단이었습니다.요약하면, 성지에 대한 회복과 함께 인구증가로 인한 대외팽창, 기독교세력의 확대를 십자군전쟁 원인으로 볼수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1900년 대에 국채보상운동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07년 2월 대구에서 발단된 주권수호운동으로 서상돈 등의 제안으로 일본에서 도입한 차권 1300만원을 갚아 주권을 회복하고자 한 운동입니다.이 단체의 운동은 국채보상을 위한 계몽적 활동과 직접 모금 운동을 하는 실천적 활동으로 나뉩니다.운동은 문자 그대로 각계각층이 참여하고 고종도 단연의 뜻을 밝히고 이에 따라 고급 관료들도 한때 소극적이나마 모금 운동에 참여했고 운동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은 민족 자본가와 지식인층이었습니다.상인들은 일본 차관과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당사자들로 인천, 부산, 원산, 평양 등지에서 상업회의소 등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지식인들은 각종 단체, 학회, 학교, 언론기관 등을 중심으로 활동에 참여했고 유림과 전, 현직 하급관리들도 각 지방에서 상민층과 함께 참여했습니다.이 운동에서 특기할 만한 것은 많은 부녀층이 참여하여 각종 패물을 의연소로 보내온 점입니다.그리고 노동자, 인력거꾼, 기생, 백정 등 하층민까지도 적극 참여하여 범국민적 운동으로 전개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1783
1784
1785
1786
1787
1788
1789
1790
1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