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강원도에서도 파프리카 재배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강원도 철원은 파프리카 주산지 중 한곳으로 철원은 일교차가 커서 파프리카 과육이 단단하고 수분도 많아 생식으로 먹기 좋다는 평가를 받습니다.철원에 파프리카를 처음 심고 양액재배 시스템을 철원에 도입한 신현찬 대표를 중심으로 파프리카 재배 매뉴얼이 정착되면서 철원이 우리나라 여름 파프리카의 주산단지로 성장했습니다.
학문 /
미술
23.02.14
0
0
. 윤달은 왜 2월 29일로 정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원전 700년 전 로마에서는 1년을 355일 총 10개월로 지정했습니다.그러나 355일로 지정한 1년은 절기와 맞지 않아 농사에 큰 지장을 주었고 기원전 45년 율리우스 카이사르 황제가 1년을 365.25일로 바꾸게 됩니다.로마인들은 홀수를 길하다고 믿어 365일을 12개월로 나눌때 홀수 달은 31일, 짝수달은 30일로 나누었습니다.사실 율리우스 카이사르 황제가 지정한 1년은 약 366일이 되었고 이때 2월의 날짜를 하루 빼 2월 29일로 지정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평창 올림픽 반달곰 마스코트외?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대회와 패럴림픽대회의 공식 마스코트가 백호, 반달 가슴곰으로 확정되었습니다.이름은 수호랑, 반다비 입니다.이 마스코트는 감동과 환호, 열정과 사랑 등 다양한 감정표현을 담은 여러가지 형태의 소통형 마스코트로 제작되겄고, 이는 캐릭터 활용해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는 한국 현대문화의 독특한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것입니다.백호는 수호자, 반달곰은 용기를 상징하면서 한민족의 다양한 문화예술에 큰 영향을 미친 만큼 우리 민족과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친숙한 동물로수호랑은 한국의 대표 상징 동물인 호랑이를 소재로 평창올림픽과 올림픽 정신인 세계평화를 보호한다는 의미와 호랑이의 호 를 접목한 호랑이 , 강원 정선아리랑을 상징하는 랑 이 결합되었습니다.반다비는 한국과 강원도의 대표 동물인 반달가슴곰의 의지와 인내를 뜻하고 반달 과 대회를 기념하는 비 가 결합되어 이름 지어졌습니다곰은 우리나라 건국신화에 등장하여 한국인에게는 매우 친근한 동물로 곰은 한국인에게 결단력있고 믿음직스럽고 따뜻하고 넓은 마음을 가진 이미지를 지니고 있으며 패럴림픽 정신과 부합합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중국 광군제는 어떤 날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에서 11월11일을 가리키는 말로 독신절 이라고도 합니다.광군은 중국어로 홀아비나 독신남, 애인이 없는 사람을 뜻하는 말로 1 자의 모습이 외롭게 서있는 사람의 모습과 비슷하다고 해서 솔로를 챙겨주는 문화가 확산되었습니다.혼자를 의미하는 1 이 두개가 겹친 1월1일을 소 광군제, 세개인 1월 11일 , 11월1은 중광군제, 4개가 겹친 11월11일은 대광군제라 부르며 이날은 젊은 층의 소개팅과 파티, 선물 교환 등이 주요 이슈를 이룹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비잔틴 문명의 건축 양식에 대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비잔틴 건물은 사라센 문화의 영향을 받았고, 도움 및 펜덴티브 도움 아케이드 구법이 발달하였습니다.강렬한 색채의 평면장식을 주로 하고 조각, 몰딩 등의 입체적 장식은 적었으며 스테인드 글라스는 비잔틴 건축에서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학문 /
미술
23.02.14
0
0
조향사가 치료사는 아닌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향사는 제품에 향기를 부여하는 향료를 개발하는 사람입니다.화장품, 향수, 과자, 담배, 치약 등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여러가지 제품을 개발할때 아예 양기가 없는 제품에 향기를 부여하거나 제품 본연의 향기를 강화, 제품자체의 악취를 가리는 제품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향료를 첨가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향료를 개발하는 직업을 조향사라고 합니다.
학문 /
음악
23.02.14
0
0
엠바고 유래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엠바고는 본래 스페인어 엠바고 에서 왔다고 하며 원래는 선박용어 입니다.전통적인 국제법 하에서는 평시에 복구의 수단으로 실행되는 외국선박에 대한 항내 억류를 의미하였는데 1930년대 이후 특정국가와의 화물의 수출입과 자본거래, 무역거래의 제한 등을 포함한 일반적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본 뜻은 특정국과의 수출입 및 자본거래 등을 금지한다는 일방적인 조치 입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이상향을 의미하는 제너두의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나두는 원나라의 황제 쿠빌라이 칸이 몽골 고원 남부에서 지은 여름 수도의 이름인 상도를 영미권에서 불렀던 이름으로 수도인 베이징은 여름에 매우 더워 황제는 북쪽에 있어서 시원한 상도에 머무르며 통치했다고 합니다.여기에서 유래하여 유럽인들이 그리던 동양적 낙원 또는 이상향을 지칭하는 미칭의 하나도 쓰입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해운대 지명 최치원선생이 지었다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해운대는 최치원이 머물렀다는데서 유래한 지명으로 알려져있습니다.최치원의 자는 고운, 해운, 해부였습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신라때 최이원이 일찍이 대를 쌓고 놀았다고 한다라는 기록이 있어, 해운이 쌓은 대라 하여 붙은 이름임을 알수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02.14
0
0
증후군은 증상을 원인이 되는결과로 증상들을 묶어부르는 분류?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증후군은 어떤 질병이 2가지 이상의 증후를 나타내는 특징이 있을때,이런 몇가지 증후의 모임을 증후군이라 합니다.질병의 증상이 단일하지 않고 그 원인이 불분명할 때 쓰이는 용어 입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1783
1784
1785
1786
1787
1788
1789
1790
1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