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돈모으기가 싶지 않아요ㅠㅠ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돈을 하나의 통장에 몰아서 관리하시면 본인도 모르게 금방 사용해버릴 가능성이 높습니다.따라서 은행의 적금상품을 가입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적금은 매달 일정금액을 강제적으로 저축할 수 있고 약정한 기간이 지나면 이자도 챙겨주는 목돈을 모으기에 매우 적합한 상품입니다.특히나 요즘과 같은 금리 인상기에는 더욱이 적금 상품이 목돈 만들기에 좋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2.08.22
0
0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을 매수했는데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단 관리종목으로 지정이 되면 상폐가 되는 요건이 단순하고 많아지게 됩니다.예를 들어 일반 종목은 공시 실수나 감사 요건 등 연속으로 실수해야 상폐요건이라면 관리종목 한 번만 실수하거나누락하여도 상폐요건이 충족됩니다.하지만 실제로 상폐하기 까지는 거래소에서 개선기간이나 변론 등 다양한 기회를 부여하기 때문에오랜 시간이 걸리게 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22
0
0
연일 환율 강세 앞으로 전망은??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최근의 환율 상승은 다음달에 있을 한미간 금리 역전현상에 대한 선반영으로 보입니다.우리나라는 이번주 금통위에서 25bp 인상을 예고 하고 있고 미국은 다음달 fomc 회의에서 빅스텝을 예고하고있어서 예상대로 흘러간다면 필연적으로 한미간 금리가 역전되게 됩니다.이렇게 되면 외국 자본의 유출이 가속화 될 것이고, 환율은 더욱 상승하게 될 것입니다.환율이 안정화가 되는 시점은 미국이 금리인상을 멈추는 때로 보이고 그 시기는 내년 초쯤으로 예상합니다.당분간 1,300원대의 환율이 뉴노멀인 시대로 갈 수도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22
0
0
금투자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투자도 주식투자와 같이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는 투자 상품중 하나입니다.다만 그 변동성이 주식보다는 적고 경제위기에 강한 투자로 인식될 뿐입니다.금을 투자하신다면 현물에 투자하기 보다는 간접적으로 투자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etf상품 중에 금의 시세와 연동된 상품이 있습니다.마지막으로 현재는 달러가 강세이고 앞으로 금리인상기에는 꾸준히 강달러 기조가 유지될 것입니다.달러가 강세면 현물은 상대적으로 하락하게 되어 있습니다. 당장 금 투자를 고민하신다면 경제상황을다시 한 번 짚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22
0
0
국내 주식에 외국인 투자자가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단기적으로는 주식시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투자자금이 감소한다는 것은 매도 후 시장을떠난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시장에 안좋은 뉴스입니다.하지만 줄어든 이유를 보면 한국의 리스크가 있어서 줄인 것이 아니고 최근 환율의 급등으로 인해투자금을 달러로 환전하여 빠져나간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환율이 제자리로 돌아온다면,다시 외국인들의 투자가 이루어지고 증시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22
0
0
금리변동 관련해서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의 금리를 올리다고 무조건 우리도 따라 올려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다만 한미간 금리가 역전되면 달러의 유출이 가속화 되어 환율이 오르게 되고,자산시장의 투자자금이 국외로 유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그 이유는 미국이 한국보다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한국으로의 자금을 유인시키려면최소 미국보다는 높은 기준금리를 보유해야 가능합니다.따라서 미국이 금리를 올릴 때 우리나라도 그에 맞는 수준으로 금리를 올려 경제위기를 예방하려는의도가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22
0
0
환율이 계속 오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경제가 불안정해지면 안전자산으로 자금이 몰리게 되는데 달러는 대표적인 안전자산 중에 하나 입니다.또한 미연준의 지속적인 금리인상 스탠스 역시 변함이 없기 때문에 달러의 가치는 앞으로도 상승할 가능성이매우 높습니다.환율이 지금보다 더 올라간다면 외국인 투자자금이 국외로 빠져 나갈 것이고 동시에 외화보유액도 줄어국내 외환시장의 불안정성을 가져올 가능성이 높습니다.만약 다음달에 미연준이 빅스텝을 밟아 한미간 금리가 역전된다면 한 차례 더 큰폭으로 환율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22
0
0
2월에 2.5프로로 1년 거치식예금 묶어놓은것있는데요 지금 3.5프로라면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2월이 만기라고 하시면 일단 두시는게 좋습니다. 지금부터 3.5% 상품을 새로 가입한다고 해도기존까지 부었던 금액의 기회비용을 소진하게 됨으로 기다리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추가적으로 지금은 금리 인상기에 있기 때문에 향후 내년 2월에 더욱 높은 금리의 상품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지금과 같은 시기에는 최대한 만기가 짧은 상품을 여러개 가입하시는 것이 이득이 됨을 말씀드립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22
0
0
가격 탄성력이라는게 와닿지가 않아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가격이 탄력적이라는 것은 쉽게 시세를 반영하여 빠르게 가격이 변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휘발유 가격이 탄력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매일매일 시세에 따라 가격표가 변하게 됩니다.하지만 편의점에 있는 음료수나 과자의 가격을 보면 쉽게 바뀌지 않고 1년에 1번 정도 변합니다.물가를 바로바로 반영하지는 못하는 비탄력적인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08.22
0
0
러ㆍ우크 전쟁이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ᆢ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원자재 공급측면에서의 문제를 일으켰고, 우리나라는 가스, 휘발유 등의 급등으로물가상승을 체감하고 있습니다.중국경제가 침체되면 대중국 수출 위주인 기업들의 위기가 찾아옵니다.수출과 수입 경제 모두에 위기가 찾아오면서 우리나라의 경제가 받을 충격은 2008년 금융위기 급으로파급력이 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나 금리도 인상하는 중으로 소비와 투자는 점점 줄어들고 고물가 경기침체인 스테그플레이션을 대비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22
0
0
3241
3242
3243
3244
3245
3246
3247
3248
3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