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이 일어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경기의 순환에 의해 자연스럽게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하지만 문제가 되는 것이 양쪽 모두 급격하게 수치가 변동되게 되면 부작용이 일어납니다.특히나 요즘 같은 급격한 인플레이션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코로나 시기에 시중에유통된 많은 돈에 의해 발생하여 평소의 인플레이션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21
0
0
현재 가상자산 전체의 금액이 얼마정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가상자산 전체의 시가총액은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대표적인 가상자산인비트코인의 경위 약 550조 규모 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21
0
0
경제의 흐름을 잘 못 읽는거같아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경제의 흐름은 생각보다 빠르게 급변하기 때문에 책도 좋지만 데일리로 뉴스를 찾아보시는 것이큰 도움이 되어 추천드리는 방안 입니다.경제 뉴스를 찾아보면 모르는 용어가 많이 나오실 겁니다. 용어를 따로 정리하고, 매일 한 개 이상의뉴스를 정리하고 공부하신다면 그 누구보다 현재의 경제 흐름을 짚으실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21
0
0
스태그플레이션이 어떤 개념인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보통 물가가 상승하면 경기가 호황기에 진입했다고 보고 금리를 인상하여 물가를 조절합니다.하지만 스테그플레이션은 물가가 상승하는중에 경기불황이 동시에 찾아오는 현상을 말합니다.이 현상을 극복하기가 힘든 것이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면 경기 침체가 더욱 가속되고금리를 낮추면 물가를 잡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한 번 스테그플레이션에 진입하면 어려운 경기침체가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08.21
0
0
금리인상과 건설업의 상관관계~?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 인상기에는 투자와 소비가 줄어들기 때문에 부동산 경기도 자연스레 침체기에 빠지게 됩니다.하지만 건설사의 경우 투자가 줄어든다고 하여 건설을 줄일 수도 없습니다.건설 수주의 싸이클은 상대적으로 장기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금리가 인하되는 시기의 타이밍을노려서 진입하기도 힘듭니다.따라서 현재 금리 인상기에 부동산이 어려울 것을 알지만 건설사의 최선의 판단은 보수적인 수주를통해서 장기적인 관점으로 경영을 기획할 것으로 예상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2.08.21
0
0
예금&투자 어는것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 인상기에는 안정적인 투자처로 은행의 예적금 만한 투자가 없습니다.특히나 요즘은 경기 상황도 불안정하기 때문에 위험을 담보로 하는 투자 보다는 안정적이고 확실한 금리를 보장하는 예적금으로 돈을 저축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21
0
0
신용점수 상승에 도움되는 체크카드 개수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신용점수의 평가 기준은 각 CB사 별로 다르고 영업 기밀이기 때문에 자세하게 알 수는 없습니다.다만 신용카드의 갯수도 신용점수에 상관이 없는 것처럼 체크카드의 갯수도 큰 의미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2.08.21
0
0
환율이 매일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환율의 변동은 기본적으로 수요와 공급에 따라 움직입니다.미국 금리의 급격한 인상으로 달러의 수요가 높아져서 환율이 상승하게 되었습니다.요즘과 같이 원화가치가 달러대비 크게 떨어지게 되면 수입물가의 상승으로 국내 물가지수에 악영향을 미치고, 자산시장에서 외국자본이 유출되면서 투자자들이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장점은 수출 경기에는 호재로 작용함으로 장기적으로 국내 수출기업의 실적이 좋아질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21
0
0
8월 금통위 금리 인상 전망과 9월 FOMC 한미 금리역전 전망?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8월에 25BP 인상을 하게 되면 9월에 필연적으로 한미간 금리역전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국내 금통위는 한미간 금리 역전으로 인한 외환시장의 불안정 보다 국내의 경기침체를 좀 더걱정하는듯한 느낌을 많이 받습니다.다른 의견으로는 이미 금리가 높아진 상황에서의 금리 역전은 전보다 큰영향을 안준다고 생각을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환율이 1,300원을 훌쩍 넘은 상황에서 더 이상의 상승이나 외화유출은크게 없다는 의도로 25BP인상을 예고한 것으로 풀이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21
0
0
기준금리. 예적금리도 오르는데 청약통장 금리는 왜 안오르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소비자들이 쉽게 깰 수 없는 상품이기 때문에 금리인상에 보수적일 수 밖에 없는 상품입니다.많은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으며 금액도 크기 때문에 은행의 수익률을 생각하면 지금의 금리에서크게 변동될 여지는 적어 보입니다.추가적으로 청약상품의 금리는 정부쪽에서 힘을 실어줘야 변동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21
0
0
3241
3242
3243
3244
3245
3246
3247
3248
3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