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현재 경제상황에서 금리를 올리는게 좋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현재 경제상황이 완전히 회복된 것은 아니지만 물가를 잡기 위해 어쩔 수 없이빠르게 금리를 인상하고 있습니다.코로나시기에 저금리로 시중에 유통된 돈을 회수해야 물가를 잡을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경제가 둔화될 것을 각오하고 금리를 인상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현재 글로벌 경기에서도 경제 활성화 보다 물가에 비중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조를 한국도같이 따라가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02
0
0
적금하기에 시기가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이미 목돈을 보유하고 계시다면 적금 보다는 예금을 추천드립니다.표면 금리상으로는 적금이 높아 보이지만 받는 금리를 생각하시면 예금이 효율적입니다.반대로 목돈을 꾸준히 모아가야 한다면 적금이 더 좋습니다.예적금을 가입하는 시기는 지금도 적절하다고 판단됩니다.고배당 주식 투자는 손실을 볼 수도 있는 투자로 예적금과 같은 성격으로 분류할 수는 없습니다.비슷한 이율이라면 예적금이 좀 더 합리적인 투자 방법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02
0
0
확실한 경제개념을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경제 관련 용어를 꼭 몇 개만 알고 있다고 해서 도움이 되진 않습니다.제가 추천드리는 방법은 경제 뉴스를 매일 2~3개씩 읽고 모르는 용어를 따로 정리하시는 방법이 좀 더 효율적일 것이라 생각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08.02
0
0
스테그플레이션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보통 물가가 오르고 있다는 것은 경기가 활성화 되는 과정이라고 생각해서실업률이 줄고 경기가 과열 국면으로 간다고 봅니다.하지만 스테그플레이션은 물가도 오르고 실업률도 같이 오르는 기이한 현상을 말합니다.경제적으로는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올리게 되는데 금리를 올리면 경기가 둔화됩니다.그렇게 되면 높았던 실업률이 더 가파르게 상승하게 되고 경제가 힘들어지게 됩니다.따라서 스테그플레이션이 오게 된다면 이를 해결할 뾰족한 묘수가 없다는 점이 문제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08.02
0
0
기준금리와 예적금, 대출 금리 차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의 정책금리의 기준이 되는 금리이며,금융기관간 거래시 발생하는 콜금리가 기준금리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은행은 예금을 다시 고객들에게 대출해주면서 예대마진으로 수익을 내는 구조입니다.먼저 예금을 받아야 하는데 이는 고객들이 유입이 되어야 하므로 기준금리 보다는 높은 금리로 설정이됩니다.마찬가지로 대출이자도 예금금리 보다는 높아야 은행이 수익이 남으니까 기준금리 보다 더 높은 금리가 되는 것입니다.기준금리< 예적금 금리 < 대출금리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02
0
0
신용카드 없으면 신용등급은 잘 안올라가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정확하게 말하면 '신용카드를 써서 신용점수가 올라간다'기 보다'신용도를 평가할 항목이 부족해서 신용카드를 사용해야 한다'는 말이 정확합니다.신용점수를 평가할 때 여러 항목이 필요한데 그중 하나가 신용카드 사용이고,한도 내에서 꾸준히 연체 없이 사용한다면 신용점수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2.08.01
0
0
보호예수, 의무보호예수의 의미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보호예수는 기관투자자들이 공모주 청약시 가격과 금액과 함께 약정하는 조건중 하나입니다.정해진 기간 동안 해당 물량을 거래할 수 없게 묶어둔 것을 뜻합니다.의무보호예수는 대주주의 지분을 의무적으로 일정기간 동안 거래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정해진 기간이 끝난 시점에 약정된 물량이 시장으로 쏟아져 나오면서 주가의 큰 변동성을 주는 것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01
0
0
환율이 오르내리는 원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환율은 수요와 공급의 원칙에 따라 움직입니다.주식시장이 오를 때 내려가는 것은 외국인들의 국내 주식 투자를 위해서원화 수요가 높아지고 따라서 환율이 하락하게 되는 것입니다.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최근 한미간 금리가 역전되었는데, 돈은 금리가 높은쪽으로 흐르게 되고미국으로 자금이 가려면 달러의 수요가 오르고 환율이 오르게 되는 구조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01
0
0
요즘 물가가 이렇게까지 오른이유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현재 두 가지의 원인으로 물가의 상승을 이끌고 있어서 기존보다 급격한물가상승이 일어나고 있습니다.첫째는, 과도한 유동성 공급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돈이 많아져서 돈의가치 하락에 인한 인플레이션 입니다.두번째는 러시아-우크라이나발 전쟁으로 인한 공급 충격에 인한 인플레이션 입니다.천연가스,석유,사료 등 공급이 되어야 하는 기본적인 물품의 공급이 줄어들면서전반적으로 가격이 상승하게 되었습니다.첫번째 원인을 막기위해서는 빅스텝(0.5bp 금리인상)을 통해 돈의 유동성을 줄여야합니다.두번째는 종전이 되어야 하는데 이부분은 쉽게 해결할 수가 없기에 물가 쇼크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01
0
0
무상증자에 의한 기업가치의 변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업가치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습니다.예를들어 피자의 판매 단위를 한판에 10,000원에 팔다가 10조각으로 쪼개서 1조각당 1,000원에 판다면피자의 가치는 그대로지만, 소비자가 느끼기에 싸졌다는 느낌을 받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무상증자를 진행할 경우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주주는 주식수가 늘어나게 되고 투자자 입장에서는 1주당 가격이 하락하여 기존대비 저렴하다고 착각하게 되는 것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01
0
0
3268
3269
3270
3271
3272
3273
3274
3275
3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