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신용카드 돈 빠져나갈때 명세...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은행계좌에서 신용카드 결제대금이 빠져나갈 때 기준일에 맞춰총합계 금액이 빠져나갑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2.08.01
0
0
일본은 왜 저금리 정책을 유지하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본은 현재 물가를 잡기보다 경제성장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입니다.잃어버린 10년을 넘어 20년을 향해 가고 있는 일본사회에서 금리를 올리게 된다면오히려 후퇴하게 될 것입니다.따라서 보는 관점에 따라 금융정책을 다르게 펼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일본이하는 저금리 정책이 꼭 틀렸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01
0
0
예금 가입 시기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께서 생각하신 금리가 있으시다면 해당 금리가 올 때까지 파킹통장에 저축하다가 옮기는 것이 좋아보입니다.하지만 단순히 지금보다 조금 더 높은 금리에서 가입을 하고 싶은 것이라면,목돈을 분할해서 예금을 가입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앞으로 금리인상을 지속적으로 하더라도 예금금리가 지금보다 큰 차이는 없을 것입니다.그렇다면 파킹통장에서 금리 손해를 보는 것보다 일부는 현 금리로 예금을 시작하고,다음달에 추가적인 금리인상이 있을 때 일부를 추가로 예금 가입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추가적으로 예금통장을 만드실 때 저축은행에서 가입하신다면 저축은행중앙회 어플인SB톡톡을 추천드립니다. 금리비교 부터 가입까지 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01
0
0
한, 미 기준금리 역전현상 단기적 일까요?, 장기적 일까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한미간 기준금리 역전현상은 단기적일 것으로 예상합니다.최근 금리가 역전된 것은 fomc에서 한국 금통위 보다 금리 인상폭을 크게 가져가면서나타났던 일시적인 현상입니다. 두 나라 모두 금리를 상승시키는 기조에는 차이가 없습니다.따라서 우리나라는 미국보다 금리가 높아지는 수준까지 지속적으로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입니다.그 사이에 일어나는 금리 역전현상은 단지 금통위와 fomc 일정의 차이로 일어나는 일시적인이벤트로 보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01
0
0
달러가 오르면 우리나라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 말처럼 달러가 강세국면이면 수출기업에는 장점이 맞습니다.추가적으로 우리나라는 수출기반의 국가여서 다른 국가보다 이득이 많습니다.하지만, 달러가 올라서 수입되는 제품의 가격도 올라서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부작용이 있습니다.또한 달러가 상승하면 외국인 투자자의 자본이 해외로 유출이 되기 때문에국내 주가의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01
0
0
베어마켓 랠리란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베어마켓이라고 하면 하락장을 뜻하는 용어입니다.랠리는 주식이 상승하는 것을 뜻합니다.베어마켓랠리는 하락장 속에서 주식이 상승하는 것을 말합니다.반대의 용어는 불 마켓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01
0
0
정기적금 vs 은행배당주 어떤게 더 낫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양쪽의 선택 모두 장단점이 있습니다.배당주를 선택할 경우 높은 배당액과 시세차익이라는 이득을 챙길 수 있지만시세 하락으로 인한 손해도 감수를 해야합니다.정기적금은 원금 손실 없이 안정적이지만, 배당액 보다는 수익이 적습니다.각 투자의 장단점을 다시 생각해보시고, 질문자님의 투자성향에 따라서 결정하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01
0
0
업비트 코인 매수 빨간색으로 알고있는데....파란색일경우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해당 날짜의 시작가격 보다 낮은 금액에서 매수를 하게되면파란색으로 표시가 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01
0
0
물가와 성장을 동시에 잡을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물가와 경제성장률을 모두 잡는 경제정책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정부의 정책 보다 기술의 발전으로 석유 없이 대부분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면물가도 잡히고 경제성장도 급격하게 이룩할 수 있을 것입니다.그래서 현실적으로 보면 물가를 잡으려는 사람과 경제를 살리려는 사람은 서로대립관계에 있습니다. 서로의 균형을 맞추면서 발전해야 안정적으로 성장이 가능합니다.현재는 높은 물가를 잡아야만 하는 상황이여서 경제성장률 보다 물가를 잡는 정책인기준금리 인상 카드를 사용하는 중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01
0
0
PER 가 낮을수록 저평가된 기업인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PER이 낮으면 저평가된 기업이다' 라는 명제는 항상 옳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PER은 시총과 회사의 순이익 비율을 따진 것입니다.저PER주 이면서 미래의 전망도 밝다고 하면 저평가된 기업입니다.하지만 미래에도 현재와 비슷한 수준의 수익을 내는 기업이라면 PER이 낮을 수밖에 없습니다.따라서 저평가된 주식을 판단하는 것은 PER 뿐만 아니라 기업의 미래 성장성도 같이 고려해야 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01
0
0
3268
3269
3270
3271
3272
3273
3274
3275
3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