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다마스쿠스 검 재현에서 사용되는 접쇠 단조 방식은 틀렸다는게 뭔말인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무늬는 비슷하게 재현 하였지만 강도는 못 미치기 때문에 실폐한것입니다.다마스쿠스의 정확한 제조 방법또한 모두 사라졌고 전수되지 못했기 때문에 사실상 재현이 불가능 합니다.검을 제조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것은 원재료보다도 열처리기술 입니다. 열처리기술에 따라 강도가 결정됩니다.하여 이 열처리 기술이 전수되지 못했기 때문에 재현을 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19
0
0
자동차 타이어의 소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천연고무와 인공합성고무를 이용하여 제조 합니다. 여기에 색상을 위해 카본블랙을 첨가하고 철심을 첨가하여 내마모성을 높이게 됩니다.타이어 모양을 내는 트레드 설계로 마찰력을 높이게 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18
0
0
과학자들이 납으로 금을 만들었다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수은을 이용하여 원자로에서 중성자 포획 반응을 이용해 금으로 변환이 가능 합니다.또한 입자 가속기를 이용해 고에너지 입자충돌로 비스무트를 금을 만드는 것을 성공했으나, 생성되는 금의 양이 매우 적고 비용이 엄청나게 들어 현실성이 없습니다. 아직까지 고대부터 내려오는 그리고 현대의 과학이론을 통해 만들어진 연금술은 고비용으로 인해 현실성이 없습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18
0
0
석면의 경우 현대에는 어디에서 사용되고 있는지 알려주세요. 그리고 어떤 성질때문에 그렇게 많이 활용되는지 그 특성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석면은 내열성 ,내절연성,내화학성,내마모성이 뛰어나 건축용으로 다량 사용 하였습니다. 또한 가격이 저렴하여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했던 분야는 지붕스레트, 천장마감재,방화문,단열재,콘크리트보강재에 사용 하였습니다. 하지만 석면은 미세한 섬유가 호흡기를 통해 체내로 들어가면 배출되지 않고 축적되어 암을 유발하는 1급 발암물질임이 밝혀저 2009년에 전면 사용이 금지 되었습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17
0
0
배터리 산업에서 중요한 자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배터리는 크게 음극재 양극재 전해질 그리고 외곽 케이스 이렇게 이루어집니다은국제는 실리콘과은국제는 실리콘과.5은국제는 실리콘과 흑연이 들어가고 양극제는 니켈과 코발트가 사용됩니다. 전해질에는 리튬이 적용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이 차 전지는 여러 개가 모여서 결합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것이 구리입니다. 이 모여진 전체를 둘러싸는 전체 케이스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집니다.이렇게 2차 전지에 들어가는 주요 재료는 실리콘 흑연 코발트 니켈 리튬 알루미늄 구리 입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16
0
0
다마스쿠스 검의 재료로 쓰였다는 우츠는 정확히 뭔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우츠 강철의 제조법이 소실되었고 기록 남아 있는 것이 없습니다.우츠 강철은 몰리브덴과 바나듐을 첨가 하여야 하는 데 남아 있는 검을 분석하여 정확한 성분비를 알아낸다 해도 합금을 만든후 열처리와 냉각법의 섬세함을 알수가 없어 현재로써는 100프로 재현이 불가한 상태입니다.몰리브덴은 철에 첨가 할경우 결정립을 미세하게하고 강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하고, 내식성도 증가 시키며 탄소탄화물 형성하여 아주 단단하 입자를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바나듐은 초미세 결정립을 만들고 이를 균일하게 하는 역할을 하여 철에 탄성과 인성 경도를 동시에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앞서 말했던 거와 같이 우츠강철 제조의 핵심은 열처리와 냉각기술입니다. 즉 담금질 기법이 핵심인데 이기술의 전수가 대를 잇지 못해 제조 방법이 소실 되었습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16
0
0
스테인리스는 왜 녹이 잘 쓸지 않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스테인레스는 이름 그대로 녹이 슬지 않는 합급강 입니다.부식에 강한 니켈과 크롬을 적정량 혼합하여 만든합금강입니다.철강의 기본원소인 Fe,Si,Mn,P,S에 Ni과 Cr을 첨가하여 만들었습니다.Ni(니켈)의 경우 보통 6~8% Cr(크롬)의 경우 16~20%를 첨가 합니다.니켈은 화학반응성이 적고 철보다 매우 안정적이어서 공기중에서 산화물 보호피막을 형성하여 산소와 철이 만나 산화철(녹)이 되는 것을 방지 합니다.크롬은 상온에서 매우 안정적이고, 공기와 물에 녹지 않습니다. 이는 산소와의 결합이 되지 않아 산화되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 합니다.이렇게 산소와의 결합을 차단하고 방지하는 물질인 크롬과 니켈을 다량 함유하였기에 철이 많이 함유된 합금강이나 일반강에 비하여 녹이 발생되지 않습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16
0
0
나트륨 이차전지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이차전지는 양극재와 음극재 그리고 전해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리튬이차전지는 전해질을 리튬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리튬은 일정지역에만 존재하여 가격이 비쌉니다. 하여 전해질을 리튬대신 나트륨으로 대체한 이차전지 입니다. 나트륨은 소금으로 전지구 바다,산,호수 가리지 않고 광범위하게 존재하여 가격이 매우 저렴 합니다. 리튬의 1/100가격 입니다.나트륨은 리튬에 비하여 에너지밀도가 높아 고용량으로 저장이 가능하나 고온을 유지해야 하고 이 열을 관리하는데 매우 복합하고 힘든 부분으로 이 문제점을 해결 하는데 많은 기술연구가 필요합니다. 하여 아직 본격양산에 적용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15
0
0
금속은 왜 만지면 차갑게 느껴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금속은 나무나 플라스틱에 비해 열전도율이 매우 높습니다.하여 금속에 피부를 접촉시키면 피부의 열을 금속으로 빠르게 전달되어 피부가차갑게 되고 이로인해 금속이 차가운 것처럼 느끼는 겁니다. 그리고 금속은 비열이 작아 금속 자체의 온도를 올리는데 많은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하여 피부의 열을 빼앗은 만큼 금속의 온도가 올라가지 못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15
0
0
방탄 유리는 어떤 원리로 총알을 막아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방탄유리는 강화유리와 플라스틱소재인 PVB를 겹겹으로 붙여서 만듭니다.강화유리는 일반유리를 700도씨 정도로 가열한후 급랭하여 만듭니다. 이렇게 제조된 강화유리와 충격을 흡수할수 있는 PVB를 결합 합니다.외부 강화유리층은 충격을 받으면 깨지지만 파편은 날아가지 않게 잡아주고 내부층인 PBV층은 충격을 흡수하여 총알이 관통하는 것을 방지 합니다. PBV 층은 탄성과 점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총알의 진입을 막습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13
0
0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