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정동구락부는 단순히 사교모임을 뜻하나요?
안녕하세요. 이홍휴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구한말 서울 정동에 있었던 구미인과 조선 개화파 중심의 사교모임이라고 합니다. 1894년(고종 31) 사교와 친목 등 비정치적인 성격을 표방하며 설립되었고. 당시 서울 정동은 미국· 러시아· 영국 등의 공사관이 자리잡고 있던 곳으로, 정동구락부는 미국과 러시아 세력을 배경으로 한 새로운 정치집단을 형성했다고합니다!
학문 /
역사
23.02.22
0
0
인류 최초의 악보창시자는 누구일까요?
안녕하세요. 이홍휴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음악은 언제부터 탄생하고 언제부터 악보를 갖춘 체계적 음악이 탄생하게 되었을까? 우리는 이 물음에 정확한 답을 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문헌상 남아있는 기록에 의하여 추론해보면 음악이 최초로 등장한 것은 신을 찬양하거나 경배하는 제례의식에서부터 음악이 탄생하였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이다. 孔子 나이 69세(BC484)에 그가 3천 수년전부터 전해져 오고 있는 시들 속에서 305수를 뽑아 시집으로 엮어낸 것이 시경인데 그 중 160편은 國風(대체로 BC12BC7세기 경까지 중국전역의 각 나라에서 불리어지던 풍속의 노래로서 대부분이 성적인 사랑을 노래한 노래임)편과 105수의 雅(궁중의 연회 때에 흥을 돋우던 노래임)편 그리고 40수의 頌(종묘의 제사 때 연주된 노래임)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40수가 제사를 지낼 때 신게 바치는 노래였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중국역사가 시작되던 시기부터 이미 제례음악이 존재해왔다는 이야기기 때문에 음악은 신을 찬미하는 하나의 의식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세계최초의 악보로 평가받는 악보는 북부 시리아 지중해 연안의 알라디키야(라타키아)에서 북쪽으로 10km 지점에 있는 거대한 인공동산 라스샴라 위에 세워진 고대 도시 우가리트(Ugarit)에서 해안으로부터 약 1km 떨어진 지점인 미나트알바이다에서 밭을 갈던 한 농부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되었는데 우가리트가 가장 번성했던 BC 14501200년경 궁전·사원·사당 등이 건축되었는데 성채 안에는 고위 사제들의 도서관을 비롯하여 여러 도서관들이 세워져 있었다. 신전 도서관이 발견된 뒤, 전혀 새로운 신화와 종교에 관한 문헌뿐만 아니라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설형문자체도 나타났는데 이때 신을 찬양하기 위한 음악도 발견된 것이다. 발굴이 시작될 때 고대 북부 가나안 문화가 예상치 못할 정도로 새롭게 밝혀졌는데 성경에 기록된 내용들이 다수 포함되었다는 사실이다. 여기서는 〈케레트의 전설: 엘과 바알 등 가나안 신들의 전설 〉·〈아크하트의 서사시: 여름에 가뭄이 드는 이유에 대한 이야기〉또는 〈다넬의 전설: 아브라함과 이삭의 이야기가 담긴 성서의 다니엘서 〉)·〈바알알리얀의 신화: 바알신 일명 알리안에 관한 신화〉·〈바알의 죽음: 성서상의 바알신 관련 내용〉 등을 포함한 많은 문서들이 <구약성서〉와 연관성이 있었고,〈구약성서〉의 아브람함 , 이삭 등 족장 이야기는 구전에 의한 것뿐만 아니라 가나안에서 기원한 기록문서들에 기초했다는 사실이 명백히 밝혀졌다. 우가리트에서 발견된 이들 문서에 의해 〈구약성서〉를 새롭게 평가(케레트 서사시, 아크하트 서사시, 바알 서사시 등)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곳 점토판에 쐐기문자로 새겨진 몇 개의 “신께 바치는 노래들”이 있었는데 온전하게 전해진 것은 하나뿐이고, 나머지는 해석이 까다로워 아직 그 내용을 밝혀내지 못했다. 이 음악은 주로 2화음과 일련의 번호들로 이루어 졌다 한다. 따라서 신을 찬미하기 위한 음악이 여기서 발견되었다는 것은 신께 드리는 제사 의식에서 음악이 파생되었음을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신을 찬양하는데 최초로 사용된 악기는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플루트였다고 역사는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그 플루트와 함께 신을 찬양한 노래가 디튀람보스(Dityrambos)였다. 이 밖에도 성서에서는 신께 바치는 음악이 존재해 왔음을 보여주는 대목들이 여러 차례 등장한다. 시편 150편을 비롯하여 출애굽과 홍해의 기적을 노래한 모세의 노래(출애굽기 15장), 이스라엘을 구원하신 하나님을 찬양한 드보라의 노래(사사기 5장), 한나의 노래)사무엘상 2장), 다윗의 노래(사무엘 하22장), 요나의 기도(요나서 2장), 하박국의 노래(하박국 3장), 마리아의 찬가(누가복음 1장4656), 샤가라의 찬송(누가복음1장6879절), 시므온의 찬송(누가복음2장 29~32절) 등에서 하나님께 찬양하는 대목들이 등장하고 있다. 또 인디언들 중에서는 추장 다음으로 주술사가 등장하는데 이는 신께 주문을 외워 만수무강이나 복을 비는 의식을 비롯하여 제사를 지내는 의식을 주관하면서 신을 찬양하는 노래(주문?)를 불렀다. 그리고 우리의 고대사를 돌아보면 부여의 영고(迎鼓, 마지굿), 고구려의 동맹(東盟, 새밝춤), 예의 무천 (舞天, 하늘춤), 삼한의 기풍제, 추수감사제 등에서도 춤추며 노래하고 북치고 나팔 불면서 신께 감사하면서 제례의식 등을 행했다. 그리고 근세사에 들어서는 종묘제례악에서 볼수 있듯이 조상과 신께 제사를 지내며 노래를 불렀던 것이다. 여기서도 여러 악기가 등장하였음은 물론이다.출처https://m.blog.naver.com/minkh0227/222240551130
학문 /
음악
23.02.22
0
0
사도세자의 아버지 영조는 어떤 왕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홍휴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영조는.. 조선왕조 역대 임금중 재위기간이 가장 긴왕입니다. 52년간 왕위를 지켰던 그는 조선을 중흥기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고있지요 저 개인적으로도 정치를 잘했다고 생각하는 왕중 한 분입니다.
학문 /
역사
23.02.22
0
0
결혼식때 쓰는 면사포의 유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홍휴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면사포는 고대 이집트에서 유래되었다고합니다. 고대이집트는 매매혼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는데 신부의 얼굴을 알 수 없도록 결혼식 당일까지 웨딩 베일로 가리면서 결혼을 진행했다고하네요
학문 /
역사
23.02.22
0
0
요즘 한국 컨텐츠나 예술이 인정 받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홍휴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제 개인적인 견해를 말씀드리자면.. 흐름 인거같습니다 초기 한류는 일본 중국 정도에서 드라마 라던지 아이돌 음악들이 인기가 많았는데..그러한 흐름이 전세계적으로 퍼지고 또 우리나라 컨텐츠도 많이발전하다보니 이렇게까지 성장하고 전세계에서 좋아해주는게 아닌가싶네요
학문 /
음악
23.02.22
0
0
프랑스에서 시민혁명이 일어난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홍휴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프랑스 시민혁명은 프랑스 대혁명이라고도 불리며 자본주의의 발전기에 있어서 시민계급이 절대 왕정에 저항하여 봉건적 특권 계급ㄱ과 투쟁하여 승리를 쟁취했으며 새로운 정부와 새로운 사회를 건설해낸 최초의 사회혁명이라 할 수 있다고합니다.
학문 /
역사
23.02.21
0
0
어떤 영화가 B급 영화로 분류되나요?
안녕하세요. 이홍휴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보통은 B급영화는 A급영화보다는 적은 예산으로 만들어진 영화를 뜻하는데.. 정해진 기준은없습니다. 그저 대중들이 정할 뿐이죠
학문 /
미술
23.02.21
0
0
클래식에도 저작권이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홍휴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그음악에대한 저작권은 없으나. 연주한 음반을 이용하기위해서는 연주자및 음반제작자의 허락이있어야합니다.
학문 /
음악
23.02.21
0
0
마키아벨리가 주장한 사상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홍휴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마키아벨리가 주장한 군주론 에서는 군주권의 우위에 입각한 통치자의 지배 원리를 강조하며, 정치적 목적의 달성을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의 선택을 광범하게 허용하는 것을 인정하였다고 합니다. 근대 초기의 각국 군주들이 이를 실행하였다고합니다.
학문 /
철학
23.02.21
0
0
벼락맞은 대추나무 '벽조목'이 가장 좋은 도장목이 된 사유는?
안녕하세요. 이홍휴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벼락맞은 대추나무 벽조목은 단단하기 떄문에 한번 파놓은 글자가 마모되지 않아 오랫동안 변함없이사용할수있어서 그렇다고합니다.
학문 /
미술
23.02.21
0
0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