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물이 묻어있는 컵이 스스로 움직이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대부분의 유기체들은 따뜻하면 팽창하는 성질이 있잖아요? 공기 또한 그렇습니다. 컵 하부 공간에 갇힌 공기가 갇히기 전 보다 온도가 높아지면 팽창하려고 하는데 밀폐된 공간에 있다보니 컵을 움직이게 만드는 겁니다. 하지만 그 팽창하는 정도가 컵을 움직일 수 있을 정도의 압력까지 못 간다면 움직일 수 없습니다. 따라서 물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컵이 잘 움직이게 될 것입니다.추가로 컵 하부에 약간의 수분이 있어서 공기를 잘 가둬준다면 컵이 더 잘 움직이게 될 겁니다.
학문 /
물리
22.12.09
0
0
여름철에 사용하는 제습기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간단하게 설명 드리자면 공기 중에 수분이 함유되어 있을 때 차가운 물체에 닿아서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제습기는 그것과 같은 원리로 습도를 낮추는 기계입니다.보통 온도가 높을 때 공기 중에 수증기를 포함할 수 있는 비율이 높아집니다. 반대로 온도가 낮아지면 그 비율이 낮아지겠죠. 그런 원리에 의해서 높은 공기가 차가운 물체나 공기와 만나면서 공기 중에 포함할 수 있는 수증기의 일부를 내보내게 되어서 물방울이 맺히는 것입니다. 제습기 속에는 에어컨과 같이 공기를 차갑게 해주는 냉각기가 들어 있어서 그 곳에서 공기 중에 수증기를 물방울로 바꿔서 물통으로 모이게 하고 수증기를 잃은 건조한 공기를 외부로 내보냅니다. 그때 따뜻한 바람이 나오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외부로 나온 공기에 다시 수증기를 많이 머금고 돌아오게 만드는 겁니다. 그렇게 해야지 조금이라도 빨리 습도를 낮출 수 있다는 것입니다. 추가로 말씀드리자면 여름철에 에어컨을 가동하면 습도가 낮아지는 것 또한 같은 원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에어컨 제습기능을 사용하기 보다 그냥 냉방으로 가동하는 것이 온도와 습도를 낮출 수 있으니 굳이 제습기능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전문가가 많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08
0
0
118
119
120
121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