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입술주변 뾰루지?물집 났는데 봐주세요ㅠㅠ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면포 제거 후 2차 감염이 발생하여 작은 고름집이 생긴것으로 생각됩니다. 일단은 후시딘과 같은 항생 연고를 발라보시고 호전되지 않는다면 피부과 방문하여 치료해보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피부과
25.10.11
0
0
심박수가 이정도까지 올라가는거 정상맞나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운동하면서 저 정도 올라갈 수 있고 식후에도 상대적으로 순환하는 체액량이 부족해지면서 심박수가 올라갈 수 있습니다.심박이 올라가더라도 차후에 정상화되고, 특별히 어지러움 메스꺼움 식은땀 불편할 정도의 두근거림 실신 등의 증상이 없다면 경과관찰하셔보십시오.
의료상담 /
내과
25.10.11
0
0
할머니 혈압 199나오셔요 약 2번 먹어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현재 혈압은 199가 정말 맞다면 고혈압적 응급에 해당됩니다. 특히 혼자계시면 뇌출혈이라도 발생하면 대응이.안됩니다. 응급실로 가셔서 조절 받으시도록 하십시오.
의료상담 /
내과
25.10.11
0
0
어머니께서 쓰러지셨는데 이유가 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나이가 어느정도 있으시고 혈압 약제도 복용중인 상태라 정말로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어서 검사를 해보지 않고는 알 수가 없습니다. 기립성 저혈압, 부정맥, 자율신경계이상 등 여러가지 경우가 가능합니다.1년에 3번이나 실신할정도면 일단은 심장혈관내과에 우선 방문하셔서 심전도검사와 심초음파, 기립경검사등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10.11
0
0
조갑주위염 처방 받으면 B형 감염 주사3차 같은날 받을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조갑주위염으로 이미 진단이 된 사항이라 약제만 처방 받는 상황이라면 스테로이드와 같은 약제가 들어갈 가능성이 적으므로 B형 간염 백신 접종을 함께 하셔도 무방할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혹시 모르니 약제 처방을 받으시기 전에 같은 날 백신 접종이 예정되어있음을 조갑주위염진료를 볼 선생님께 고지해주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0.11
0
0
항생제 내성균 치료후 목아픔 귀통증..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내성균을 치료했어도 병이 다르면 다른 항생제를 복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정보가 부족합니다.이번에 발생한 발열 등의 증상이 같은 병원균이 원인이라는 가정하에 아무항생제를 드시면 안된다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이자복스가 자이복스를 말하는거라면 일반적인 병원균을 치료한게 아닐 것으로 생각됩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0.11
0
0
감염 및 세균이 옮을수도있나요?ㅠㅠ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물론 비말을 통해 매우 적은 양이라고 병원균이 전파되었을 수도 있습니다.하지만 이 사실이 곧 글쓴분께서 감염증에 걸린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왜냐면 그 병원균이 글쓴분의 면역 체계를 뚫고 몸안에서 증식해야 병을 발생시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병원체를 한번 접했다고 다 감염이되면 규모가 있는 병원에 다녀온 사람들은 다들 폐렴에 걸리고 결핵에 걸려야겠지요.직관적으로 와닿을 수 있게 한 예시를 들자면 에이즈 환자와 직접 피임 없이 성관계를 해도 한번에 에이즈에 감염될 확률은 1%가 되지 않습니다.글쓴 분께서 항암치료를 받는다던지 해서 면역 저하 상태가 아닌 이상 잠깐 기침하는 사람과 함께 했다고 질병을 얻어올 확률은 크지 않아보입니다. 까마귀 날자 배떨어지듯 감기에 걸릴 수는 있겠으나 그게 기침을 한 분으로부터 온건지, 요즘 날이 차서 따로 걸린건지도 알 수 없습니다.따라서 마음을 편안히 가지고 지내시되, 기침이 가래 발열 등의 증상이 발생하면 그때 진료 보시면 되겠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0.11
5.0
1명 평가
0
0
습진 및 스테로이드 약품 내성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말씀하시는 스테로이드 제제는 우리 몸안에서 나오는 코티솔과 같이 항염증 효과를 낼 수 있게 합성한 약제들입니다. 장기간 사용시 내성이 생긴다기보다는, 외부에서 스티로이드가 들어오다보니 우리 몸안에서 코티솔을 합성하는 능력이 떨어지면서 부신기능저하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사용을 되도록 하지 않고, 장기 사용이 필요할 경우 약제 용량을 조절하면서 써야하기 때문에 주치의와 긴밀히 상의하여야 합니다.메틸프레드니솔론이나 프레드니손이나 강도의 차이가 있을뿐이기 때문에 약제를 바꾸더라도 실제 총 효능(potency)을 감량하지 않으면 큰 차이는 없습니다.스테로이드의 항염증 효과로 피부염의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질환의 상태에 따라 항히스타민제와 칼신유린억제제도 투약되는 경우가 있고, 생물학적 제제(JAK억제제 등)도 투여하기도 합니다.
의료상담 /
피부과
25.10.11
0
0
병원 입원후 간수치가 계속 높게 나옵니다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만약 예전 검사에서 정상수치었다가 금번에만 올라간것이라면 진통제 복용으로 간수치가 올라간 것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간수치가 올라가는 원인은 약제 뿐만 아니라 감염(바이러스, 기생충 세균 등)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지방간, 허브 등과 같이 비감염성 원인으로 다양합니다. 간수치가 계속 올라갈 경우 바이러스 검사 및 초음파 CT와 같은 영상의학적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0.11
0
0
콜레스테롤 수치상승 약을 그대로 먹어야는지..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총콜레스테롤수치보다 tg ldl hdl 각각 항목이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정확히 말하면 tg대비 hdl, ldl대비 hdl 비율이 중요합니다.) 현재 ldl이 낮고 hdl이 높으므로, 심혈관계 질환이 있어 스텐트를 넣은 상태가 아니라면 현재 약을 늘릴 필요가 없습니다.Ldl이 나쁜 콜레스테롤이라고 알려져있어서 무작정 낮은 것이 좋다 생각할 수 있지만, 심혈관계 위험도에 따라 목표치가 사람마다 다릅니다. 또한 Ldl이 너무 낮으면 뇌출혈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기저질환이 없으시다면 ldl 타겟을 오히려 높게 잡으셔도 무방합니다. 담당 주치의와 한번 상의해보시기 바랍니자.
의료상담 /
내과
25.10.11
0
0
46
47
48
49
50
51
52
53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