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프로그래밍으로 수학 공식,개념이나 오차등을 증명해보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워낙 광범위 한데요 프로그래밍의 언어의 개념보다는 수학개념에서 오는 오차는 보통 통념적 수식에서 오는 오차가 많기때문에 그 부분을 프로그래밍언어로 적어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10.24
0
0
공포영화를 보고나면 스트레스가 풀리는것처럼 쉬원한 이유가 무엇일가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롤러코스터 효과처럼 착각되는 효과이기 때문입니다 공포영화 시청당시에는 극한의 긴장감을 동반하지만 영화 전체에서 긴장을 주는 것이 아니기때문에 영화가 끝나면 긴장이풀리면서 몸의 많은 부분이 이완이 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10.24
0
0
나뭇가지에서 뿌리가 나오는 과학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식물의 뿌리는 우리 몸으로 바꿔 말하면 손톱발톱 이빨같은 위치에 있는 부분입니다. 그부분에서 수분과 질소를 흡수하는 중요한포인트 이기 때문에 식물의 심장이라고도 하죠 뿌리는 영양분 흡수뿐만아니라 식물의 고정 및 지탱해주는 근본인데요 뿌리를 넓게 멀리 뻗을수록 광범위한 영양분을 얻기 때문에 뿌리 깊은 나무가 오래살지요유기물의 에너지전환은 엽록소의 합성과 TCA사이클의 상관관계를 보시면 충분하실거라 생각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10.24
0
0
독감 백신은 어떤 원리로 우리 몸에 도움이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독감백신은 독감 바이러스를 약화 시켜서 체내에 주입시켜서 약하게 앓고 면역을 얻는 방식입니다감기는 오래된 종류의 바이러스인데요 변이된 종류도 많습니다 수만가지가 되니까요. 하여 독감백신이 매년 나오는 이유는 그전년도에 가장유행한 바이러스 순위로 백신을 만들게 되는데 3가지면 독감 3가백신, 4가지면 독감4가백신이 되는것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10.24
0
0
에디슨이 이룩한 업적 중 가장 위대한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에디슨은 발명왕이라고 부를정도 유명하지요 그 중제일 유명한 발명은 전구를 상용화 시킨것입니다필라멘트를 집요하게 찾아낸 것으로 유명하지요 사실 제일 유명한건 애플의 창립자가 스티브 잡스인것처럼 제너럴 일렉트릭(현재 미국 GE)을 창업하고 수많은 특허를 잡아먹고 M&A를 하며 강도귀족의 반열에 오릅니다 GE와 웨스팅하우스에서 밀리자 JP모건이 에디슨을 경영권자리에서 밀쳐내버리지요이후 GE는 철도 차량 군함 원자력항모엔진 발전소 비행기엔진 세탁기 에어컨까지 모터 또는 터빈이 들어가면 죄다만들었습니다 지금까지 영향력이 있는 대기업입니다 국내곳곳에도 아직 영향력이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10.19
0
0
파리 모기도 겨울에 동면을 하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의 파리 모기들은 일정온도 밑으로 내려가면 얼어죽습니다 수명도 길어야 3주이지요 죽기전에 산란해놓은 알이 봄이되서 부화하는 것입니다! 겨울에 파리 모기가 발견된다면 어딘가에 따뜻한곳이 있는 겁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10.19
0
0
절대영도가 -273.15C인 이유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절대영도 까지 온도가 내려간다면 그 단일물질의 부피가 0이되기 때문입니다 물체라는게 음수값으로 존재 할 수는 없잖아요ㅎㅎ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10.19
0
0
엑스레이는 많이 찍어도 몸에 해롭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강한 엑스선을 몸에 노출시키면 미묘한 세포 변이가 일어날수있습니다.하여 임산부나 영유아같은 경우 어지간하면 촬영을 하지 않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10.19
0
0
상아가 없는 아프리카 코끼리가 많아지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과거코끼리는 영역싸움을 하거나 또는 구애의 과시를 하기위해 상아가 있었지만 잦은 사냥 또는 포획후 상아만 잘라서 코끼리를 풀어준지 근 100년이지나다보니 용불용설로 살아남기위해 상아가 덜자라는 쪽으로 코키리가 바뀌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10.19
0
0
혁신 기술들이 기대 한 것과 다르게 친숙하지 않은 이유 (급해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첫 개념과 발견부터 실생활까지의 엔지니어링이 시행착오가 걸려서 그렇습니다.자동차를 예를 들면 처음 나왔을 때는 시속60키로에 달하는 기차가 있었고 준비 및 숙련도를 따지면 말이 더욱안전해서 모두가 기피했다고 합니다. 디젤이 내연기관 자동차를 만들고 포드가 대량으로 찍어내가까지는 근 백년의 시간이 필요했지요기술이 진보하면서 정보교류가 빨라지면서 그 간격이 짧아졌다고 볼수있습니다메타버스 또한 가상의 공간을 만듬으로서 실시간적으로 실생활을 가상의 공간으로 가져가야 하는데 그것을 구현하기엔 기반기술이 너무 부족합니다(그래픽을 다중서버로 구현하기위한 IDC부족 > 메이플 스토리보다 못한 구현력)플랫폼 통일 또한 안된 상황이구요(글로벌 대기업중에서는 그나마 메타가 하는중)큰 계기가 없으면 10년 이상은 지나야 삼성애니콜 같은 메타버스계의 무엇인가가 주요 플랫퐁으로 사용될듯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10.19
0
0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