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즐거운카멜레온107
즐거운카멜레온10723.10.24

독감 백신은 어떤 원리로 우리 몸에 도움이 되는 건가요?

매년 독감 백신이 새롭게 나오고 있습니다. 독감 백신을 접종하게 되면, 어떠한 원리로 우리 몸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백신은 약화되었거나 죽은 병균을 함유한 항원을 인체에 주사합니다. 이렇게 약화된 항원으로 신체의 후천 면역 시스템을 자극하면, 몸은 항원을 이길 수 있는 항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것이죠.

    이 과정에서 항체가 생성되고, 이때 만들어진 항체는 길게는 6개월동안 유지되는데, 실제로 외부에서 병원균이 들어왔을 때, 기존에 만들어진 항체가 병원균을 항원으로 인식하여 빠르게 면역반응이 일어나게 되고, 병원균이 세포에 침투하기 전에 대부분 제거되어 감염병이 예방되는 것이 백신의 원리입니다.

    즉, 백신은 감염성 질환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서 후천 면역 시스템을 인공적으로 활성화하는 방법인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독감 백신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예방하기 위한 백신입니다. 독감 백신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유전 정보를 이용하여 만들어집니다.

    독감 백신이 접종되면, 우리 몸의 면역 체계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유전 정보를 기억합니다. 이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노출되면, 면역 체계가 기억한 유전 정보를 바탕으로 항체를 생성합니다. 항체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무력화시켜 감염을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매년 독감 백신이 새롭게 나오는 이유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끊임없이 변이하기 때문입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2개의 단백질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단백질의 변이가 발생하면 백신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년 유행할 가능성이 높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유전 정보를 바탕으로 백신이 만들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

    독감백신은 독감 바이러스를 약화 시켜서 체내에 주입시켜서 약하게 앓고 면역을 얻는 방식입니다


    감기는 오래된 종류의 바이러스인데요 변이된 종류도 많습니다 수만가지가 되니까요. 하여 독감백신이 매년 나오는 이유는 그전년도에 가장유행한 바이러스 순위로 백신을 만들게 되는데 3가지면 독감 3가백신, 4가지면 독감4가백신이 되는것입니다